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방송법 26일 시행…방통위 ‘1인 체제’에 실행은 올스톱 작성일 08-25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방통위 정상화 또는 정부조직 개편이 변수<br>여당, 현 방통위 해체후 '시청각미디어통신위'안 발의<br>방송3학회는 '공영미디어위'안 제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eeg3SaVD9"> <p contents-hash="e42e54e6e66ef018004bfbee6c2f040972c50bd0dfdbd8444ab0800ddb074d8b" dmcf-pid="udda0vNfOK"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오는 26일부터 개정된 ‘방송법’이 본격 시행된다. 공영방송 이사 수 확대, 사장추천위원회·편성위원회 설치,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도입 등 방송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담겼다. </p> <p contents-hash="6c6a569da73fdda46958c909f66ec77e41a7a57bbdcbe16707ffe1a4afd5148d" dmcf-pid="7JJNpTj4Eb" dmcf-ptype="general">그러나 현재 방송통신위원회가 사실상 ‘1인 체제’에 머물러 있어 제도 시행은 법적 효력만 발생한 채 실제 작동은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p> <p contents-hash="2585da098ed4f695d43127583acbe3ae27bddb76aa48d085d70d988c3ed271e4" dmcf-pid="ziijUyA8sB" dmcf-ptype="general">여기에 여당이 추진하는 정부조직개편 논의가 맞물리며 변수가 되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fff56a713770a0ad1971ac9617cf356a90abefcd6060aac334653df5f123a16" dmcf-pid="qnnAuWc6D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5/Edaily/20250825105740676qore.jpg" data-org-width="434" dmcf-mid="pGFzDdqyE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5/Edaily/20250825105740676qore.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b52b34c1ee98613a155d9fa2a889ee2d994153444cc0122256ed8ff3306485e9" dmcf-pid="BLLc7YkPwz" dmcf-ptype="general"> <strong>공영방송 이사회와 경영진 선출 구조 변화</strong> </div> <p contents-hash="26a8ca701efdbbad583f844dd00fcf80a3ea5b53b2891596fb9a360663ef18ac" dmcf-pid="b44RGre7I7" dmcf-ptype="general">개정 방송법의 핵심은 공영방송 이사회와 경영진 선출 구조의 변화다.</p> <p contents-hash="b84f7f63a22a5b362277111896bb0df08c6b77a0655d0bc0c0ce79b3e5c9d030" dmcf-pid="K88eHmdzsu" dmcf-ptype="general">이사 수가 확대된다. KBS 이사회 정원이 11명에서 15명으로 늘고, 국회·시청자위원회·학회·변호사 단체 등 다양한 주체가 추천권을 갖는다.</p> <p contents-hash="c4f83c61f777b063d37649083e1e51c42fde4dada94a2c095f47b59fc3501ce1" dmcf-pid="966dXsJqsU" dmcf-ptype="general">사장추천위원회 설치가 의무화된다. KBS·EBS·방송문화진흥회에는 ‘사장후보국민추천위원회’, YTN·연합뉴스TV에는 노사 합의로 구성되는 ‘사장추천위원회’를 두도록 했다.</p> <p contents-hash="c88f2244fb5c7113401ef508a5790f49e53285270fc1ba212aa91e0dc793c1d9" dmcf-pid="2PPJZOiBmp" dmcf-ptype="general">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도 도입된다. KBS·MBC·EBS·YTN·연합뉴스TV의 보도책임자는 내부 종사자 과반 동의를 얻어야 임명된다.</p> <p contents-hash="079d0a64df528d7e3e41edea2a7301c75dfe4a87328541efb4a5b5fccc3874a2" dmcf-pid="VQQi5Inbm0" dmcf-ptype="general">편성위원회가 신설되는데, 지상파·종편·보도채널은 종사자 대표와 방송사 추천 인사 각 5인으로 구성된 10인 편성위원회를 운영한다.</p> <p contents-hash="33139989966ae347f6b2997de73e746aef4b1d52efac97bf96f72eca1e1df277" dmcf-pid="fxxn1CLKs3" dmcf-ptype="general">시청자위원회도 확대된다. IPTV, 위성방송, 홈쇼핑 채널에도 설치 의무가 적용되며 이는 2026년 2월부터 시행된다.