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R&D 예산 첫 35조 돌파…“AI·전략기술 투자 대폭 확대” 작성일 08-22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h98i3CnSz">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8988d10c3e8e5b41d21523e58a737a19ac5ce9d6a67404ca434d64a850ac505" dmcf-pid="bl26n0hLl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kbs/20250822132028353dxpk.jpg" data-org-width="640" dmcf-mid="qgLjO63IC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kbs/20250822132028353dxpk.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1e65ea01605ef5ae2985b9e12c218aa00f512cec52b136e86a475fc03246376" dmcf-pid="KSVPLploSu" dmcf-ptype="general"> 정부가 내년 연구개발(R&D) 예산을 올해보다 약 5조7천억원(19.3%↑) 늘어난 35조3천억원으로 책정했습니다.</p> <p contents-hash="1b4959cee62baebf82f72e9f17e4ad60e9cfdff5cd9417639915040dff8d103a" dmcf-pid="9vfQoUSghU"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22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383dd1d3f5e2280ca7d3450ea1356fbb421e94922254e1d55a9e94437e2375d5" dmcf-pid="2T4xguvalp" dmcf-ptype="general">자문회의 심의 대상인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가 배분·조정하는 주요 R&D는 올해보다 5조3천억원 늘어난 30조1천억원으로 처음 30조원을 넘겼습니다.</p> <p contents-hash="c0fd2aaac43091901c861b29ae530fcd4b69e9cca3fa7bb2c521f767cb84f156" dmcf-pid="Vy8Ma7TNW0" dmcf-ptype="general">기획재정부가 편성하는 일반 R&D는 5조2천억원으로 올해보다 4천억원 증가했습니다.</p> <p contents-hash="b312750183d3846eade18a2af34f288ca298c09806fb3f3b753372d891b071cf" dmcf-pid="f7NElMuSS3" dmcf-ptype="general">이번 예산안은 이재명 정부의 첫 R&D 예산으로, R&D에 확실히 투자해 생산성 대도약과 미래전략 산업 육성을 지원하는 ‘기술주도 성장’과 연구현장 복원과 지속가능한 연구생태계 전환 등을 담은 ‘모두의 성장’에 집중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습니다.</p> <p contents-hash="867990ccd039d03aed769f2eb36c1024af3dbf3d2e39a43a8b9576ada0101083" dmcf-pid="4zjDSR7vlF" dmcf-ptype="general">우선 인공지능(AI) 분야에 올해 대비 2배 이상인 2조3천억원(106.1%↑)을 투입해 독자적 AI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풀스택(통합형) R&D에 집중합니다.</p> <p contents-hash="7c6a1ff71322f60cb944d652a707601414b170dec96ffaef38c37b85d24f0e52" dmcf-pid="8qAwvezTyt" dmcf-ptype="general">범용인공지능(AGI), 경량·저전력 AI, 피지컬AI 등 차세대 기술에 투자하고 AI 인프라 생태계 강화에도 나섭니다.</p> <p contents-hash="fe9b2965ffe531d59951035e8c12e344a5559ddaa30c102d5a73182a26b9ac92" dmcf-pid="6BcrTdqyC1" dmcf-ptype="general">연구와 산업, 공공 등 모든 분야에 AI를 융합하는 ‘AI 기본사회’ 전환도 지원합니다.</p> <p contents-hash="a15c7a8b83b9c589eb1f2b759e529b6aad1f4982e6ea351c9734fbd39aed828e" dmcf-pid="PbkmyJBWS5" dmcf-ptype="general">에너지 분야는 재생에너지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올해보다 19.1% 늘어난 2조6천억원을 투입해 초고효율 태양전지, 초대형 풍력 시스템 등을 조기 실증합니다.</p> <p contents-hash="d03b2fc23b4584bcdc4193d25904796b5cde9eaf49278ac5d870d9eb7cdf5669" dmcf-pid="QKEsWibYlZ" dmcf-ptype="general">AI 기반 에너지 관리시스템, 차세대전력망 등 ‘에너지 고속도로’ 기술을 개발하고 소형모듈원자로(SMR),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확보도 지원합니다.</p> <p contents-hash="41d786199f57a6338c62f892e598072526822e70189bca12922a2cab4d5d6eb1" dmcf-pid="x9DOYnKGhX" dmcf-ptype="general">전략기술 분야는 5년 내 핵심기술 자립화를 목표로 올해보다 29.9% 늘어난 8조5천억원을 투입합니다.