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R&D 1조 넘긴 네이버…카카오는 하반기 대형 투자 작성일 08-24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네이버, R&D에 첫 1조원 투입…하이퍼클로바 기반 AI 개발 주력<br>카카오,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AI 사업·내부 서비스 안정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52QAho9X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f281cefa7964b4072b31fa3a7221e9b5a36bd9b3ee422385633260433077297" dmcf-pid="xUQimYkPX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4/NEWS1/20250824070122748tvsk.jpg" data-org-width="1400" dmcf-mid="f5XCtKHEZ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4/NEWS1/20250824070122748tvs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fc63b81d9d1f2227e8512b8c2737fe9225a970f54a28f11759d8a45c6c8f9f8" dmcf-pid="yATZKR7vtz"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신은빈 기자 = 네이버(035420)와 카카오(035720)가 올해 상반기 인공지능(AI)에 전사적 역량을 쏟아부었다. 네이버는 연구개발(R&D) 비용으로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원을 투입했고, 카카오는 2029년까지 데이터센터 준공과 운영에 약 425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p> <p contents-hash="11b3d90520221b44600b075f627f858cf6b68318cd7e9b2f0ed7b93e5137bd8b" dmcf-pid="Wcy59ezTH7" dmcf-ptype="general">양사는 자체 언어모델과 생성형 AI 기술 고도화 등 상반기에 진행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이어가며 AI 사업에 전력투구할 방침이다.</p> <h3 contents-hash="a796fad651e1d3d86f90e6be072d2f7e953f2a97a5667414980808dfa8fc017d" dmcf-pid="YkW12dqytu" dmcf-ptype="h3">네이버, R&D에 1조원 투입…상반기 역대 최대치</h3> <p contents-hash="b84205a67d10c691e4d47ad6515651ea0dad9202d23715abb548fc3138d48356" dmcf-pid="GEYtVJBWtU" dmcf-ptype="general">24일 네이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연구개발 비용으로 1조 386억 원을 투입했다.</p> <p contents-hash="fb7403a39c6d00db213b6fcaf68b5c738460764d0ee2204b6934638cbafd1227" dmcf-pid="HDGFfibYtp" dmcf-ptype="general">상반기 기준 네이버의 연구개발비가 1조 원을 넘은 일은 사상 처음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8957억 원)과 비교했을 때는 약 16% 늘었다.</p> <p contents-hash="00688d6afe14a2792a867718aed34bd0e15777bd3ac5f4b2ff0bc8b447b5a663" dmcf-pid="XwH34nKG10" dmcf-ptype="general">이 기간 시설투자(CapEx) 금액은 1628억 원으로 집계됐다. 데이터센터 서버와 비품 등에 투입된 금액이 1512억 원으로 전체의 약 93%를 차지한다. 서버 투자 비용은 지난해보다 약 67% 늘었다.</p> <p contents-hash="c5e36f2d2ed56cb467bf0477a1b069808db5c9ef5282b270616738fecd8d00f5" dmcf-pid="ZrX08L9HG3" dmcf-ptype="general">네이버는 "현재 춘천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업무 공간 추가 확보 등을 위한 토지와 건물, 서버 등에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c45b9e0fe6f6da8d7beeff498d550e4e8b0d7afac85cbff806d8a249b6e08fc" dmcf-pid="5mZp6o2XH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4/NEWS1/20250824070124235egzy.jpg" data-org-width="1400" dmcf-mid="62HI1bGkY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4/NEWS1/20250824070124235egz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a6af5f860b4a65ddc892fcfaa627ddeb97ed887bda6cc4f0a05093b9d3d28ee" dmcf-pid="1s5UPgVZZt" dmcf-ptype="general">네이버는 이번 상반기 AI 중심의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p> <p contents-hash="46f2122005d78f271c08d3984e59e5e2bab4fe83fee4fe3f70831517b8b958d8" dmcf-pid="tO1uQaf511" dmcf-ptype="general">우선 자체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를 기반으로 검색·문서 요약·대화 등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초대규모 딥러닝 언어모델과 엔진을 개발하고 있다.