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배터리 화재 꾸준히 증가...분리막 손상되면 '열 폭주' 작성일 08-21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리튬 배터리, 가볍고 에너지 밀도 높아 널리 사용<br>이륜차, '배터리 제어 시스템' 없어 화재 위험 높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4MAl8FOWa"> <div class="video_frm" dmcf-pid="p79dEzyjlg" dmcf-ptype="kakaotv">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Fs9dEzyjyj" dmcf-mtype="video/kakaotv/owner" dmcf-poster-mid="3nNC5nKGCN"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Fs9dEzyjyj" poster="https://t1.daumcdn.net/news/202508/21/YTN/20250821231613217veon.jpg" scrolling="no" src="//kakaotv.daum.net/embed/player/cliplink/457425666?service=daum_news&m_use_inline=true&ios_allow_inline=true&m_prevent_sdk_use=true&wmode=opaque" width="100%"></iframe> </div> </div> </div> <p contents-hash="f110e1942b18ea1f5683d501992c682c20a2f00c498747500e8a4cfd6da3e738" dmcf-pid="Uz2JDqWAWo"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744268c51a5bc13928ed05eebfb069bdd82424b143aedec99fc2f03d354e9abf" dmcf-pid="uqViwBYcWL" dmcf-ptype="general">최근 전기 킥보드와 오토바이 등 전기 이륜차의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517c23f0848200c4530441d91cf327f0bf8fe609675eb8b81a3295ff07b7cf36" dmcf-pid="7BfnrbGkCn" dmcf-ptype="general">리튬이온 배터리는 가볍고 성능이 우수하지만, 충격이나 과충전으로 분리막이 손상되면 폭발이 일어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p> <p contents-hash="021aa2ac1b9c162c783305b5aaf1950dc48424fe0e50c14094753a9fdf1e88bb" dmcf-pid="zb4LmKHECi" dmcf-ptype="general">권석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p> <p contents-hash="7d6532a3ff72e6e61d28713c15e4ad75a3f8e21259fbcf585fa2e73bce76e203" dmcf-pid="qK8os9XDTJ" dmcf-ptype="general">[기자] </p> <p contents-hash="b725ade81d855200bdccf91f1673d0a4e1ba2705bde7ca7c04d3f8dd74d1e245" dmcf-pid="B96gO2ZwSd" dmcf-ptype="general">지난 2020년부터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소형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678건. </p> <p contents-hash="1dcf9717d23ca6bc0c3c9ab8129003325592a9ac623ce242b603ef997e178477" dmcf-pid="b2PaIV5rhe" dmcf-ptype="general">지난 2020년 98건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해 해마다 100건 이상 발생하고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a7e22fb681a17af87863761025b0252ab5393097eb5f22a95f9828ec78303e9e" dmcf-pid="KVQNCf1mSR" dmcf-ptype="general">특히 전체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중 70% 정도는 전기 자전거와 킥보드 등 이륜차에서 사고가 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 <p contents-hash="a7258729f3f39d8da4b6415fe30fb38a7eb8747bb018f99dea27cf51fbd91e06" dmcf-pid="9fxjh4tshM" dmcf-ptype="general">[김지철 / 전기 자전거 이용자 : 제 가게에서 영업하고 가게 출근 전에 '투잡'으로 하기 때문에 (무서워도) 저도 생계를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조금씩 하는 것 같아요.] </p> <p contents-hash="013549d0edee8949aaab989baf0ca66e710b92ecd078e376353b63ee4929297f" dmcf-pid="24MAl8FOWx" dmcf-ptype="general">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오가며 전기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충전식 이차전지입니다. </p> <p contents-hash="482470fa37b2e85d505ebb8a19c5af73a5d402ccf3c30daaa8bb6b70164c7840" dmcf-pid="V4MAl8FOyQ" dmcf-ptype="general">가벼우면서도 에너지 밀도가 높고 성능이 