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은 데이터 싸움…AI시대 '쌀' 공공데이터 확 푼다 작성일 08-22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李정부 경제정책]2030년 데이터 시장 50조원·데이터 역량 10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BxIBInbY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cccdefe0a9124e9fc2a599f164ff5f8420ccff766f0bfdad49d6510e1cebbd1" dmcf-pid="bbMCbCLKX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서 참석자 발언을 듣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20/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NEWS1/20250822140208040nwul.jpg" data-org-width="1400" dmcf-mid="qIv9E9XD5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NEWS1/20250822140208040nwu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서 참석자 발언을 듣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20/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a2abcdd3eef0d96dd7a5c2c9ef3defba8d6c8cb3151805883398b28ac1575b9" dmcf-pid="KMjZMZrRt7"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이기범 기자 = 데이터 접근성이 국가 인공지능(AI) 육성 전략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예상되자 정부가 공공 데이터 개방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유출과 큰 상관이 없는 가명 자료 데이터 반출을 전향적으로 허용한다.</p> <p contents-hash="e38b80d351f5fac47ec750e440d2e2b5e23c53efc1962d86bac69b84ff14a9d9" dmcf-pid="9RA5R5me1u" dmcf-ptype="general">정부는 21일 오후 관계 부처 합동으로 '새정부 경제 성장 전략'을 발표하고 'AI 대전환'이 성장 하락 반전을 위한 돌파구라며 이같이 밝혔다. 데이터는 AI 시대 '쌀'로 비유하며 적극적인 활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d8125a8e12f2b80f18097d9ddc460f63e6e5011d33fba4946105bbc0cc6d75ed" dmcf-pid="2ec1e1sdZU" dmcf-ptype="general">'AI 대전환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4대 분야 중 하나 역시 데이터를 포함한 기반 조성이다. 목표는 세계 최고 데이터 강국 도약이다. 2030년까지 데이터 시장 규모 50조 원 성장, 데이터 활용 역량 10위권 진입, 데이터 직무 인력 28만 명 확보 등이 포함됐다.</p> <p contents-hash="b0a0b3c4361c869bf049c566565070abde171b20ce5c0ed8a4f15fcea8c853aa" dmcf-pid="VdktdtOJXp" dmcf-ptype="general">우선 공공 데이터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기존 폐쇄망 기반 비식별 정보 분석 플랫폼(개인정보·데이터 안심구역)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낮은 가명데이터 개방은 확대한다.</p> <p contents-hash="141cdc1b460b58fefe0167f0a1e1a5ce6bcdc026f4a077ea58d2a9c0488508dc" dmcf-pid="fJEFJFIiX0" dmcf-ptype="general">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저위험 가명자료 표본 데이터 세트 반출도 허용된다.</p> <p contents-hash="3bd058f25f9e76f15a8c505e6bf7b9b018545d47f8bcdc177974fe1a5c12a956" dmcf-pid="4iD3i3Cn13" dmcf-ptype="general">공공기관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지원하는 원스톱 서비스도 신설된다. 공공·민간의 AI 학습용 데이터를 한곳으로 모아 통합 제공하는 국가 AI 학습용 데이터 클러스터 구축 및 표준 체계 확립도 추진된다.</p> <p contents-hash="7097984f91fec830e5087062a127d401d418ad2b1ad6f373351d7de3c5880a54" dmcf-pid="8nw0n0hLXF" dmcf-ptype="general">우선 개방을 확대하는 공공데이터는 문화 분야다. 공공저작물 실증 특례도 추진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8da226c43a61325e0732c6be0494f67f2cddc03bb9bdcfb75298ce4a445f9899" dmcf-pid="6LrpLploHt" dmcf-ptype="general">융합·표준화와 관련해선 국가 AI 데이터 표준을 마련해 기존에 활용하기 힘들었던 데이터를 더 쉽게 유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원본 데이터 활용 및 기술 개발을 위한 실증도 지원한다.</p> <p contents-hash="ff2f71aa424fced406f0e67078e63db3f95fa05ca873ca8af2378e12808424b8" dmcf-pid="PomUoUSgG1" dmcf-ptype="general">데이터를 공유·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인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연계와 통합 바우처 도입을 통한 데이터 유통·거래 활성화에도 나선다. 전문대학 AI 교육 인프라 조성 및 교육 과정 개발 등을 통해 데이터 특화 기술 인력을 적극적으로 양성한다.</p> <p contents-hash="45ccbff288b7138f87a008e62acd25b3a902aba867255446e586215b4e6b587d" dmcf-pid="QgsuguvaZ5" dmcf-ptype="general">산학연이 참여하는 범국가 AI 연합체를 구축해 전방위적 협력도 강화한다. 첫 단추로 올해 하반기 AI 공급 기업과 수요 기업, 인프라 기업, 학계,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AI 대연합'(가칭) 발족을 추진한다.</p> <p contents-hash="8c30f91a3ab7b3b47d504740c6097dfa60c07b6cc9ea0e97932c2b3087ad79eb" dmcf-pid="xaO7a7TNZZ" dmcf-ptype="general">2026년부터는 산학연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민관 AI 정책 협의 채널로 활용할 계획이다. GPU, 모델, 데이터 등 연구 자원을 자율적으로 공유하는 등 연구 협력도 강화한다. 국산 AI의 글로벌 시장 진출 협력 강화에도 나선다. </p> <p contents-hash="97ef776674e842cd94d36db5b0edaba79169b75c10ff0597102da0ea38e6a1c9" dmcf-pid="y9el9lg2XX" dmcf-ptype="general">또 민간 주도의 AX 표준화 및 성공 사례 발굴과 확산을 지원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9461fb7f76bc303ef30e634f5d0e913556820957b64be35e6d671e034797a176" dmcf-pid="W2dS2SaVZH" dmcf-ptype="general">윤인대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공공데이터 개방, 융합 표준화, 인프라 구축 등 데이터 활용을 확대하고 정부·기업·학계·연구기관 등 범국가 AI 활용을 촉진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18bf410e5843eabb00e222be1f4567467d4bc8c703514cbec2adf2a9d362656" dmcf-pid="YVJvVvNfHG" dmcf-ptype="general">Ktiger@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반복유찰 국가AI컴퓨팅센터…"수익 끌어올려 민간 참여 유도" 08-22 다음 ◇내일의 경기(23·24일)(종합)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