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우 엔딩은 모르는 것”…‘케데헌’ 감독, 작업기→후속 귀띔까지 (종합)[DA:현장] 작성일 08-22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h2X9MuSpf"> <div contents-hash="8a2aee70db30f548b840ac85895827abd8ba284babdae07561238c8abb33ed30" dmcf-pid="qlVZ2R7v3V" dmcf-ptype="general"> [동아닷컴]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3f3e1914b7b2a9a12d152045eebb719842bd82411b0793b08f7a06629fd702c" dmcf-pid="Bmqyz8FOU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sportsdonga/20250822155427931dapc.jpg" data-org-width="1600" dmcf-mid="UxZwXuvaz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sportsdonga/20250822155427931dapc.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24f7c7fd1125378adb49ab5975f8c4b407bd0ec0f537a36ecd33a9460e5f2a16" dmcf-pid="bsBWq63I09" dmcf-ptype="general"> “진우 엔딩은 모르는 것”…‘케데헌’ 감독, 작업기→후속 귀띔까지 (종합)[DA:현장] </div> <p contents-hash="61af3f1a02aa99521182d911e7bc43d0c72485131f34c2a9eef33981ac675a86" dmcf-pid="KObYBP0C7K" dmcf-ptype="general">‘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연출한 매기 강 감독이 폭발적인 관심과 사랑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더불어 7년에 걸친 작업기를 돌아보는 동시에 후속작 계획까지 귀띔하며 팬들의 기대감을 한층 높였다.</p> <p contents-hash="7607cc6a0ccde61ac58fc35de0b7ad357488cf0ecca45141e2a313118d45b6dc" dmcf-pid="9IKGbQphzb" dmcf-ptype="general">22일 오후 2시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연출한 매기 강 감독의 내한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p> <p contents-hash="ea6cb9f8f07cb8987c07bb955e1d58400b57700ea44f7364a6ec56ec58002b6f" dmcf-pid="2C9HKxUlUB" dmcf-ptype="general">이날 매기 강 감독은 먼저 “진짜 믿어지지 않고 실감이 나지 않는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사랑해준 팬 분들에게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이 영화가 가지는 매력은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시청자들이 캐릭터들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영화가 가진 아름다움이기도 하다. 영화는 장벽을 허무는데 있어서 최상의 예술의 형태”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모두가 사랑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고, 안정적이고 싶어한다. 그렇기에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라며 “6살 아이도 루미가 가진 두려움을 공감하더라. 그런 공감 덕분에 다양한 성별, 연령대, 인종을 넘어 사랑받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6fd6f9581f4caaf48ef2682b71637a36ff48bf2e2666e0ffcccbfa0bed9e753" dmcf-pid="Vh2X9MuSF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sportsdonga/20250822155429534ntkz.jpg" data-org-width="1600" dmcf-mid="u6bYBP0C3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sportsdonga/20250822155429534ntkz.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e481848f03a6f400a11fd8e2e7b8ea612ef11bb20a0f1809c1488c5e6a0e9ee2" dmcf-pid="flVZ2R7vzz" dmcf-ptype="general">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케이팝 슈퍼스타인 ‘루미’, ‘미라’, ‘조이’가 화려한 무대 뒤 세상을 지키는 숨은 영웅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담은 액션 판타지 애니메이션이다. 지난 6월 공개 이후 넷플릭스 글로벌 TOP 10 리스트 영어 영화 부문에서 빠짐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매기 강 감독은 “애니메이션이 아이들만을 위한 콘텐츠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아이들만의 전유물은 아니다’라는 생각의 변화를 가져오고 싶었다. 그래서 복잡하고 다층적인 서사를 원했다. 슈퍼 히어로 같은 캐릭터를 통해서 화려한 볼거리까지 충족하면서 굉장히 성숙한 주제까지 함께 보여주고 싶었다. 두 가지를 충족했을 때 진정한 의미의 감정적 블록버스터가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진짜’를 보여드리려고 노력했다. 우리가 가진 문화와 한국적 감성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자 했다. 있는 그대로를 드러냈다가 잘못될 수도 있기 때문에 두렵기도 하지만 잘 될 수도 있으니까. ‘케이팝 데몬 헌터스’ 크리에이터들의 손길은 진정성이 있었고 ‘진짜’였다. 