</p> <p contents-hash="ddf8a5c34dcf8fcfc7d088e7a72cdd96b12d6a6ee5c3a6cd57f20696deab45e0" dmcf-pid="FnOTU4tsX5" dmcf-ptype="general">'하이퍼클로바X'를 적용해 네이버의 각종 버티컬(세부)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플레이스와 스토어 리뷰를 자동 분류하고 답변 초안을 써주거나, 플레이스 홍보 숏폼(짧은 동영상)을 자동 생성하는 기술 도구도 개발한다.</p> <p contents-hash="82fe0e6237f953dae3c72d67b0a838fb4c1a4f52978dd6c338e2b34932fbf0fc" dmcf-pid="3LIyu8FOGZ" dmcf-ptype="general">AI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취향과 관심사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고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은 물론, 동영상의 음성을 인식해서 문장으로 번역한 뒤 자막으로 변환하는 서비스도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연구개발 목록에 올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55e407fb0fb0fdffbdd24a26b3e42633a56c5315c6ee7426c2b1f28e5f36374" dmcf-pid="0oCW763I5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4/NEWS1/20250824070125759hgpm.jpg" data-org-width="1400" dmcf-mid="PJsvpf1mH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4/NEWS1/20250824070125759hgp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da92a118f946cd326de76d5c04c2b8a8d7150b74d2729a8cabed273824ed7c4b" dmcf-pid="pghYzP0CYH" dmcf-ptype="h3">카카오, 데이터센터 주력…'카나나' 중심 AI 개발 진행중</h3> <p contents-hash="4c7c96a3d8638f9b65b2f0214b99e429668e7b69694a4c8592f9faca1ff9c802" dmcf-pid="UalGqQphHG" dmcf-ptype="general">카카오의 2025년 반기보고서에 나타난 상반기 연구개발 비용은 6374억 원으로 지난해(6499억 원)보다 소폭 줄었다. 같은 기간 시설투자 금액도 996억 원으로 전년보다 감소했다.</p> <p contents-hash="6327a9cd963ed5ed416049b169a465b90c997732be1528f8197041de3e4f46b1" dmcf-pid="uNSHBxUl5Y" dmcf-ptype="general">다만 카카오는 AI에 꾸준히 투자하기 위해 시설투자 금액을 추가 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데이터센터와 신규 AI 서비스 플랫폼 '카나나', 오픈AI와의 협업을 통한 AI 에이전트 개발 등에 주력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93509c24703b6d1a711134e1dcc826bc9e12c58adf51554b45f8f28346f026a1" dmcf-pid="7jvXbMuSGW" dmcf-ptype="general">그중 데이터센터는 카카오 그룹 전체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우선 과제로 꼽혔다. 카카오는 2023년 10월 안산 제1데이터센터를 준공하고 지난해 1월부터 운영하고 있다.</p> <p contents-hash="e53f839f95764ea756833da4493ec8955c3ababb3b990a26e5ecd236450a692c" dmcf-pid="zATZKR7v1y" dmcf-ptype="general">향후 데이터센터 관련 사업에는 4249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데이터센터 건축 비용뿐 아니라 준공 후 운영을 위해 2029년까지 필요한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등 설비 투자까지 포함한 금액이다.</p> <p contents-hash="003dd7495dcfb625be53cff5ab7139755de9dbdd2d2e136308338731372b958f" dmcf-pid="qcy59ezTYT" dmcf-ptype="general">카카오는 "데이터센터는 카카오 그룹 서비스는 물론 연내 준비하는 AI 서비스에도 중요한 인프라 자산이 될 예정"이라며 "외부를 겨냥한 매출보다는 내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데 먼저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34e93f2dd9e03e2f1c15956ca993961c19611ca384b158705d1e3cb5b116d73f" dmcf-pid="BkW12dqyGv" dmcf-ptype="general">주요 연구개발 프로젝트 역시 AI를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특히 자사 AI 서비스 전체를 '카나나'로 브랜딩하겠다고 밝힌 만큼, 연구조직 '카나나' 아래 멀티모달·생성형 AI·AI 에이전트 모델 등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p> <p contents-hash="2d7099e308922fd105b605bff0ff35a7a748afcd95fbe4241ae7ebbb308a468e" dmcf-pid="bEYtVJBW5S" dmcf-ptype="general">bean@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친절한T]"혈당이 184?" 놀라 젓가락 내려놨다…살 빼고 돈도 버는 '이 앱' 08-24 다음 10년간 일본 주름잡은 NHN, '어비스디아'로 공세 개시 08-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