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대학생 과제 채점했더니…학생들, 정확한 피드백에 '만족' 작성일 08-22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g57RN41gN"> <p contents-hash="49a2081205964334e359328cfb759a058a9d3cc7e36790b1325ff1cdf77fc1cd" dmcf-pid="8a1zej8tNa"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AI 에디터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cc12ce93dbb6bc9e1dc09bc962cc22703fa3a2449b1ee12908844c135f1085" dmcf-pid="6NtqdA6Fc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ZDNetKorea/20250822155517238uvpl.jpg" data-org-width="640" dmcf-mid="fSarZ7TNN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ZDNetKorea/20250822155517238uvpl.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4566572e9073c366e1050c581de3a0364c9f1172eca293747576c579affaeddd" dmcf-pid="PjFBJcP3Ao" dmcf-ptype="general">미국 퍼듀대학교 물리천문학과 윈터 앨런(Winter Allen) 연구팀이 물리학 수업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대학 1학년 물리 수업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과학 논리 설명문을 오픈AI의 GPT-4o에게 채점하도록 한 뒤,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것이다.</p> <p contents-hash="55661cea9fff042794240448fadbbb74c2a27647857b2c6f66d12fe4eda76e29" dmcf-pid="QA3bikQ0jL" dmcf-ptype="general">대학 물리 수업에서 학생들은 종종 문제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 채 답만 맞히려고 한다. 연구진은 학생들이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하게 함으로써 더 깊이 있는 학습을 유도하려 했다. 하지만 대규모 수업에서 모든 학생의 글을 일일이 검토하고 피드백을 주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의 도움을 받기로 한 것이다.</p> <p contents-hash="ded001d35b8e2d0807931e996453b329656ab8b0f9e661537344bba84ae5b591" dmcf-pid="xh2MDSaVgn" dmcf-ptype="general"><strong>AI가 매긴 점수, 실제 실력과 정확히 일치</strong></p> <p contents-hash="cd8ff0c95f1051831afc86cf91fb31a738a554aa92344aabd92181325840431f" dmcf-pid="y4OWq63Iji"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GPT-4o가 학생들의 설명문에 매긴 점수가 얼마나 정확한지 확인했다. 퀴즈 8에서는 730명의 학생이 참여했는데, 객관식 문제가 매우 어려워서 정답률이 47%에 그쳤다. GPT-4o는 학생들의 설명문을 5점 만점에 평균 1.69점으로 채점했다.</p> <p contents-hash="ab6c3a1c6dfc7e292783a926196c73d76cd34aeb803455a89cc5665e6f90957c" dmcf-pid="W8IYBP0CAJ" dmcf-ptype="general">놀라운 것은 객관식 문제를 맞힌 학생들의 설명문 점수가 평균 2.14점인 반면, 틀린 학생들은 평균 1.12점을 받았다는 점이다. 통계 분석 결과 이 차이는 우연이 아니라 매우 의미 있는 차이였다. 퀴즈 9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565명이 참여한 쉬운 문제(정답률 76%)에서 정답자들은 평균 2.77점, 오답자들은 2.53점을 받았다.</p> <p contents-hash="bc2ab414dd4f8354893eb2772ef23e2cde0daf078f0c65038b1decc0ca790079" dmcf-pid="Y6CGbQphod" dmcf-ptype="general">이는 AI가 학생들의 물리학적 사고 과정을 상당히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p> <p contents-hash="fef94c5d1972706c71c0c47f54122e366f443409592c0a57bc23bb69d5de0db0" dmcf-pid="GPhHKxUlNe" dmcf-ptype="general"><strong>학생 대부분 "AI 피드백 도움 된다" 긍정 평가</strong></p> <p contents-hash="f97b8c8ecec2a8fb861884b002c47a9f33d4d40211823508a03a6dfa61f034df" dmcf-pid="HQlX9MuSoR"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학생들이 AI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설문조사했다. 퀴즈를 본 후 1~2주 뒤에 학생들에게 AI가 작성한 피드백과 점수를 보여주고, 얼마나 도움이 되고 정확한지 물어봤다.</p> <p contents-hash="2efe205b8bddb5e02dc1ffb97090978084722ac430874b09f4c1a37f49642ff0" dmcf-pid="XxSZ2R7vjM" dmcf-ptype="general">결과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두 번의 퀴즈 모두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AI 피드백을 "대체로 유용하다"와 "대체로 정확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객관식 문제를 맞힌 학생과 틀린 학생 사이에 AI 피드백에 대한 평가 차이가 거의 없었다. 