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개발자 10명 중 8명 "업무에 AI 도구 활용"…코딩 시장서 '클로드·파이썬' 대세 작성일 08-21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구름, 글로벌 개발자 AI 활용 트렌드 분석 인사이트 공유…AI 신뢰도는 낮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LGWTN41gX"> <p contents-hash="3b9848f37cc69524a74605a067e3f1454fcbab5f3c10d4813c13f80991c532e5" dmcf-pid="KoHYyj8tgH"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장유미 기자)전 세계 개발자 절반 이상이 이미 업무에 인공지능(AI) 도구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활용 능력을 기업들이 요구하면서 개발자의 필수 역량으로도 점차 자리 잡는 모양새다.</p> <p contents-hash="fd5fcebf37dee2481856fd6b9706c45d091b4f451d105bcd67b267924d9562ca" dmcf-pid="9N5XGkQ0gG" dmcf-ptype="general">21일 사이트 운영업체 스택 익스체인지가 공개한 '스택 오퍼플로우 디벨로퍼 서베이 2025'에 따르면 개발자 10명 중 8명은 이미 업무에 AI 도구를 활용 중인 상태다. 특히 AI 코드 어시스턴트를 사용하는 기업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2023년 초 10% 미만이었으나, 2028년에는 75%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p> <p contents-hash="d60fbac788495c4461aa96301b09e3cbddb3689871dea13e294d8d9849ba4bf0" dmcf-pid="2j1ZHExpAY" dmcf-ptype="general">미국 벤처 캐피탈(VC)인 멘로 벤처스가 공개한 '2025 미드-이어 거대언어모델 시장 업데이트(2025 Mid-Year LLM Market Update)'에선 개발자들이 앤트로픽의 '클로드'를 코딩에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클로드는 전체 42%로, 오픈AI 챗GPT를 제치고 코딩 분야 1위로 부상했다. 2위는 21%를 차지한 '챗GPT', 3위는 구글 '제미나이(16%)' 순으로 나타났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6920e959965b7012608fc1f18ae8a04f192d80d36fa4124d2414cb6d40b9e7f" dmcf-pid="VAt5XDMUo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래픽=구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160815432grnl.png" data-org-width="640" dmcf-mid="BJrDkP0Co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160815432grn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래픽=구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219d49e2fa992fea370bb75be2cdf7afe19135c2974e8c55b9d9e06237d7adc" dmcf-pid="fcF1ZwRugy" dmcf-ptype="general">LLM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개발언어는 '파이톤(Python)'으로 조사됐다. 학습데이터의 절대 다수가 '파이톤' 기반으로, 자연어와 유사한 문법, 풍부한 라이브러리 생태계와 실행 난이도 등의 이유로 LLM에서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0266989c0221b67732ea02eb88c351b54931c6435515b5dbe6b115979020ad75" dmcf-pid="4k3t5re7gT" dmcf-ptype="general"><span>개발 업무 활용분야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아키텍처 설계 아이디어 제안 및 기능 정의서 작성 ▲코딩 단계에서 기초코딩 작성, 로직 개선, 다른 개발언어로 코드 이식 ▲디버깅 및 테스트 단계에서 에러메세지 해석, 단위 테스트 코드 생성, 코드 리뷰 보조 ▲문서화 및 커뮤니케이션 단계에서 주석 자동 생성, 리드미(README.md) 자동 작성, 코드요약본 생성 등 각 단계별로 작업을 효율화, 자동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span></p> <p contents-hash="0a837617509ea9077422fa1dc3c419db889b9cd96a8e9895cc77eb54d0508172" dmcf-pid="8E0F1mdzAv" dmcf-ptype="general">개발자 AI 활용 역량 평가 솔루션 '아이사(AISA)'를 출시한 구름은 이번 보고서를 분석하며 "LLM 활용에 있어 단순히 '코드 생성'을 주문하기보다는 '단계별 요청, 설명 요청, 비교 요청, 예외 처리 추가 요청' 등 맥락을 부여하는 질문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span>다만 AI 도구의 사용률은 급격히 증가했지만 신뢰도와 활용 역량 측면에서는 여전히 큰 격차를 보였다"고 밝혔다. </span></p> <p contents-hash="6aee4bba1791db83eb1bbb701148f3f66c5b4e3a4260ad6493698184f55902cf" dmcf-pid="6Dp3tsJqoS" dmcf-ptype="general"><span>실제 AI 출력 정확성에 대한 개발자들의 신뢰도는 33%에 그쳤다. 46%는 AI 결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고 응답했다. AI 도구의 신뢰성 부족으로 인해 디버깅 시간이 증가하는 등 경험 많은 개발자가 오히려 작업 시간이 19% 증가하기도 했다.</span></p> <p contents-hash="0e1c3629f883086d9b841a57ffffe93154b5ddd91482bea3d33adbf08a65d1cf" dmcf-pid="PwU0FOiBgl" dmcf-ptype="general">구름은 "최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전사적인 AI 도입이 늘어나고 있다"며 "그러면서 객관적인 AI 활용 역량 평가에 대한 수요도 동반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7d8063abcff4a50b9a0579121403af728c508697e99d6d6ef5a29afe0991210e" dmcf-pid="Qrup3Inbah" dmcf-ptype="general">장유미 기자(sweet@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공무원도 AI 쓰는 시대 열린다…정부, 행정업무 AX '박차' 08-21 다음 구혁채 과기 1차관 "연구산업, R&D 사업화 성공률 높이는 촉매제"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