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전환은 마지막 골든타임…경제·사회부터 기술까지 다 혁신 작성일 08-22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李정부 경제정책] 제조업에 AI 융합…피지컬 AI 1등 목표<br>GPU 5만장 확보· AI 기본법 정비 및 안전 투자 강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uqIBInb51">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503cccafe5e7fee16e8876d5e1563e772aef5798cd0fa72ac8c6e6d3e915ba5" dmcf-pid="0WHgXgVZ1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나라재정 절약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8.13/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NEWS1/20250822140140448mwcj.jpg" data-org-width="1400" dmcf-mid="8pE2D2ZwG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NEWS1/20250822140140448mwc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나라재정 절약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8.13/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17b9aaf140b0ab44c5a5a6926970f75515c6a63ba156856cf482d97cf2f2b3b" dmcf-pid="pYXaZaf55Z"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이재명 정부는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를 우리 경제가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경제·사회 및 기술 분야에서 동시에 AI 혁신을 추진해 국가 경쟁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p> <p contents-hash="858f6d5feeb8e49bd5ba261fab32aa5c58b9684c0d81ea607b6a8528c3fb6937" dmcf-pid="UGZN5N415X" dmcf-ptype="general">정부는 22일 AI 대전환을 바탕으로 인구 충격 등에 따른 성장 하락을 반전시키겠다는 내용이 담긴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발표했다.</p> <p contents-hash="b844034a15f90139b6963444f22c0f52b5bc9cb77e67f890bdc16fe29468abd7" dmcf-pid="uH5j1j8ttH" dmcf-ptype="general">정부는 "기업·공공·국민 전 분야에 AI 활용을 촉진하고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AI 대전환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며 "우리가 강점을 가진 제조업 분야에 AI를 융합하는 피지컬 AI 1등 국가로의 도약에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다.</p> <h3 contents-hash="d27690473bf0d272d1a911bf163093aec4b9727cdc895e30d9d303fcd98e414e" dmcf-pid="7X1AtA6FGG" dmcf-ptype="h3">로봇·공공·인재·기반 등 15대 선도 프로젝트 추진…R&D 지원·규제완화</h3> <p contents-hash="59722f11e7194e67448cd7209fe1faad9a1d00f9824197bee648e2437fa894f8" dmcf-pid="zZtcFcP3HY" dmcf-ptype="general">정부는 국민 체감도, 경제적 파급력, 전략적 필요성, 시급성 등을 고려해 기업·공공·국민·기반조성 등 4대 분야에서 15대 선도 프로젝트를 선정했다.</p> <p contents-hash="929eb7a116c269e0d79548361dadb389230c6a33a053a490c750d388c408ddde" dmcf-pid="q5Fk3kQ0XW" dmcf-ptype="general">기업 분야에서는 로봇·자동차·선박·가전·드론·팩토리·반도체 분야가 선정됐다. 정부는 기업, 대학, 출연연, 지자체, 관계부처 등이 참여한 추진단을 구성하고 정책 역량을 결집해 피지컬 AI를 집중 육성한다.</p> <p contents-hash="bb677b7419d7f46e6dad11cc3781c98160201130a6ddb08b48084a7a237bd54b" dmcf-pid="B13E0ExpHy" dmcf-ptype="general">AI 로봇 분야에서는 범용 휴머노이드를 개발해 물류 등 선도분야를 시작으로 제조·건설 등 산업 전반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이후 법용 휴머노이드에 특화 AI 모델을 탑재하고 현장 실증, 데이터 학습 등을 거쳐 산업 특화 휴머노이드 개발에도 나선다.</p> <p contents-hash="3b1ce2a28845477b9c714cd6a1aebdddc65a6c746757598e5202564b60fbac6e" dmcf-pid="bt0DpDMUZT" dmcf-ptype="general">정부는 자율주행 AI 모델, 차량용 반도체 등 핵심기술의 R&D를 지원한다. 자율주행 실증도시(공모 예정)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2027년 특정구역에서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p> <p contents-hash="a24954997d09e909e94c47ada8d18059b9469be165911a1339f937857c1207a3" dmcf-pid="K6xZMZrRtv" dmcf-ptype="general">AI 확산으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등 제조업의 재도약도 노린다. 현재 5% 미만인 제조기업 AI 도입률을 2030년까지 4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자동차, 이차전지, 반도체 등 주력 업종 중심으로 특화 AI 팩토리를 확산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fb747c1ad6d0352e845a8697c4ce017404750133f06606507c10e3c1c73b21e6" dmcf-pid="9PM5R5me5S" dmcf-ptype="general">피지컬 AI 시대에 필수인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도 자동차·가전·로봇·드론 등 4대 분야 중심으로 개발·실증을 지원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fdfddf559b48433118d972fe663afbda0a83cc802720415503a83dda16a7320e" dmcf-pid="2QR1e1sdZl" dmcf-ptype="general">선박 관련해서는 완전자율운항선박 개발 사업에 속도를 내고 가전 분야에서는 글로벌 AI 가전·홈 시장 선점에 나선다. 