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 시민권 요구할 수도"…MS AI 수장, 인간 의식 모방 AI 경계 작성일 08-24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3년 내 사람 감정 흉내 내는 AI 등장 가능성…'사람 돕는 도구' 규정 필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sRcRsJqci"> <p contents-hash="02c7ec68773b7f85caf9c2db89f5fb706731efb224a2789aff2e8e705b1908a8" dmcf-pid="POekeOiBcJ"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김미정 기자)"인공지능(AI)이 실제 의식을 가지는 게 아니라 사람들이 AI가 의식 있다고 착각하는 게 가장 위험합니다. 지금 당장 AI를 인간을 위한 도구로 명확히 규정하고 가드레일을 세워야 합니다."</p> <p contents-hash="ca753c873c610f17ee34ce24681a3b846a7d1efcddeb869c4961ce29f1da67dd" dmcf-pid="QIdEdInbcd" dmcf-ptype="general">23일(현지시간) 무스타파 술레이만 마이크로소프트 AI 최고경영자(CEO)는 2~3년 내 사람 의식과 감정 표현을 완벽히 모방하는 AI 출현이 임박했다고 경고하며 AI 역할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개인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p> <p contents-hash="65c85ead9c85c4c4cd0473ea19b719dbfc6bc77c0e8a1a0916fd4819435e6d0f" dmcf-pid="xCJDJCLKce" dmcf-ptype="general">술레이만 CEO는 "가장 큰 문제는 AI가 실제 의식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AI를 의식 있다고 믿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AI가 단순 도구가 아닌 의식적 존재로 되는 순간 사회적 혼란과 윤리적 논쟁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d790cd880f8ffbf2abf36b1e36f90cc3f2e17b298591c52dcd6c4974d992c0c" dmcf-pid="yfXqXf1mA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무스타파 술레이만 마이크로소프트 AI 최고경영자는 소셜미디어 'X'를 통해 개인 블로그를 소개했다. (사진=X 계정)"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4/ZDNetKorea/20250824170028852cutv.png" data-org-width="639" dmcf-mid="4eJ4pR7vN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4/ZDNetKorea/20250824170028852cutv.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무스타파 술레이만 마이크로소프트 AI 최고경영자는 소셜미디어 'X'를 통해 개인 블로그를 소개했다. (사진=X 계정)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e037e9b2aa9f255d130bd296f3af3b1b514380cee498e25139f9aa562428db8" dmcf-pid="W4ZBZ4tsaM" dmcf-ptype="general"><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술레이만 CEO는 이런 AI를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겉보기에 의식 있는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AI(Seemingly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Conscious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AI, SCAI)'로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칭했다. 해당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AI는 실제 의식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사람을 속일 만큼 의식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모델을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뜻한다. 장시간 인간과 대화를 이어가고 과거 대화를 기억하면서 사람 감정을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흉내 내는 식으로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작동한다. 이에 사용자는 이를 살아 있는 존재로 착각할 수 있다는 </span><span arial="Arial," blinkmacsystemfont="BlinkMacsystemFont," neuequot='Neue",' next="Next" nova="Nova" quotavenir='"Avenir' quothelvetica='"Helvetica' quotproxima='"Proxima' quotsegoe='"Segoe' roboto="Roboto," rubik="Rubik," sans-serifquot='sans-serif;"' system-ui="system-ui," uiquot='UI",' w01quot='W01",'>것이다. </span></p> <p contents-hash="2167f0a111496b727b7327b9c739926da13b8ccf1e0112de17ca12c742ec373f" dmcf-pid="Y5DyD5meAx" dmcf-ptype="general">그는 사람들이 AI를 친구나 파트너처럼 대하거나 정서적으로 의존할 경우 'AI 정신병증'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p> <p contents-hash="241602f855aa700bf5381338f10a00dd58bb949b8afa12b4d972a45837ec2c28" dmcf-pid="G1wWw1sdoQ" dmcf-ptype="general">실제 AI 챗봇과 정서적 유대 관계를 맺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포춘지는 미국 뉴욕에서 한 회계사가 챗GPT와 지나치게 많은 대화를 나눈 뒤 망상에 빠져 위험한 행위를 시도한 사건을 다룬 바 있다. </p> <p contents-hash="753b33dfe2c7102c5f5781088e8aa2b0c09cadfad985ef832adc0e2b6b6732b6" dmcf-pid="HtrYrtOJNP" dmcf-ptype="general">또 AI를 단순 도구가 아닌 친구나 파트너로 대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보도도 이어졌다. 오픈AI가 GPT-4o에서 GPT-5로 챗GPT 모델을 교체했을 때 특정 버전에 애착 가진 이용자들이 분노를 드러낸 사례도 있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3cf62ecec23a81fed2eb49109cacd047f537ca156bf1008f35ec0f3da32f68" dmcf-pid="XFmGmFIiA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술레이만 CEO는 개발자의 선택과 책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구글제미나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4/ZDNetKorea/20250824170030128ualt.png" data-org-width="640" dmcf-mid="8N6qXf1mo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4/ZDNetKorea/20250824170030128ualt.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술레이만 CEO는 개발자의 선택과 책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구글제미나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7737246b44b0eb5d74635234cb04ea302c9dc64a587fe9a9e959eaf8fbe0c32" dmcf-pid="Z3sHs3Cnj8" dmcf-ptype="general">그는 개발자의 선택과 책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개발자가 모델 기억 능력과 성격, 목표 설정을 의도적으로 설계해 SCAI를 만들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p> <p contents-hash="8435ce78bf930b911f41490809c4a1628b14aedfbc96423a4d083e6c79ed84e8" dmcf-pid="50OXO0hLA4" dmcf-ptype="general">술레이만 CEO는 AI가 실제 의식 있는지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람들이 AI를 사람처럼 대하기 시작하면 법적·윤리적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런 착각이 커지면 AI 권리와 복지, 시민권 주장까지 제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bb228f00bfe4e1ce47afa2024688b214e02d3cf5579b48aa8d3e72107ea98c6b" dmcf-pid="1pIZIploaf" dmcf-ptype="general">그는 AI를 사람으로 착각하지 않도록 명확한 규범과 가드레일을 세우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AI를 어디까지나 '사람 돕는 도구'로 규정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p> <p contents-hash="8f4dfa9d37e2c1cc82981835e72255ae43c4dfeb364bb2f2e13055723895f9c6" dmcf-pid="tUC5CUSgNV"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인격은 없지만 개성은 있는 AI 개발을 지향해야 한다"며 "AI의 권리가 아니라 인간의 권리와 복지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42e8544681e248df6b915dec68e8c8750c17085f2a1a04e41d081e652d225fbf" dmcf-pid="Fuh1huvaj2" dmcf-ptype="general">김미정 기자(notyetkim@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단독] BTS 진, 오랜 인연 매니저 결혼식 사회…의리의 한국행 08-24 다음 행안부, 각종 재해·재난 AI·스마트기술로 대응 강화 08-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