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스포츠를 즐기는 나라'는 실현 가능한가[스포츠리터치] 작성일 08-24 36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모두가 스포츠복지를 외칠 때, 스포츠복지의 본질을 묻다</strong><b>[편집자 주] 이데일리가 대한민국 스포츠의 미래를 고민합니다. 젊고 유망한 연구자들이 현장의 문제를 날카롭게 진단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합니다. 변화의 목소리가 만드는 스포츠의 밝은 내일을 칼럼에서 만나보세요.</b><br><br>[강민욱 칼럼니스트] 오늘날 스포츠는 단순한 여가 활동 또는 국위 선양을 위한 수단을 넘어 국민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자산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스포츠를 복지의 개념과 결합시켜 공공정책을 통하여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국가적 과제로 다루고 있다.<br><br>2025년 대한민국 정부는 ‘누구나 스포츠를 즐기는 나라’를 체육정책 기조로 내세우고 있다. 스포츠복지가 단순한 구호에 그치지 않고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스포츠복지의 본질과 구조를 정립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 <br><br><table class="nbd_table"><tr><td><table class="nbd_table"><tr><td><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18/2025/08/24/0006097424_001_20250824104708891.jpg" alt="" /></span></TD></TR><tr><td>스포츠복지가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본질과 구조를 정립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 이미지=퍼플렉시티 AI</TD></TR></TABLE></TD></TR></TABLE><b>△스포츠복지 가치와 도전</b><br><br>스포츠복지는 국민이 스포츠를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적 시스템이다. 이는 신체 건강 증진뿐 아니라 정신적 안정, 사회적 통합, 세대 간 소통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특히 고령화, 저출산, 지역 소멸 등 구조적 위기 속에서 스포츠는 예방적 복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br><br>2022년 제정된 스포츠기본법은 이러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한 전환점이다. 이 법은 스포츠를 국민의 기본권으로 규정하며, 여성·청소년·장애인·고령자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도입의 법적 근거가 된다. 또한 지역 스포츠클럽 시스템 정착을 위한 정책 추진의 동력으로 작용한다.<br><br>하지만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매년 생활체육 참여율은 증가하고 있지만, 지역 간·계층 간 격차는 여전히 뚜렷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체육시설 접근성,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스포츠 참여 기회, 장애인의 스포츠 환경 등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br><br>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국민생활체육조사와 장애인생활체육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장애인이 주1회 이상 체육활동 참여율은 약 62% 수준인 것과 비교해 장애인의 경우 35%으로 대략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제도적 접근성뿐 아니라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br><br><b><table class="nbd_table"><tr><td><table class="nbd_table"><tr><td><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18/2025/08/24/0006097424_002_20250824104708905.jpg" alt="" /></span></TD></TR><tr><td>장에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스포츠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이미지=퍼플렉시티 AI</TD></TR></TABLE></TD></TR></TABLE>△한국 스포츠복지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b><br><br>스포츠복지는 국민 모두가 자유롭게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의 운동장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정부 정책에만 의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민간 기업과의 협력, 산업과 연계를 통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br><br>지역 기반의 스포츠복지는 지역 스포츠클럽 중심의 주민 참여형 프로그램 확대,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소규모 체육시설 보급 등을 통해 지역 소멸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 장애인, 고령자 등 복지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은 사회적 소외와 배제를 완화하는 데 기여한다.<br><br>이를 위해 전국 단위의 국민체육센터 공급,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지원, 고령자 대상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 개발, 스포츠 바우처 제도 확대 등 스포츠복지 제도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br><br>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스포츠복지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핵심 전략이 될 수 없다. 궁극적으로는 스포츠복지의 대상과 목표 설정을 재정립해야 한다.<br><br><table class="nbd_table"><tr><td><table class="nbd_table"><tr><td><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18/2025/08/24/0006097424_003_20250824104708915.jpg" alt="" /></span></TD></TR><tr><td>이미지=퍼플렉시티 AI</TD></TR></TABLE></TD></TR></TABLE><b>△스포츠는 선택이 아닌 권리다</b><br><br>한국 스포츠복지의 미래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역·계층 간 격차를 줄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공과 민간의 협력으로 지속 가능한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br><br>스포츠는 모든 국민이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권이며,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복지의 수단이다. 이제 스포츠는 개인의 선택이 아닌, 국가가 책임지고 제공해야 할 필수 서비스로 인식되어야 한다.<br><br>‘누구나 스포츠를 즐기는 나라’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현실이다. 스포츠는 몸을 움직이는 행위 그 이상으로, 삶을 회복하고 공동체를 연결하는 힘이다.<br><br><table class="nbd_table"><tr><td><table class="nbd_table"><tr><td><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18/2025/08/24/0006097424_004_20250824104708934.jpg" alt="" /></span></TD></TR><tr><td></TD></TR></TABLE></TD></TR></TABLE><br><br> 관련자료 이전 '스키선수 출신' 야니크 시너, 2026 동계올림픽 '최종 성화봉송 주자' 되나? 08-24 다음 샤라포바, 테니스 명예의 전당 헌액…라이벌 윌리엄스도 '축하' 08-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