즉, 문제를 잘 풀든 못 풀든 상관없이 학생들이 AI 피드백을 유용하다고 느꼈다는 뜻이다.</p> <p contents-hash="418489ba46c6740c292787209931ec4aec7d38f2a24740cbd75379707ee4f66b" dmcf-pid="ZMv5VezTox" dmcf-ptype="general"><strong>"물리 개념만 콕 집어서 설명" AI 피드백의 장점</strong></p> <p contents-hash="b00f800142b5ea984a2729f33e2cdeaf936a298eb730e7f4f9cf3494631cf75e" dmcf-pid="5RT1fdqyaQ" dmcf-ptype="general">실제 AI가 작성한 피드백 사례를 보면 그 특징을 알 수 있다. 한 학생이 5점 만점에 3점을 받고 "매우 유용함"이라고 평가한 피드백은 다음과 같다. "학생이 쓴 글에서 에너지 보존 법칙을 잘 언급했고, 운동 에너지 변화가 외부에서 가한 일과 같다는 것을 올바르게 설명했다. 전체 시스템에 가해진 일이 운동 에너지 변화와 내부 에너지 변화의 합과 같다는 개념도 잘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점 입자 에너지 원리에 대한 언급이 없고, 속도나 힘, 마찰 등에 대한 가정도 설명하지 않았다."</p> <p contents-hash="94af4ed983bb40d0848e6e5596aace5724fbb78a71f221d5ab111ddd645c68ee" dmcf-pid="1eyt4JBWaP" dmcf-ptype="general">이 사례는 AI가 문법이나 글쓰기 실력보다는 물리학 개념의 정확성에 집중해서 피드백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이런 방식이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 향상에 더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8ad4ba55256655a598d96680d73fb97f1d0d80510f281b4754992befd4d9f43b" dmcf-pid="tdWF8ibYo6" dmcf-ptype="general"><strong>FAQ</strong></p> <p contents-hash="9fb92c06675a0cde6d3060632f58664fd17cadb4649bab61536aa6c48636fcc2" dmcf-pid="FJY36nKGc8" dmcf-ptype="general"><strong>Q: AI가 학생들의 과학 과제를 제대로 채점할 수 있나요?</strong></p> <p contents-hash="5c35408377df8b970b7a8d2ed0fb6ecb58305c1a5cfb63332cdae5b4125c7700" dmcf-pid="3iG0PL9HN4" dmcf-ptype="general">A: 이번 연구에서 GPT-4o는 문제를 맞힌 학생과 틀린 학생의 설명문을 명확하게 구분해서 채점했습니다. 어려운 문제와 쉬운 문제 모두에서 일관되게 정확한 채점을 보여줘 AI 채점의 신뢰성을 입증했습니다.</p> <p contents-hash="4acee00b59d02d0e83f040b2318ed88bd9798bafda22f5d74fce635e6c91a18b" dmcf-pid="0nHpQo2Xgf" dmcf-ptype="general"><strong>Q: 학생들이 AI 피드백을 믿고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나요?</strong></p> <p contents-hash="8457e46371fb95cdf1fe311c88f71ab10bee22d369e33f195b996b365fc86002" dmcf-pid="pLXUxgVZgV" dmcf-ptype="general">A: 실험에 참여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AI 피드백을 유용하고 정확하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문제를 맞힌 학생과 틀린 학생 모두 비슷하게 AI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p> <p contents-hash="9f029bce618d44efcf10dcf3a83c050a8eb0257c15912338eca9b25b58e00585" dmcf-pid="Ueyt4JBWc2" dmcf-ptype="general"><strong>Q: 대규모 수업에서 AI 피드백 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요?</strong></p> <p contents-hash="a32f523d50a3a56322e9ceeae4a37a7bd7268b7138d9c9b3eac0057aca5a878d" dmcf-pid="udWF8ibYg9" dmcf-ptype="general">A: 기존에는 수백 명이 듣는 대형 강의에서 모든 학생에게 개별 피드백을 주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AI를 사용하면 모든 학생이 즉시 자세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학습 효과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p> <p contents-hash="9cce5d465b131a6fb065998a1d34f4e9273c4cad03b481d690eb6501fe9616c7" dmcf-pid="7JY36nKGjK" dmcf-ptype="general">■ 이 기사는 AI 전문 매체 ‘<span>AI 매터스</span>’와 제휴를 통해 제공됩니다. 기사는 챗GPT와 클로드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p> <p contents-hash="59eb58539fc1dba54bf6025d838a8af709c702c81473edc6ae66b65d9db9a3e8" dmcf-pid="ziG0PL9Hgb" dmcf-ptype="general">AI 에디터 (media@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9월 5일 결혼' 김종국, 억울함 호소 "내가 물의 일으킨 연예인도 아니고" 08-22 다음 ‘케데헌’ 신드롬...매기 강 감독 혼문 완성 비밀 밝혔다[MK현장]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