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이 활성산소 분해…IBS·KIST "뇌질환 치료에 기여" 작성일 08-22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보도기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1FsqwRuU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ec8fe4f875f8537ec83f5ecc3ea9714a9233564435f573056b16232d970adf" dmcf-pid="qt3OBre7F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이 활성산소 분해…IBS·KIST "뇌질환 치료에 기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2/551724-22lyJQR/20250822084253038glrv.jpg" data-org-width="632" dmcf-mid="7rGc3N413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2/551724-22lyJQR/20250822084253038glr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이 활성산소 분해…IBS·KIST "뇌질환 치료에 기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9c656c9dd81199fd1096f3e28bfa066297fb3cb9d5074113b604b1ace734fb2" dmcf-pid="BvyN1o2X0k" dmcf-ptype="general"><span>< </span><span>헤모글로빈의</span><span> </span><span>활성산소</span><span> </span><span>분해 역할 ></span></p> <p contents-hash="76a256f85f5c868dd42e54cef43119a58c0ced3298868509a6c13b3ec20894e4" dmcf-pid="bTWjtgVZpc" dmcf-ptype="general">혈액 속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헤모글로빈이 뇌세포에도 존재하며, 활성산소를 분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p> <p contents-hash="f619db91e2bf368cb29a1de8a240523aa6f6d456912e934538386dd8a9e2263b" dmcf-pid="KyYAFaf5UA" dmcf-ptype="general">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기덕 뇌과학연구소장 연구팀은,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뇌 속 별세포<br>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의 항산화 기능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79b215f40a0d80cc99ec173c4f2ee06c9d0936cecf8ae2845a3515d18b6449b7" dmcf-pid="9WGc3N41uj" dmcf-ptype="general">루게릭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뇌신경질환에서 활성산소의 과도한 축적이 신경세포 손상과 사멸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p> <p contents-hash="1f8ea6a7ef1f784dcf92b9f6cae131ec7317beec044e4af2d4e9a293edfe3f20" dmcf-pid="2YHk0j8t3N"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지난 연구를 통해 퇴행성 뇌 질환에서는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며 반응성 별세포로 변하는데, 이 반응성 별세포에서 활성산소의 하나인 과산화수소가 비정상적으로 쌓여 주변 신경세포를 손상하는 모습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p> <p contents-hash="718091c886af5492fb979e51985a48c91aa3aaa9949f45612fb7d7b79d536b21" dmcf-pid="VGXEpA6Fua" dmcf-ptype="general">별세포 내부의 항산화 체계를 정밀 분석한 결과 혈액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헤모글로빈이 뇌 속 별세포의 핵 안에 있는 소기관 '핵소체 '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p> <p contents-hash="ec36a86218a99bedc4d1734a5bcc3535f7b3d15b08c3c13a97c8086f2c910490" dmcf-pid="fHZDUcP3Ug" dmcf-ptype="general">이어 이 헤모글로빈이 과산화수소를 산소와 물로 분해하는 항산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a17d214d0b4d4b614df33bbfb1a681741f6250a55b60e4a27802676a832694c8" dmcf-pid="4X5wukQ0uo" dmcf-ptype="general">이 기능은 퇴행성 뇌신경질환 등에서 현저히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신경세포 사멸이 일어난 모습이 관찰됐습니다.