</p> <p contents-hash="49f4596c1a6b1eb165b7564fe17ebb6b5067ce83d28bc8b3f566c5fa2f4c0df4" dmcf-pid="4MMLtho9IF" dmcf-ptype="general"><strong>규칙 제정 불가능, 제도 실행은 ‘올스톱’</strong></p> <p contents-hash="a900b725cf80b997ce06448486a8d27c5338adbdb6e8a56d6fa868ac4bb510c5" dmcf-pid="8RRoFlg2Dt" dmcf-ptype="general">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개정법이 시행되더라도 후속 규칙 제정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현재 방통위는 이진숙 위원장 1인만 남아 있어, 규칙 제정이나 시행령 개정 등 필수 절차를 진행할 수 없다.</p> <p contents-hash="8fda132916ca6ba65eb5284df1bd871a42a2d7091d0615b8c1d8424d15da5111" dmcf-pid="6eeg3SaVE1" dmcf-ptype="general">방통위 설치법상 규칙 제정은 위원 전원 의결이 필요한데, 1인 체제에서는 사실상 의결 자체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학회·단체 추천을 통한 이사 선임 △사장추천위원회 구성 △편성위원회 운영 등이 모두 멈출 수밖에 없다.</p> <p contents-hash="7980bb6f09d84f248e3bbc3629b37e8158fbc860a0876ca6b6d3492ac31ae144" dmcf-pid="PiijUyA8I5" dmcf-ptype="general">결국 공영방송의 이사회 구성 지연, 사장 임명 절차 공백, 편성위원회 미구성 등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p> <p contents-hash="dd43b7643212ebcf0abbd6099cda15965ca813952aaa4cb67a8b67d2917914a0" dmcf-pid="QnnAuWc6IZ" dmcf-ptype="general"><strong>정부조직개편이 돌파구 될까</strong></p> <p contents-hash="ea9d0e13a08560254d68f88008a9dfdff1acda812c6f7a654f412c0476c837ad" dmcf-pid="xLLc7YkPmX" dmcf-ptype="general">대통령실은 “방통위가 시행규칙 초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지만, 효력 있는 의결은 불가능하다. </p> <p contents-hash="91d59fdd04d1db0728235e51a2a72fce8e2e257ee8ccf265ae0e85cfd2726e66" dmcf-pid="y11ukR7vmH" dmcf-ptype="general">여당에서는 방통위 자체를 해체하고 새로운 위원회를 만드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p> <p contents-hash="26d6ad21a668e56b0925506f03f9af3a29421ba9c573c897e7021dcbce6716fd" dmcf-pid="Wtt7EezTmG" dmcf-ptype="general">더불어민주당 김현 의원은 대통령 직속 ‘시청각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 법안을 발의했다. 방송·통신·OTT 정책을 총괄하는 신설 위원회로, 공포 즉시 시행된다. 다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문화체육관광부 기능 이관이 필요해 정부조직개편이 전제돼야 한다.</p> <p contents-hash="5bec4b0771d2f855cf9998b4f1fe6fbee6a7ec2baabb8ac5c7c38ce4ae587c91" dmcf-pid="YFFzDdqyIY" dmcf-ptype="general">국정기획위원회에서는 ‘미디어·ICT 통합부처 + 공영미디어위원회’ 모델이 논의된 바 있다. 이는 한국언론학회, 방송학회 등 3학회가 제안한 것으로 ‘시청각미디어통신위원회’안과 다르다.</p> <p contents-hash="8738d06ac356763cc49a982da45a92dbc22ab20b0e29ff4e2ec39cc4b76a9eed" dmcf-pid="G33qwJBWsW" dmcf-ptype="general">26일부터 방송법은 시행되지만, 실제 실행은 정부조직개편이나 방통위 정상화에 달려 있다. 지상파 방송사 관계자는 “공영방송 리더십 공백이 장기화될 경우 방송 혼란을 키울 수 있다”며 “정부와 국회가 조직개편과 제도 실행 로드맵을 조속히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71951bf8e1ee90ad18359a565152e9ebfd852d5818a723449dfba15401eb64e2" dmcf-pid="H00BribYmy"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단독] 민희진VS전 직원, 법정 다툼 장기화…3차 변론 10월로 연기 08-25 다음 'AI 때문에 주목 받는 이색보험' 데이터센터도 가입하는 FM코리아의 권성준 대표 08-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