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바이러스는 산불처럼 번진다 작성일 08-24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AYRp63Ie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1aa545449936a2b4c4e6e77d1368bf745a1485ad3a845c51e2f9230de464942" dmcf-pid="9cGeUP0Cn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이디어나 농담은 전파되는 과정에서 스스로 진화하며 퍼져 나간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4/dongascience/20250824080543662yegm.jpg" data-org-width="680" dmcf-mid="bDQTgCLKi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4/dongascience/20250824080543662yeg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이디어나 농담은 전파되는 과정에서 스스로 진화하며 퍼져 나간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24e998613e95fd52ed2c80237eaca5bab52ad3b3b1c571443ef12e24df695e5" dmcf-pid="2kHduQphMw" dmcf-ptype="general">왜 어떤 아이디어는 들불처럼 번져 대중화되고 어떤 아이디어는 바로 사라져 버릴까? 이런 사회적 과정을 수학적 모델로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p> <p contents-hash="a05f994a2dde6dbc5bc1fc4cda9301f698fef68f3f08074b62bbe7b4ef1af25e" dmcf-pid="VEXJ7xUldD" dmcf-ptype="general">로랑 에베르-뒤프렌 미국 버몬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아이디어, 농담, 신념, 밈, 바이러스 등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대상 자체가 실시간으로 진화하며 퍼진다는 '자기 강화 연쇄(self-reinforcing cascades)'에 대한 내용을 2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발표했다.</p> <p contents-hash="4e1cebd698e0fc64ea5fc783bdc5c165ac41ce30b439109c8deffa5f15dfd4a4" dmcf-pid="fDZizMuSnE" dmcf-ptype="general">아이디어나 질병 확산 모델은 보통 나뭇가지를 내뻗는 듯한 양상으로 설명됐다. 한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소문을 들으면 그가 두 명에게 전하고, 그 두 명이 다시 다른 두 명에게 전하는 식이다. 바이러스, 아이디어 등의 특성은 변하지 않는 모델이다.</p> <p contents-hash="0a20d4b138f4cdeecf6cc0eb0afa6ade8ef35914ee4ff29d9bb0d674bc357ce8" dmcf-pid="4w5nqR7vRk"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같은 기존 모델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보고 아이디어 확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강도가 변하는 산불의 확산 과정에 주목했다. 울창한 숲에서는 불길이 더 강해지고 빈 공간에서는 쉽게 꺼지는 것처럼 아이디어도 전파되는 맥락에 따라 힘을 얻거나 잃는다는 것이다. </p> <p contents-hash="4d0452ccafbca3ee687a4a891a1888c3255e917fb94c2ecdc3aed7ad02cd1050" dmcf-pid="8r1LBezTJc"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각 전파 단계에서 일정 확률로 아이디어가 더 나아질 때도 있고, 반대가 될 수도 있는 '무작위 보행(random walk)' 규칙을 따를 것으로 가정했다. 규칙을 토대로 통계물리학 도구를 적용해 아이디어 확산의 수학적 특성을 분석했다.</p> <p contents-hash="356d64d0912405652d6fdc2a13ac451f656ee1725d6e520dd4c60e2f14ef69ad" dmcf-pid="6mtobdqyLA"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기존의 단순 분지 모델은 확산 크기 분포가 항상 1.5로 고정됐다. '작은 사건은 흔하고 큰 사건은 매우 드물다'는 패턴만 예측 가능하다. 모든 상황이 똑같은 패턴을 따른다고 가정하는 셈이다. </p> <p contents-hash="896b9327d0f05177509e0fc6d3616f522002d61081d48917f28ff6019058e65c" dmcf-pid="PsFgKJBWRj" dmcf-ptype="general">이와 달리 새롭게 제안된 자기 강화 연쇄 모델에서는 상황에 따라 달라졌다. 평균적으로 한 단계에서 3명이 전파를 이어가는 네트워크에서 아이디어가 퍼질 때마다 확산 크기 분포값이 3.5에 이르렀다. </p> <p contents-hash="c10e5ae83cea3c042d262cdf52c39b2b8662d7384a77ecbe0e9d7c4a8502182b" dmcf-pid="QO3a9ibYRN" dmcf-ptype="general">실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콘텐츠나 감염병 데이터에서 질병의 확산 크기 분포 값은 2~4 범위에 있다. 연구팀은 "새로운 모델이 '대부분은 작은 규모에서 사건이 멈추지만 드물게 아주 큰 확산도 일어난다'는 현실적 패턴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7234f0140240f884fb922bd720bcf1f5b36490b3bcedf02fbe75f280ece870b8" dmcf-pid="xI0N2nKGRa"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지원하는 대규모 데이터 과학 프로젝트 ‘SOCKS(Science of Online Corpora, Knowledge, and Stories)’와도 맞닿아 있다. SOCKS는 데이터를 분석해 정치, 문화, 공중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 사회의 변화를 이해하는 게 목표다.</p> <p contents-hash="50d53119ed37fd80b4ab7bf776ba0204287daa0cc19d6f997813e6eee2bf24cc" dmcf-pid="yVN0O5meeg" dmcf-ptype="general">주니퍼 로바토 버몬트대 컴퓨터공학과 연구원은 "이번 연구가 신념 형성, 허위 정보, 사회적 전염을 더 잘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6200fff3da78d94ffb9d7b2645e2a149ceeec72d3b7c1ef8aa62d82e81ce9dd5" dmcf-pid="WqiZEWc6Lo" dmcf-ptype="general"> <참고 자료><br> - doi.org/10.1103/5mph-sws5</p> <p contents-hash="dfc7bbffe170763d21aa11b8e8160a7553277fa4e90e18207644ff019a74821f" dmcf-pid="YBn5DYkPRL" dmcf-ptype="general">[정지영 기자 jjy2011@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마션’이 병 걸리거나 다치면?…AI에 치료법 묻는 시대 열렸다 08-24 다음 800m 뛰고 마라톤 우승? 슬리퍼 신고 마라톤 뛴 노숙자? 08-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