산기협 “韓 AI, 특허·투자 강점...제도개선 및 인재 확보는 과제” 작성일 08-28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MWggJYcsn"> <p contents-hash="f5c084c3fb8c15b3fff614b5ca719906efc04c2b18f9a6b15d2625457ddcb6c2" dmcf-pid="1pj99zA8mi" dmcf-ptype="general">공신력 있는 글로벌 연구기관들은 우리나라 인공지능(AI) 기술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나,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사회적 여건은 미흡하다고 분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05881c7345852ba249458c851507de6908ab65d5f45f50057c7dfcc86cf87147" dmcf-pid="tUA22qc6wJ" dmcf-ptype="general">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는 28일 우리나라 디지털·AI 경쟁력에 대한 세계 연구기관 분석을 엮은 '2024년 한국의 디지털·AI 경쟁력 보고서'를 발간했다.</p> <p contents-hash="1c57061c35e1c1208ef4da5de3c8762b655aee94919f72336ac3aec4be57ee8f" dmcf-pid="FucVVBkPrd" dmcf-ptype="general">△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영국 옥스퍼드 인사이츠 △영국 토터스 인텔리전스 △미국 스탠퍼드 휴먼센티드 AI 연구소(스탠퍼드 HAI) 등 평가를 종합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0cbab7e8c95daa2c6bb9449c05cb70503d0142d1a1bea37ba14fb88a1561121" dmcf-pid="37kffbEQs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etimesi/20250828120231126xbru.png" data-org-width="658" dmcf-mid="XGmQQfsds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etimesi/20250828120231126xbru.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325eb38bcddd5406987e007064a51910abb39520e9face8fb47a613980f2abe" dmcf-pid="0zE44KDxsR" dmcf-ptype="general">IMD는 우리나라 디지털 경쟁력을 67개국 중 6위로 평가했으며 'R&D 총지출 비중(2위)'과 '첨단기술 특허 취득(3위)'를 강점으로 꼽았다. 그러나 '인재 국제경험(45위)' '(인재 유치를 위한) 이민법(54위)' 등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p> <p contents-hash="02dd697576ec261aec3ab660f684bdee58613868d019f4b812dcce31b9200e4c" dmcf-pid="pqD889wMIM" dmcf-ptype="general">옥스퍼드 인사이츠는 '정부 AI 준비지수' 부문에서 한국을 3위로 평가했다. 특히 '혁신 역량'을 전년 대비 22단계 상승한 3위로 진단하며 기업가 정신을 장려하는 비즈니스 환경, 원활한 연구개발(R&D) 투자 흐름 등을 고평가했다. 반면 '거버넌스와 윤리(24위)'는 전년 대비 11단계 하락했다.</p> <p contents-hash="1aa0cbc1cb5daa0b7cc1f8a23d3ad7783565ccb880407d9f4e912fc0f474aa40" dmcf-pid="UBw662rRsx" dmcf-ptype="general">토터스 인텔리전스는 '인프라(6위)' '개발(3위)' '정부 전략(4위)' 등을 높이 평가했으나, AI 관련 규제와 사회적 여론 등을 종합한 '운영환경(35위)' 지표는 전년 대비 24단계 하락했다고 판단했다.</p> <p contents-hash="8c5667bbe095335b4386031a9563ddbdc89b69490e63a5695065d29a0c6ccdf4" dmcf-pid="ubrPPVmeOQ" dmcf-ptype="general">스탠퍼드 HAI 보고서에서는 'AI 관련 특허' 부문에서 한국이 1위를 차지했다. 2023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17.27건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6.08건), 미국(5.20), 일본(4.58)을 넘어선 수치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4ee24ea2d71c17397e6d1940f02f05ad7bb2916b4f1957842e1b65715190613" dmcf-pid="7KmQQfsdm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etimesi/20250828120232354dmoy.png" data-org-width="651" dmcf-mid="ZwabbuNfw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etimesi/20250828120232354dmoy.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6d84ee0581134999194c80b27d943e96f7712fd84abde103f07ce251df41554b" dmcf-pid="z9sxx4OJD6" dmcf-ptype="general">반면 인재 유출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한국은 유동 인재 1만 명을 기준으로 -0.36명 이동을 기록했으며 이는 미국이 1.07명, 독일이 2.13명으로 인재 순유입이 이뤄지는 것과 대비됐다.</p> <p contents-hash="119742b66412ddd12ecde71597f0350434674fba5896a56c3d60395efbbc4e21" dmcf-pid="q2OMM8IiI8" dmcf-ptype="general">각 연구기관은 우리나라 AI 특허와 투자 수준을 강점으로 보았으나, 인재 확보 및 환경적 요인은 개선할 점으로 지적했다. 특히 국내 기술 인재의 부족한 글로벌 연구 경험과 인재 유입을 제한하는 법적 환경 등을 개선해야 할 점으로 꼽았다.</p> <p contents-hash="d8f374ab4d4dbe971a089c64c1ac91e1db2da00befbd7e61c1af92b90b5a1aee" dmcf-pid="BVIRR6Cns4" dmcf-ptype="general">고서곤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글로벌 AI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투자 환경을 더욱 개선하고, 글로벌 인재 유입과 국내 인재 유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6db2a013281009d8d3724e7878f62c4d4eb2ec9f9e02eba6246ef1c8eafcc260" dmcf-pid="bMWggJYcIf" dmcf-ptype="general">한편 산기협은 지난 4월 우수인력 유치와 인재 육성, 유망 AI 스타트업 발굴 및 중소 제조 AI 지원 등 정책건의 사항을 담은 '2025 산업기술 정책건의 Go B.A.S.I.C'을 발간한 바 있다. 민간R&D협의체를 통해 기술 수요를 발굴하는 등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949f685cba33a2eb5e64a66415a90ef19858c4d8841115de99ad4f609ee79f61" dmcf-pid="KRYaaiGksV" dmcf-ptype="general">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정부, 5G·LTE 통신품질 미흡 재점검…KTX·SRT 경부·경전선 개선 저조 08-28 다음 고교생이 만들었다…지진 때 건물 고립 막는 ‘자동 개방 출입문’ 08-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