우수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8d40706472d4eff6bc0aad9b891a73eba89219666fe5c86f41af3324fa4b2d28" dmcf-pid="f8RcS63IlP" dmcf-ptype="general">하지만 충격으로 손상되거나 과도한 충전이 발생하면 배터리 속 전해질이 분해되면서 온도가 순식간에 수백 도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ff7accc5f4e3c071c369000131977f928e0cf6e865be14c4102043b6ce4f5291" dmcf-pid="46ekvP0Cy6" dmcf-ptype="general">이 과정에서 내부 분리막이 손상되면 양극과 음극이 직접 맞닿아 폭발하는 '열 폭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겁니다. </p> <p contents-hash="c0a29b65ec2a05e9acbb914d66a1023a7fcb13e7238743a6fb1da9d57fbedbab" dmcf-pid="8PdETQphT8" dmcf-ptype="general">[한원식 / 서울여대 화학과 교수 : (분리막에) 미세하게 균열이 생기면서 양극과 음극이 만나게 되면 저항이 없어지기 때문에 굉장히 빠르게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서 고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요.] </p> <p contents-hash="84b2afb18c4bbe02ba16dacca2f3d0056fe61c823a168d6f8733289712a0652e" dmcf-pid="6QJDyxUlS4" dmcf-ptype="general">이 때문에 전기 자동차에는 배터리 전압과 전류, 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제어해 과충전을 막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의무적으로 탑재됩니다. </p> <p contents-hash="7c7a03a69634ec39daa523f74b3792cfce506a50b29f625c02b3c054ed50a2a8" dmcf-pid="PxiwWMuSTf" dmcf-ptype="general">하지만 전기 이륜차는 의무 규정이 없는 데다 외부 충격에 더 많이 노출돼 안전의 사각지대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p> <p contents-hash="61629602e029e152eec18dbbecfff655d793016ec1c7c449f59303584933901c" dmcf-pid="QMnrYR7vhV" dmcf-ptype="general">일상 속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이용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만큼, 제품 안전관리가 더 강화되고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 개발도 시급해 보입니다. </p> <p contents-hash="b173003c610a56b21c51b085f031d4023f4f63eb9233ee3d40b164a69f851506" dmcf-pid="xRLmGezTv2" dmcf-ptype="general">YTN 사이언스 권석화입니다. </p> <p contents-hash="dd6289fa216695d9c48011baf32d6cbf318bd988bb783a1360d4f265f35b07b1" dmcf-pid="yY1KeGEQT9" dmcf-ptype="general">영상취재 : 지준성 </p> <p contents-hash="2edf6716b9d7286e7638945a441311b6dd060733647da8282e95136670cf681d" dmcf-pid="WGt9dHDxTK" dmcf-ptype="general">디자인 : 권향화 정하림 </p> <p contents-hash="1a1ebcf0dfc814b473852f5562be3af4cadbe69c2c233df989232dd59d54f1b5" dmcf-pid="YHF2JXwMyb" dmcf-ptype="general">YTN 권석화 (stoneflower@ytn.co.kr)</p> <p contents-hash="2602289c0a09b41a30a2f4f0a975b838cc056c75cc31cdec1092693da5dc2c82" dmcf-pid="GlYu6SaVWB" dmcf-ptype="general">※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p> <p contents-hash="e2c3eb65ca32242f45af77862d04769d1ab2a509394a3e3b8ce4973ba7d16974" dmcf-pid="HSG7PvNfvq" dmcf-ptype="general">[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p> <p contents-hash="b7f87d0f7e5a33a7d87b4b4870e83ec43f043912aaf0b9751ded879965816c08" dmcf-pid="XvHzQTj4Sz" dmcf-ptype="general">[전화] 02-398-8585 </p> <p contents-hash="10e1d9be262976e7f4f9f835d29703dc1d992da1ee3cb52035118edf39c0f645" dmcf-pid="ZTXqxyA8h7" dmcf-ptype="general">[메일] social@ytn.co.kr</p> <p contents-hash="ba0dab9040df32bc3944569acbe0804a208b98b1a743aca03ab9a934718df4ba" dmcf-pid="5yZBMWc6Cu" dmcf-ptype="general">[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부동산 플래닛 “2분기 서울 연립·다세대 매매 늘고 임대차 줄어” 08-21 다음 롯데, 6점 차 리드 못 지키고 10연패 탈출 무산…두산 7연승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