</p> <p contents-hash="e0480d516c5fb91820c2920e88b4a4b2cd79d8d668fd892ebc05542e34bcaf32" dmcf-pid="8K2HxWc63L" dmcf-ptype="general">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헤모글로빈의 항산화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저분자 화합물 'KDS12025'를 개발했습니다.</p> <p contents-hash="125469e4b940f694964485189bf9dabcdd76bf87b166db9354e61831e24a4fe2" dmcf-pid="69VXMYkP7n" dmcf-ptype="general">이 화합물은 헤모글로빈의 철 이온과 상호작용해 과산화수소가 효과적으로 산소와 물로 바뀌도록 유도, 과산화수소 분해 능력을 최대 100배 높일 수 있습니다.</p> <p contents-hash="c35bfc043326f95963425eb33ffd083dda31cccc7e5ad7a420f67dcba8dcb90d" dmcf-pid="P2fZRGEQpi" dmcf-ptype="general">극소량으로도 강력한 효과를 내며, 헤모글로빈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해 부작용도 적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p> <p contents-hash="717913406caae69646ce97dcf06c4cc8c1b9323772ecb645aba7b8f05dc0799a" dmcf-pid="QV45eHDx0J" dmcf-ptype="general">실제 이 약물을 퇴행성 뇌신경질환 모델 생쥐에 투여한 결과 신경세포 사멸과 생존율 향상, 기억력과 운동기능 회복 등 치료 효과가 확인됐습니다.</p> <p contents-hash="0968d932f6821b45cb737d1f87a69b95f9675498445936286bee9b8529470059" dmcf-pid="xf81dXwMpd" dmcf-ptype="general">루게릭병 모델 생쥐에서 병의 발병 시기와 근력 저하 진행 속도가 늦춰지며 평균 생존 기간이 4주 이상 늘어났고, 파킨슨병 모델에서는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운동 기능이 회복됐습니다.</p> <p contents-hash="bac1492c7b30d250a1a857cb17998c520e61099923344b50f7ab9e53ae06f43b" dmcf-pid="yClLHJBW7e" dmcf-ptype="general">알츠하이머병 모델에서도 생쥐의 공간 기억과 인지 능력이 정상 수준에 가깝게 나타났습니다.</p> <p contents-hash="20c2ebd2e386ad94ed82dfc038369a54bd6b754f586fe935b791df9caba1164a" dmcf-pid="WhSoXibY3R" dmcf-ptype="general">노화 모델에서는 평균 수명이 약 30% 연장돼 일반 생쥐의 수명인 2년을 넘어 3년 이상 생존한 개체도 관찰됐습니다.</p> <p contents-hash="244fdec3fa4e3a02c7c9bdf49618c508b9fc19a038151b03354f76c036cb0563" dmcf-pid="YlvgZnKGFM" dmcf-ptype="general">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연구단 이창준 단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헤모글로빈의 항산화 기능을 새롭게 규명했다"며 "우리 몸 안에 있는 자연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고 강화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고 의의를 설명했습니다.</p> <p contents-hash="db5a19bdfd40634aba279da59dda31f9eeb4ee0ee6f1839099e9e783377ee6c3" dmcf-pid="GSTa5L9HUx" dmcf-ptype="general">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기덕 뇌과학연구소소장은 "과산화수소 축적이 다양한 질환의 공통된 병리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퇴행성 뇌 질환뿐만 아니라 노화, 뇌졸중, 염증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p> <p contents-hash="c1799e1905d962ca975c64c590ee351b314b1e384ab200d53c01816af9812ee5" dmcf-pid="HgNVrKHEUQ"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 성과는 22일 국제 학술지 '신호 전달과 표적 치료'(Signal Transduction and Targeted Therapy)에 실렸습니다. </p> <p contents-hash="faee4eb69b7f003c73523bd15e6f33710dce9443811a861b1b39a069a0fe8edb" dmcf-pid="Xajfm9XDuP" dmcf-ptype="general">TJB 대전방송 류 제일 기자 (사진제공 IBS) </p> <p contents-hash="5a54fd5dbb76d547d7689a49fd4c307718cdcd635c74fb24083eae77b9bf253c" dmcf-pid="ZNA4s2Zwp6" dmcf-ptype="general">류제일 취재 기자 | uj1@tjb.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TJB 대전방송</p> 관련자료 이전 헌트릭스·키, 한터 국가별 차트 1위 08-22 다음 대한산악연맹, 2025 스포츠클라이밍 세계선수권대회 프레스 컨퍼런스 개최 08-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