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1조원대 ‘피지컬 AI’ 국책사업 핵심연구 맡는다 작성일 08-28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KAIST 장영재 교수, 전북도·전북대·성균관대 <br>- 전북을 글로벌 피지컬 AI 산업 지역거점 육성</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z2JXrzTZ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cadbf5402dd171894a8e19079fe643304b88d5dd4e0c9ada43d60550fa88ed5" dmcf-pid="3qViZmqyH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협업지능 피지컬 AI 모식도.[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ned/20250828083540810tenv.png" data-org-width="1280" dmcf-mid="1Bjh4FnbZ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ned/20250828083540810tenv.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협업지능 피지컬 AI 모식도.[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691b24571d65db4de8a5eac1564f886061a904bfc28822155928bfe3a917e6d" dmcf-pid="0Bfn5sBWt8"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KAIST는 전라북도, 전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피지컬 AI 핵심기술 실증’ 시범사업을 공동 수주했다고 28일 밝혔다. 또한 이 컨소시엄은 향후 총 1조 원 규모로 예상되는 본격 실증사업에도 참여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686b1af821c9abf6da827e3bfc3c5e2105880f10faee1a272b378b0cffe19820" dmcf-pid="pb4L1ObYH4" dmcf-ptype="general">이번 사업에서 KAIST는 ‘협업지능 피지컬 AI’를 주제로 연구 기획을 주도했으며, 전북대학교와 전라북도는 이를 기반으로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전라북도 내에 협업지능 피지컬 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올해 시범 사업은 9월 1일부터 시작하여 향후 5년간 진행될 계획이며, 이 사업을 통해 전북을 글로벌 피지컬 AI 허브로 구축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30bfc8a89ba6bafedafa9a3c363a306ce5ad88b0381e869f17e7828eb2bc7f5d" dmcf-pid="UK8otIKGHf" dmcf-ptype="general">KAIST는 연구 원천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한 연구 환경 조성, 나아가 산업 확산을 담당한다. 사업의 KAIST 총괄 책임자인 장영재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교수는 2016년부터 협업지능 피지컬 AI 관련 연구를 선도적으로 추진해 왔다.</p> <p contents-hash="68470def83606bc77113beb119b6b46839c8dacd16f8dfa33ca047a1ea8e3bae" dmcf-pid="u96gFC9H1V" dmcf-ptype="general">‘피지컬 AI’란 인공지능이 시공간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로봇, 자율주행차, 공장 자동화 기기 등 물리적 장치들이 사람의 지시 없이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말한다.</p> <p contents-hash="76b5603678ec494e6af2191ab8f0a482db20392fe8f1b530e34a7b2c2d144248" dmcf-pid="72Pa3h2XG2" dmcf-ptype="general">특히 협업지능 피지컬 AI는 수많은 로봇과 자동화 장비가 투입되는 공장 환경에서 이들이 서로 협력해 목표를 달성하는 기술로, 반도체·2차전지·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다크 팩토리(무인 공장)’구현을 위한 핵심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p> <p contents-hash="e3fe8ac8940592677556f0c289395ce47df81098c372988594471e5f39f1bc5d" dmcf-pid="zz2JXrzTH9" dmcf-ptype="general">또한 이는 기존 제조 AI와 달리 방대한 과거 데이터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을 통해 변화가 잦은 제조 환경에서도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으며, 과거 데이터 의존성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기술로 평가된다.</p> <p contents-hash="3c1fc1eb9a98952006a7503fb7ebfc7ddeda3404b5fab1e291aa15a36c987bf4" dmcf-pid="qqViZmqyZK" dmcf-ptype="general">현재 글로벌 AI 산업은 언어지능을 모사하는 대규모 언어모델(LLM)이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피지컬 AI는 언어지능을 넘어 공간지능과 가상환경 학습을 포함해야 하며, 로봇·센서·모터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유기적 결합이 요구된다. 제조 강국인 대한민국은 이러한 생태계 구축에 유리해 글로벌 경쟁을 선도할 기회를 갖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01befe7621f8ef4dd773878166b4b00935237b804f2794e33130452ee7d5c32" dmcf-pid="BBfn5sBWX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장영재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ned/20250828083541064ncsd.jpg" data-org-width="1280" dmcf-mid="tzNCftiB1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ned/20250828083541064ncs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장영재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52205fd7bd6b20311fe724b92e0a0de0c354bc5e808c3b8df30f621bb3abd4b" dmcf-pid="bb4L1ObY1B" dmcf-ptype="general">실제 KAIST는 2025년 4월 세계 최대 산업공학 학회인 INFORMS에서 협업지능 피지컬 AI 사례연구로 MIT와 아마존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이는 피지컬 AI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p> <p contents-hash="774342c869157a9002fdfad7d6a5d5e4bccef86368f19e2ddfc5399e80b8900e" dmcf-pid="KK8otIKG5q" dmcf-ptype="general">장영재 교수는 “이번 대형 국책사업 수주는 지난 10여 년간 축적해 온 KAIST의 협업지능 피지컬 AI 연구 역량이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결과”라며 “대한민국 제조 산업이 글로벌 선도형 ‘피지컬 AI 제조혁신 모델’을 구축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5d1596c29e4e7e08bc4407fb5da018e5d30d2a22526ef000451d1350c4fdb500" dmcf-pid="996gFC9HYz" dmcf-ptype="general">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는 학문적 연구를 넘어 국가 전략기술의 실질적 산업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이번 성과를 계기로 전북대학교, 전라북도와 협력하여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피지컬 AI 혁신 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구독자 1240만’ 쯔양, 월 1억 버는데 “방구석에만 29년 있어”(어튈라) 08-28 다음 노스페이스컵 전국 스포츠클라이밍대회, 동호인 참가자 모집 08-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