</p> <p contents-hash="3058b6e8c234952911a8f53ceae00d65d1690eb97b05b582f4cc544fbde8ca48" dmcf-pid="ysq2R5mevH" dmcf-ptype="general">방위산업 분야는 K-9 자주포 성능 고도화 등 전략수출산업 육성과 신기술 접목 강화 등에 올해보다 25.3% 늘어난 3조9천억원을 투입합니다.</p> <p contents-hash="1be06b99a49d981911309c865d723e455203b087140d00692ca793ae811dc39c" dmcf-pid="WOBVe1sdTG" dmcf-ptype="general">중소벤처 분야는 올해보다 39.3% 늘어난 3조4천억원을 투입해 민간투자 연계형 R&D, 경쟁보육형 R&D 등을 추진하고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축적한 기술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p> <p contents-hash="6327de705ab23801cd2f0a7cde9c250fd6ab83f4067f5f7b720fbb0a468b07f1" dmcf-pid="YN1p2SaVSY" dmcf-ptype="general">기초연구 분야는 올해보다 14.6% 늘어난 3조4천억원을 투입하며, 개인기초 연구과제 수를 2023년 수준 이상으로 확대하고 폐지한 기본연구도 복원합니다.</p> <p contents-hash="2a1a7f15b6d5c153991f91dca6314028da469be0429a06363edd519af699b8f4" dmcf-pid="GjtUVvNfCW" dmcf-ptype="general">인력양성 분야는 35% 늘어난 1조3천억원을 투입, 최고급 이공계 인재를 위한 맞춤형 지원과 초격차 해외인재 유치·정착에 집중 투자합니다.</p> <p contents-hash="9a4978b3f537e64a29b55eb072ff72fdb0235d8ca58cf108d99d5f9db9a3f3e5" dmcf-pid="HAFufTj4ly" dmcf-ptype="general">최고 수준 및 우수 신진 연구자를 빠르게 영입하기 위한 ‘인재유치 프로젝트’(브레인 투 코리아)도 지원합니다.</p> <p contents-hash="b198a14c7109fe27db7a582563e91d4d1beb2c028d4de92821fa6d06bd9d54b4" dmcf-pid="Xc374yA8hT" dmcf-ptype="general">정부출연연구기관은 올해보다 17.1% 늘어난 4조원을 투입하고 중장기·대형연구에 집중하기 위한 연구과제중심제도(PBS) 제도 단계적 폐지에 나섭니다.</p> <p contents-hash="b06389757df64ea476b9c58c8bd86a146df7e450e765223955061f775f32c2ce" dmcf-pid="Zk0z8Wc6yv" dmcf-ptype="general">지역성장 분야는 54.8% 늘어난 1조1천억원을 투입해 지역 주도 자율 R&D를 지원하고,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대규모 AX(AI 응용) R&D를 지원합니다.</p> <p contents-hash="fe781b70b59c6478371e3a52afe46af751c625d2ba3a61141ac9c40a0c71ed7c" dmcf-pid="5Epq6YkPlS" dmcf-ptype="general">재난안전 분야는 14.2% 늘어난 2조4천억원을 투자하고 복합 재난 대응용 다부처 협력사업을 우선 지원합니다.</p> <p contents-hash="58f3509d6ba5269d9358768f210b586616e26bb88174a267bea58e2232d6384c" dmcf-pid="1DUBPGEQyl"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투자 효과성 강화를 위해 부처 간 유사·중복을 제거하고 협업 시너지를 확대하며 소규모 사업의 통합·대형화에도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d2c56bb28027329038d4b2b7724a6454ed56f327abfd55b7f3c6299e0b215dc7" dmcf-pid="twubQHDxCh" dmcf-ptype="general">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R&D 예산안은 역대 최대 규모로, 연구생태계의 회복을 넘어 완전한 복원과 진짜 성장 실현을 위해 파격적으로 확대했다”고 밝혔습니다.</p> <div contents-hash="f4d7839ed05f3642687cccc54abed1ce9a847f5a9ad9ecbcf2d236ac2147546d" dmcf-pid="Fr7KxXwMvC" dmcf-ptype="general">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 제공] <br> <div> <br>■ 제보하기 <br>▷ 전화 : 02-781-1234, 4444 <br>▷ 이메일 : kbs1234@kbs.co.kr <br>▷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br>▷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div> </div> <p contents-hash="e07cde1f6111b2d9595ec48965b30b3a1a4f1e1682cb7010d449ae0b7894f1bd" dmcf-pid="3XMikKHEvI" dmcf-ptype="general">강푸른 기자 (strongblue@kbs.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트웰브' 마동석 vs 박형식, 첫 방송 D-1…인간 세상 지켜낼까 08-22 다음 제2차 정보자원 통합구축 HW사업, 단일 응찰로 연달아 유찰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