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데헌' 매기 강 "웃기고 솔직한 여성 캐릭터 원했다" [MD현장] 작성일 08-22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pTYJcP3IO">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b386f4239c0e76062e6e77f95cae02ad787b4e43cdb5d4ca5d6ce00f9ffed46" dmcf-pid="PUyGikQ0s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매기 강 감독 / 넷플릭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mydaily/20250822161058782oypa.jpg" data-org-width="640" dmcf-mid="86t0cCLKO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mydaily/20250822161058782oyp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매기 강 감독 / 넷플릭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7fb41bc6b62873da4071f581709753bbb2e6204bbde7e62daa69b5414bcf3dc" dmcf-pid="QuWHnExprm" dmcf-ptype="general">[마이데일리 = 김지우 기자] 매기 강 감독이 '케데헌'만의 포인트를 짚었다. </p> <p contents-hash="97fa4479f402451398d69611c4c6467e0f77f38a375802ddb515000a6b715fbe" dmcf-pid="x7YXLDMUEr" dmcf-ptype="general">22일 서울 용산구 CGV아이파크몰에서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연출한 매기 강 감독의 내한 기자간담회가 열렸다.</p> <p contents-hash="ea605d633fe73f8d65aff4f2f00e03e96dc461b4f88457236666438d6cb86ec5" dmcf-pid="ykRJ1qWArw" dmcf-ptype="general">'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케이팝 슈퍼스타인 루미, 미라, 조이가 화려한 무대 뒤 세상을 지키는 숨은 영웅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담은 액션 판타지 애니메이션 이다. 공개 이후 넷플릭스 글로벌 TOP 10 자리를 지키며, OST '골든'으로 미국 빌보드 '핫 100'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f8ffde18012e89b55d39a75dd05504bc35bea9c9f4ab5527e4976ebabd8622cc" dmcf-pid="WEeitBYcOD" dmcf-ptype="general">이날 매기 강 감독은 “루미 같은 여자 캐릭터를 만들고 싶었다. 이전에 작업을 하면서 여자 캐릭터는 늘 예뻐야 했고, 너무 웃기거나 바보 같으면 안 됐다. 내 작품을 하면서 진짜 웃긴 얼굴, 음식을 이상하게 먹는 여자, 그런 솔직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사실 나 같은 여자의 모습이기도 하다. 있는 그대로의 코믹한 여성을 담고 싶었다”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0189d9a78f274d5f50fc3162f33b0d6d4d85140260112e7b6d8bc59b56c05f9" dmcf-pid="YDdnFbGkDE" dmcf-ptype="general">이어 “감독으로서 가장 중요한 건 자신감"이라며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고 관객의 눈치를 보면 진정성이 사라진다. 관객들은 진짜를 원한다. 나 역시 두려움이 있었지만 있는 그대로의 한국 문화를 보여주고 싶었다. 그게 글로벌하게 뻗어나갈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0de784632a3013102d6fc6ad00c419b372fe926dfa1fbebd16b906ce3500ceb7" dmcf-pid="GAYXLDMUIk" dmcf-ptype="general">또한 “전통적으로 무당은 여성이 많았고, 굿을 할 때 남성의 의복을 입는다. 그 사실이 흥미로웠다. 오래전부터 이어져온 전통에서 진보성을 느꼈다. 페미니즘의 상징처럼 보이기도 했다. 자연스럽게 한국 문화와 신화를 연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52194b4dfeee00a91395d593b07683607296e29ae811f2fa65a2d16ae32e2eb" dmcf-pid="HcGZowRusc" dmcf-ptype="general">강 감독은 “굿은 최초의 콘서트라고 생각한다"며 "여러 세대를 거쳐 헌터들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보여주고 싶었다. 오프닝 신은 짧지만 우리의 히스토리를 담았다. 그 점이 자랑스럽다”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40944293dde7aae462d457c5631ccc5de111e1470946637757ccc994d7aa3a14" dmcf-pid="XkH5gre7rA"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넷플릭스에서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 ‘오징어게임’, ‘피지컬 100’ 등 한국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얼마나 매력 있는지 알고 있다. 내 주변에도 안 본 사람이 없다. 내가 다루고 싶은 주제는 슈퍼히어로 서사 같아 보일 수도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수치심이었다. 기존 애니메이션에서 잘 다루지 않은 주제다. 애니메이션이 아이들만을 위한 전유물이 아니라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 그래서 더 복잡하고 다층적인 서사를 원했다. 화려한 볼거리와 성숙한 주제를 합쳐 진정한 의미의 감정적 블록버스터를 만들고 싶었다”라고 밝혔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그루브+풀파워 다 가능…몬스타엑스 ‘두 왓 아이 원트’ 퍼포먼스 비디오 공개 08-22 다음 사업 담보로 초4 딸 맡긴 아빠 '충격'…"뺨 맞아 귀 출혈도" 고백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