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수 석학에 연봉 20억 지원…내년 연구 과제 2800개 신설" 작성일 08-22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026년도 국가 R&D 예산안 과기정통부 브리핑 <br>35.3조원 '역대 최고' 예산… 주요 R&D 30.1조원 <br>'R&D 예산 삭감 진상 조사 TF' 구성 예고</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wRAnExpXx">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b16d46bc6815a72ce7acfed7d39a508c0a68500a74929a2074bd84eddd0cce" dmcf-pid="8recLDMUX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moneytoday/20250822174640617gnpb.jpg" data-org-width="1200" dmcf-mid="2iF9uf1mt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moneytoday/20250822174640617gnp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룸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863fb906984ae38ec4af2e06c09aea505c7df6672cef43d744629bc898c0b27" dmcf-pid="6mdkowRuZP" dmcf-ptype="general"><br>'역대 최대' 국가 R&D(연구·개발) 예산안을 발표한 정부가 약 5조원을 투입해 기초연구 회복과 인재 양성에 나선다. </p> <p contents-hash="0148faeae62cf89e6a536fe3a0ad873d20efd33d991b4ac12c6eec4f8631847f" dmcf-pid="PsJEgre7X6" dmcf-ptype="general">22일 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하 본부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내년도 R&D 총예산안 35조 3000억원은) 단순한 숫자 증액을 넘어 연구 현장과 국민께 연구 생태계를 복원하겠다고 드리는 약속"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af5a303280f13e2abecf304fb9af90ec57c55517ab7fa934c37deeb7748ed1e7" dmcf-pid="QOiDamdzG8" dmcf-ptype="general">내년도 R&D 총예산 35조3000억원 중 과학기술 R&D가 포함된 주요 R&D는 30조1000억원이다. 전년도(24조8000억원) 대비 21.4% 증액했다. 이 중 3조4000억원을 기초연구에 투자한다. 개인기초연구과제 수를 1만5000개까지 확대하고 폐지됐던 기본 연구사업을 복원한다. </p> <p contents-hash="3b133965b0a271ea831c5ff5b65225982935a7f932ce444d33b44423d4178280" dmcf-pid="xExNJcP3Y4" dmcf-ptype="general">박 본부장은 "2025년도 1만1000개로 떨어졌던 기초연구 과제 수를 내년 1만 5311개로 완전히 복원한다. 더불어 전 정부의 예산 삭감 당시 사라졌던 비전임교원을 위한 기본 연구를 복원한다. 신규 과제 2000개와 비전임 교원 과제 790개를 합하면 총 2800개 신규 과제가 내년에 생길 예정"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356f2746de7c730208a248cf6bbf881fc3f79fd6c1263f0f68cf056547183f1b" dmcf-pid="yzy0Xuvatf"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지난해 과제 수가 많이 삭감돼 연구자의 과제 수혜율이 낮아진 것이 생태계에 혼란을 초래한 원인이라고 봤다"며 "이같은 판단에서 1억원 이하의 과제를 2800개 수준으로 복원한다"고 덧붙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378e05fe2620375f926b765c0d1041acc548df0ac3352495867c125870d1c95" dmcf-pid="WqWpZ7TN1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6년도 주요 R&D 예산안/그래픽=윤선정"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moneytoday/20250822174641878rrce.jpg" data-org-width="520" dmcf-mid="frF9uf1mt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moneytoday/20250822174641878rrc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6년도 주요 R&D 예산안/그래픽=윤선정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348bff6723d5febc98aa25e249c26148828da75555a2b77914c529c23fbd9b0" dmcf-pid="YBYU5zyjZ2" dmcf-ptype="general"><br>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인력 양성책에 1조3000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해외 우수한 연구자를 파격적으로 영입하기 위한 '인재 유치 프로젝트'(Brain to Korea)를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팀당 연 2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ca3793ca08c2ab1338ee30634bece52b722ca79c90105302e88146d039a08db3" dmcf-pid="GbGu1qWAY9"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연구자 1명에게 연봉 20억원을 지급하거나 연구자 3명으로 구성된 한 팀에 20억원을 나눠주는 구조"라며 "(20억원은) 우수한 석학을 모시는 데 있어 협의할 수 있는 최적의 규모라고 봤다"고 했다.</p> <p contents-hash="2036b53bca13ecdde787741203521caf317d030a5b72dbfc60c1cff81880e60b" dmcf-pid="HKH7tBYcGK"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또 내년 신규 사업을 통해 AI(인공지능), 바이오 등 핵심 분야에서 신진연구자 6000명, 박사후연구원 2500명, 석·박사 인력 1만 6000명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각 R&D 사업의 수용 인원을 집계한 수치다. </p> <p contents-hash="bcdef5b4c23c0f9af0c2a910742a890eeea6cf7361e5d4afc93e9b2a7f6e6cab" dmcf-pid="X9XzFbGk5b" dmcf-ptype="general">한편 과기정통부는 2023년 국가 R&D 예산 일괄 삭감과 관련, 사태가 발생한 경위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팀(TF)을 조만간 발족할 예정이다. 박 본부장은 "TF 구성을 위한 논의를 시작한 상황"이라며 "우선 당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사실 위주의 내용을 구성해 볼 것"이라며 "혁신본부를 벗어나는 범위에 대해선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p> <p contents-hash="655c21d9702a5e9bc38a6d53c368caae72ba013b3aed369999c58f4c6bd1592e" dmcf-pid="Z2Zq3KHEXB" dmcf-ptype="general">박 본부장은 "어렵게 마련한 소중한 재원인 만큼 성과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제가 대한민국의 CTO(최고기술경영자)로서 운영과 관리를 철저히 하겠다"고 했다. </p> <p contents-hash="64d00db9c307b0adc8dabb3de1840e5c2acba36bf61c703efa21152c003dc970" dmcf-pid="5V5B09XDHq" dmcf-ptype="general">박건희 기자 wissen@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추가 투자하면 지분 인수 안해"···트럼프, 말 바꾸며 압박 08-22 다음 임종훈·신유빈 만리장성 넘나…中과 한 달 만 결승전 재회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