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구·전북·경남 4대 AI 혁신거점 조성 '예타 면제' 확정 작성일 08-22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2일 2025년 제6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서 의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8CqlZrR1X">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18519cbc2bbf49ed52f4d8b77ca01a4a241345730403bad832579fc3c043b88" dmcf-pid="W6hBS5meZ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R&D 혁신을 위한 민간 자문단 회의'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moneytoday/20250822160116894wuel.jpg" data-org-width="1200" dmcf-mid="x3nyowRuG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moneytoday/20250822160116894wue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R&D 혁신을 위한 민간 자문단 회의'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71d3e2c3a625a952f95115f1e7b343d679504111f35c3cef46a081d231a1bcc" dmcf-pid="YPlbv1sd5G" dmcf-ptype="general"><br>광주, 대구, 전북, 경남에 AI(인공지능) 거점을 마련하는 'AI 혁신 거점'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면제돼 본격적으로 추진된다.</p> <p contents-hash="8e4df030f47fe28a10ff492be7ab2831a9688144021bbb6e0bb23085827a8936" dmcf-pid="GQSKTtOJ5Y"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2일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2025년 제6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개최해 국가 정책적으로 시급한 사업에 대한 예비타다당성조사(이하 예타)를 면제하고 2024년 3차 예타 사업 1개를 확정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328d9d0746f4d14d05e195969ce2b8eb74d1c8b4f1a2ad2623ce1db84bc3f0b7" dmcf-pid="Hxv9yFIi5W" dmcf-ptype="general">우선 과기정통부, 산업부,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AI 혁신 거점 사업'이 예타에서 면제됐다. </p> <p contents-hash="7618bbba1d6b5232fd4746d6e3c3da33dbd7d66c4ffad8008685ea76d5b61ee3" dmcf-pid="XMT2W3Cn5y"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광주광역시 'AX 실증 밸리 조성사업' (과기정통부, 산업부) △대구광역시 '지역거점 AX 혁신 기술개발사업' (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 △전북 '협업지능 피지컬 AI 기반 SW플랫폼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사업' (과기정통부) △경남 '인간-AI 협업형 LAM 개발·글로벌 실증사업' (과기정통부)이 추진된다.</p> <p contents-hash="b844d3878b0d178244886477eec98e85fbcc5bd26aa1c9e6d3457353070c71f4" dmcf-pid="ZdY4HUSgYT" dmcf-ptype="general">정부는 지역 데이터센터의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지역 특화형 'AX'(AI 전환) 모델과 제품을 개발하고 현장 실증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광주는 도시·생활 혁신 AX(AI 전환)·모빌리티·에너지 분야, 대구는 로봇·바이오, 전북은 모빌리티·제조·푸드테크, 경남은 정밀 제조·정밀 의료에 특화한 AI R&D(연구·개발)를 주도하게 된다. </p> <p contents-hash="fc2412092156301f862aa039b3289f226880b10ec39270083e8c0a821091fa62" dmcf-pid="5JG8Xuva1v" dmcf-ptype="general">이 밖에도 위원회는 수요기업과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이 협력하는 국산AI반도체 개발 사업(산업부), SMR(소형모듈원자로) 혁신제조 국산화 기술 개발 사업(산업부), 우리나라 최초 종합해양연구선 '온누리호' 대체 건조 사업(해양수산부) 등 3개 사업의 예타를 면제했다.</p> <p contents-hash="164736c77b86b68a0feb7fcabbcb36ab618052b753916a0c0a4c9ddd310514f5" dmcf-pid="1iH6Z7TNYS" dmcf-ptype="general">더불어 지난해 11월 예타 대상으로 선정한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사업'(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 식약처)의 예타 결과를 '시행'으로 확정됐다. </p> <p contents-hash="ba4c34807ad18d332b94ee18da36a8788621b90527f1db0d87a246879355d9b3" dmcf-pid="tnXP5zyjXl" dmcf-ptype="general">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사업은 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첨단 의료기기를 원천기술 수준부터 제품화, 인허가까지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전주기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업 기간은 내년부터 2032년까지 7년으로 총예산은 9408억원이다. </p> <p contents-hash="379f8ca1394e1fdd830cbfafa1a0ab53365c38c0310b094d74d60fc5289c0063" dmcf-pid="FLZQ1qWAYh" dmcf-ptype="general">박인규 과기혁신본부장은 "연구개발 투자는 한시도 지체할 수 없다는 범부처적 위기감과 공감대가 있어 AI 관련 사업의 예타 면제가 신속하게 결정됐다"고 밝혔다. 또 "예타가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 확보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국가 R&D에 대한 예타 제도가 빠르게 폐지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p> <p contents-hash="0ccb73db0b1600cd599f0f5f425ffbb8e7cae0eb2807b925f0c4252f0171a4e0" dmcf-pid="3o5xtBYcGC" dmcf-ptype="general">박건희 기자 wissen@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딥핑소스 “AI 데이터 익명화 기술로 매장 운영 효율 강화” 08-22 다음 김건 넷마블몬스터 대표 "몬길, 세계적인 게임 IP로 만들겠다"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