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1조원 규모 ‘피지컬 AI’ 대형 국책 연구 총괄 작성일 08-28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NITcQloi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86e8d0a5904b1958e97df9c23111a85a275937960fdac114b400f85467c88e6" dmcf-pid="2jCykxSgM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반도체 물류 로봇 운영시스템에서 피지컬 AI활용 모식도. 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03321036hviz.png" data-org-width="680" dmcf-mid="bUJa83LKi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03321036hviz.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반도체 물류 로봇 운영시스템에서 피지컬 AI활용 모식도. 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f46935e03ae33da98f98f7c19f9c33e398b068ecc219025e04d849cd38586ea" dmcf-pid="VAhWEMvaMR" dmcf-ptype="general">KAIST가 전라북도와 전북대, 성균관대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피지컬 인공지능(AI) 핵심기술 실증(PoC)’ 시범사업을 수주했다. 이번 사업은 총 1조원 규모로 추진될 대형 국책 프로젝트다. KAIST는 연구 총괄 기관을 맡아 향후 5년간 전북을 글로벌 제조혁신 거점으로 구축하는 데 나선다.</p> <p contents-hash="0013316ab4c14da28785d647ba7443ae34c7beb8873358cb8994912094910a83" dmcf-pid="fclYDRTNLM" dmcf-ptype="general">28일 KAIST에 따르면 이번 시범사업은 오는 9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협업지능 피지컬 AI를 주제로 연구가 진행된다. KAIST는 원천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구축을 담당하고 전북대와 전라북도는 지역 내 산업 생태계 조성을 함께 추진한다. 컨소시엄은 시범사업을 기반으로 향후 대규모 실증사업까지 확대 참여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5227bad55944a88b29ec4dcaa32ea91c3729cd3bcf4426097f14cccd89b81279" dmcf-pid="4kSGweyjRx" dmcf-ptype="general">피지컬 AI는 인공지능이 시공간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로봇, 자율주행차, 공장 자동화 기기 등 물리적 장치들이 사람의 지시 없이도 스스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특히 '협업지능 피지컬 AI'는 공장 내 다수의 로봇과 자동화 장비가 협력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반도체·2차전지·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무인 공장(다크 팩토리) 구현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p> <p contents-hash="569f5b1b7fa0d26b3471b5220664bc6e3c8becffb3097e25182faae292e02b0c" dmcf-pid="8EvHrdWAdQ" dmcf-ptype="general">기존 제조 AI가 방대한 과거 데이터에 의존하는 한계를 지닌 반면 협업지능 피지컬 AI는 실시간 시뮬레이션 학습을 통해 변화가 잦은 제조 환경에서도 신속히 적응할 수 있다. 데이터 의존성을 줄이고 실제 생산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제조 기술로 평가된다.</p> <p contents-hash="cf09b09fd5980025b6630ce23e1414e052df2d5a8e92aade82cd617626018960" dmcf-pid="6DTXmJYciP" dmcf-ptype="general">장영재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가 이번 사업의 총괄책임을 맡았다. 2016년부터 협업지능 기반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도해 왔다. 관련 연구는 2019년 KAIST ‘10대 대표 연구 성과’에 선정된 바 있다. 2025년 4월 세계 최대 산업공학 학회(INFORMS)에서 MIT와 아마존을 제치고 협업지능 피지컬 AI 사례연구 부문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경쟁력을 입증했다.</p> <p contents-hash="67b12c058fb106a75a675c63b0c3b186c71d23a63d9c81940a5c7b0697fa1139" dmcf-pid="PwyZsiGkn6" dmcf-ptype="general">장 교수는 “이번 수주는 KAIST가 지난 10여 년간 축적해온 협업지능 피지컬 AI 연구 역량이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결과”라며 “대한민국 제조 산업이 글로벌 선도형 피지컬 AI 제조혁신 모델을 구축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이번 성과를 계기로 전북대학교, 전라북도와 협력해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피지컬 AI 혁신 거점으로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94703dfbc56a97735f45c1202844b6e021c2c6945cfac64e3a2912b24cd7a15d" dmcf-pid="QrW5OnHEd8" dmcf-ptype="general">KAIST와 전북대학교, 전라북도는 이번 사업을 발판으로 지역을 글로벌 피지컬 AI 산업 중심지로 육성해 대한민국 제조혁신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49c2f108e0cf440d50fd1eeac2552dcdb34485645ff52faec188e4c61363903" dmcf-pid="xmY1ILXDM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장영재 KAIST 교수. 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03322286tzya.jpg" data-org-width="350" dmcf-mid="KrUbXrzTe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03322286tzy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장영재 KAIST 교수. 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0e9ff24f8661a166f4ea35f474f8c973986c15d6261091f500b9909883404f4" dmcf-pid="yKRLV1Jqnf" dmcf-ptype="general">[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종국 결혼 8일 앞두고 양세찬도 열애설.."현재 연애중" 솔비, '촉' 발동(옥문아) 08-28 다음 '메이저 25승 도전' 조코비치, US오픈 테니스 3회전 진출 08-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