항공·소방·농업·시설관리·물류 분야에서 AI 드론 및 운용·교통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드론 비행 관련 행정절차 간소화, 안전검사 요건 합리화 등 규제도 손볼 계획이다.</p> <p contents-hash="632b77e903e6a1f46bafd607b2fbf8f48b04d254c569a319165b9ded9944dbea" dmcf-pid="VxetdtOJ1h" dmcf-ptype="general">이외에도 제조, 바이오헬스, 주택·물류 등 생활밀접형 제품(자동 음향조절 마이크, 피부분석 화장품 추천 거울, 신생아 울음소리 분석 등) 300개의 AX 전환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도 신설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9db230e72158e84c91cc2744b09ec5f399b7062c8185c3ea758e8efc80082e54" dmcf-pid="fMdFJFIi5C" dmcf-ptype="general">공공분야에서는 복지·고용, 납세관리, 신약심사 등에서 AI 활용도를 높인다. 개인 맞춤형 복지·고용서비스, AI 기반 세무컨설팅, AI 모델을 활용한 신약 등의 허가심사 기간을 단축한다.</p> <p contents-hash="c65858f027e55d504a6de57bc670d39dbc2ab8e579ddb055d88b59f1ef7869b9" dmcf-pid="4RJ3i3CnGI" dmcf-ptype="general">또한 정부는 국내 인재양성, 해외 인재 유치 및 복귀 등으로 인재확보 총력전에 나선다. 공공 데이터 개발 및 활용도 확대해 AI 연구, 산업화 역량을 결집시킬 방침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0be0a4dcb3210b27069d96f6d414e9ef91bd7d2e00fe292f19e26aef662d4f0" dmcf-pid="8ei0n0hLt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 뒤 AI 제품·서비스 시연을 참관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20/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NEWS1/20250822140140727sbxr.jpg" data-org-width="1400" dmcf-mid="Fify4yA8Z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NEWS1/20250822140140727sbx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 뒤 AI 제품·서비스 시연을 참관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20/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a7fb354a03d37a411492e3760c2ede069ce141daabba68a2b432f25e51f1af95" dmcf-pid="6dnpLploXs" dmcf-ptype="h3">2030년까지 GPU 5만장 확보…AI 안전도 강화</h3> <p contents-hash="27e538441f5546be0cb464c898c08fbe2726b14995e5b8d6c550e39c1b0a44ad" dmcf-pid="PJLUoUSgHm" dmcf-ptype="general">정부는 민관 협력을 바탕을 GPU를 2030년까지 5만장 이상을 확보하고 전력·세제·규제 등 패키지 지원을 통해 AI 데이터센터를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p> <p contents-hash="238eac1f9cda7de8927f8d760ce5a8dd370be0ff5ec82cf05677137e31d564ba" dmcf-pid="QiouguvaGr" dmcf-ptype="general">비수도권 AI 데이터센터에는 전력계통영향평가에서 우대방안을 적용하고, 국가전략기술 사업화시설로 지정된 데이터센터에는 설비투자 세액공제를 확대(대·중견 15%, 중소 25%)할 계획이다. 또한 AI 데이터센터 진흥 특별법을 제정해 인허가 간소화, 입지·부대시설 규제완화, 관련 장비·SW 기술 자립화도 지원한다.</p> <p contents-hash="669ead5d680de8e77a3cce164bde92a63468a394c474bae443d5bc0319a30cb1" dmcf-pid="xng7a7TNZw" dmcf-ptype="general">이외에도 대규모 AI 컴퓨팅 자원과 디바이스를 실시간,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6G 고성능 AI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더불어 인재, 스타트업, 데이터가 모여 AI 혁신기술, 서비스 실증이 가능한 AI 특화 실증단지도 구축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97bc6bf8f79a9a815e3a3d2302a865456a9bf9b7ed92018dadabf6dfa2acd6f5" dmcf-pid="yyGoHo2XZD" dmcf-ptype="general">정부는 업계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AI 기본법 개선 및 하위법령 정비도 준비 중이다. 글로벌 동향, 국내 AI 산업 여건 등을 감안해 과태료 계도기간 운영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812feef512265e1b8b82e38a02a4fd282a15cd723f80f52745f813707d98976d" dmcf-pid="WWHgXgVZGE" dmcf-ptype="general">이외에도 유해 콘첸트 생성 사전차단 등 AI 오남용 대응 핵심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나서고 보안 사각지대 지원 강화, 피싱·스미싱 등 민생위협 디지털 역기능 해소 등도 추진한다.</p> <p contents-hash="7423835ea666692685501c7ba55594c369f04e9f3ef911e2f9e716918bd1dad5" dmcf-pid="YYXaZaf5Hk" dmcf-ptype="general">yjra@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현장] "'케데몬' 뼈아프다'…국내 OTT·AI 업계 ‘콘텐츠·합병’ 돌파구 한목소리 08-22 다음 "한글처럼 배우기 쉬운 AI"…국내 인재 키우고 해외 인력 끌어온다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