한국 문화가 더 글로벌하게 뻗어나가는 유일한 길을 있는 그대로 자신감 있게 세계에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처럼 한국 문화를 친밀하게 이해하면서도 다른 문화권에 대한 이해가 깊은 크리에이터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달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매기 강 감독은 “어릴 때 선생님이 어느 나라에서 왔냐고 물어봐서 ‘사우스 코리아’라고 말했는데 지도에서 못 찾더라.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색깔이 다르게, 발전이 덜 된 나라로 표시돼 있어서 쇼크를 받았다. 우리나라를 이렇게 본다는 것을 느꼈고 우리나라를 알리고픈 마음이 생겼다”며 “해외에서 만든 한국 콘텐츠를 보면 틀린 부분이 많지 않나. ‘뮬란’의 경우도 중국의 이야기인데 일본 기모노 스타일의 옷을 입는다. 아시안으로서 기분이 나쁠 수 있지 않나. 한국 작품을 만들 때 디테일까지 정확하게 만들고 싶었다. 나 혼자가 아니라 팀에도 한국 분들이 많았다. 팀워크를 발휘해 만들었다”고 자긍심을 드러냈다. 그는 “우리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다. 도깨비, 저승사자 등의 이미지가 미국에서는 색다를 것이라고 생각했고 자연스럽게 데몬 헌터 아이디어가 나왔다. K팝은 마지막에 들어왔다. 7~8년 전 할리우드에서 K팝 영화를 만들고 싶었는데 풀지 못했다. 데몬 헌터와 K팝이 뭉치니까 콘셉트가 재밌게 나왔다”고 설명했다. 실제 모델이 된 아이돌 그룹과 관련된 질문에는 “한 그룹, 한 멤버만 이야기할 수 없다. 많은 분이 궁금해 하시는데 K팝 팬들을 위해서 만들고 싶었다. 나 또한 K팝 팬이다. 한 팬덤의 자격도 없는 것 같다. 두루두루 아는 편이다. 레퍼런스를 정할 때 여러 군데서 뽑았기 때문에 한 그룹만 언급할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3bc8323c1713539ccd76187fc0105a242db79462b6bd4980286258a69a2a93" dmcf-pid="4v41fdqyu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sportsdonga/20250822155431062wvxq.jpg" data-org-width="1600" dmcf-mid="7FDxElg2F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sportsdonga/20250822155431062wvxq.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864d73d9fbba396c78aafe7a7d08512a340b07d82d0e365bfad64f5e43591822" dmcf-pid="8T8t4JBWpu" dmcf-ptype="general"> <div> 작품의 인기에 힘입어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는 글로벌 차트까지 장악했다. 특히 헌트릭스가 부른 OST ‘골든’은 미국 빌보드 ‘핫 100’ 1위라는 기록까지 달성하기도 했다. K팝이 ‘핫 100’을 정복한 것은 그룹 방탄소년단 이후 처음으로 여성 가수로선 ‘최초’다. 매기 강 감독은 ‘골든’에 대해 “가장 어려운 곡이었다. 꽤나 늦은 시점에 ‘골든’이 얼마나 중요한 곡인지 깨달았다. 먼저 ‘골든’이 주인공 루미가 자신의 소망과 열망을 담은 대표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주인공에게 주어지는 중요한 곡이기 때문에 너무나 중요한 곡이었다”며 “주인공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의 전사를 전달하는 것도 필요했다. 루미의 출신과 그가 숨기는 비밀 등을 관객들에게 알려줘야 했다. 다른 캐릭터들 역시 정체성이 완전하지 않고 편안하지 않는 전사를 보여줘야만 사람들이 이 곡을 들었을 때 캐릭터의 서사가 와닿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고백했다. 그는 “그래서 ‘골든’은 부르기 어려운 노래여야 했다. 주요 주제가 ‘음악의 힘’인데 우리는 굉장한 고음을 해내는 가수들을 볼 때 가슴이 뛰지 않나. 고음 파트가 높을수록 그 순간 감정이 격해지고 감동을 느낀다고 생각한다. 최종 버전의 ‘골든’까지 7~8개 버전을 거쳤다”면서 “밴쿠버 공항으로 가는 차 안에서 데모를 듣고 순간 눈물이 났다. ‘이거다’라고 느낄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 순간 느꼈기 때문”이라고 털어놨다. 매기 강 감독은 앞선 아리랑TV 토크쇼에서 딸 이름도 ‘케이팝 데몬 헌터스’ 주인공 루미라고 지었다고 밝혔다. 영화 속 루미의 어린 시절 목소리 연기와 노래도 딸이 했다고 말한 바 있다. 관련해 매기 강 감독은 “보이스 액팅도 노래도 아이가 했다. 딸 루미는 자기가 유명해졌다고 자랑스러워하더라. 스튜디오가 엄청 컸는데도 아이가 처음 만나는 어른들 앞에서 노래와 액팅을 하면서도 겁이 없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딸이 너무 자랑스러웠다. ‘내가 잘하면 엄마 영화가 더 훌륭해지니까’라고 하더라. 우리 루미가 끼가 있다”고 ‘딸 바보’의 면모를 드러내 웃음을 자아냈다. 후속작 언급에서는 말을 아끼면서도 흥미로운 힌트를 내던졌다. 매기 강 감독은 후속작 관련 질문에 “아직까지는 공식적으로 말씀 드릴 게 없다”면서도 “아이디어는 조금 있다. 많은 분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나 또한 알고 있다. 트롯 등 한국의 음악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싶다. 한국의 음악을 보여주고 싶다”고 전했다. 악령이었던 진우가 사라진 엔딩과 관련해서는 “(죽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모르는 것”이라면서도 “한국 콘텐츠는 비극을 좋아하지 않나”라고 되묻기도 했다. 한편,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국내 최초로 부산국제영화제 특별 상영을 통해 관객들과 만난다.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에서 스페셜 ‘싱어롱 상영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정희연 동아닷컴 기자 shine2562@donga.com </div>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츠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배우 변우석, ‘다슈(DASHU)’와 재계약…변우석 고데기는 완판 08-22 다음 '9월 5일 결혼' 김종국, 억울함 호소 "내가 물의 일으킨 연예인도 아니고"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