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환경에 제조플랫폼 개발"…정부, 혁신도전 R&D 7개 사업 추가 지정 작성일 08-21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신규 지정 사업 포함해 APRO R&D 사업군 총 39개 공고</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SeZHR7vHt">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d8c79cf2e85f42cdf73bd29bc4c3141bd8a324246e4d0f4579100664e4e22e6" dmcf-pid="3vd5XezT5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사.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23.07.1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is/20250821120121867wmkk.jpg" data-org-width="720" dmcf-mid="tP1ao5me5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is/20250821120121867wmk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사.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23.07.1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3a1167eee33127decedb61863c441f828dd63eba94b7b33da08d2edea6eadcd" dmcf-pid="0J3ANFIiG5"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인공지능(AI) 전환 난제 해결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우주 환경에서의 무인제조플랫폼 개발 등 세계 최고·최초 수준을 지향하는 연구개발(R&D) 과제들이 올해 새로운 혁신도전형 R&D 사업군으로 선정됐다.</p> <p contents-hash="9346efb63357e3d903ff98dd255b0c49f91408204ae0527a74c06d5faa61bdca" dmcf-pid="pi0cj3CnGZ"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2025년도 추가 지정 7개 사업을 포함한 39개 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R&D 사업군(APRO R&D) 목록을 과기정통부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했다. </p> <p contents-hash="a94701f4b9e326dc23103c252f7fdb88e8b1ed8af25cad26345890eea3cb5c57" dmcf-pid="UnpkA0hLHX" dmcf-ptype="general">APRO R&D는 세계 최고 또는 최초 수준의 연구 성과를 지향해 실패 가능성은 높으나 성공할 경우 혁신적 파급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R&D사업을 선별·지정하고 차별화된 체계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p> <p contents-hash="f11d62c7cbc5d1508fbf7180f30e55d30e8b556d8ae558c37f26c80b18ceb074" dmcf-pid="uLUEcplotH"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지난 4월부터 주요 R&D를 수행하는 정부부처를 대상으로 후보사업을 발굴했다. 혁신도전성의 대표 요소로서 A(도전성)-P(기대효과)-R(혁신성)-O(파급효과)와 함께 유형별 적절한 추진체계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번 추가 지정 절차는 지난 6월 25일 개최된 제3회 혁신도전추진 특별위원회의 사업 후보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p> <p contents-hash="4fe78e80597fee2211679991592c3a590ba74b4a2893fd71088e9d25b3748a37" dmcf-pid="7ouDkUSgtG" dmcf-ptype="general">추가 지정된 7개 사업 중 4개는 혁신도전형 과제의 기획·선정·평가 등 연구관리 권한과 책임을 총괄관리자에게 부여하여 밀착 관리되는 '밀착관리형' 사업이다. 나머지 3개는 경쟁 기획, 동일 목표에 대한 다수 과제 선정·경쟁 등 경쟁형 방식을 적용하고, 과제 수행 과정·성과·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공개경쟁형' 사업이다. </p> <p contents-hash="a7249009739dd3c701357b2015c9270a54ce8c2ebebf6d32a5c57b5a32dd5078" dmcf-pid="zg7wEuva5Y" dmcf-ptype="general">밀착관리형 사업은 ▲자원순환형 초고에너지밀도 주유형 알루미늄 공기전지 ▲지역거점 AX 혁신 기술개발 ▲우주 소형 무인제조플랫폼 실증사업 ▲초고속 하이퍼튜브 아진공 핵심기술 개발이 지정됐다.</p> <p contents-hash="72b9cffddf99df017b5d0cd33f6eeddb5a0cd962c0c822395b2e6a048acf1ef3" dmcf-pid="qazrD7TNXW" dmcf-ptype="general">공개경쟁형 사업은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 ▲항노화 및 역노화 재생의료 중개임상연구 ▲AI 챔피언 프로젝트 지원이 뽑혔다. 이들 각 사업은 세계 최초 기술개발, 신산업 생태계 조성, AI 혁신기술 확보 등을 목표로 추진된다.</p> <p contents-hash="c0eee6b47d6fe15c31701027544829212b8c79618d4e00c19e5405c4cd073427" dmcf-pid="BNqmwzyjXy" dmcf-ptype="general">내년부터 신규 과제로 공모될 추가 지정 사업들은 기존 사업들과 마찬가지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위험·도전형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맞춤형 제도적 지원을 받게 된다. </p> <p contents-hash="aeb6b8631db0823db01b1f48bb12dc6b431e905429d9954e91805ea8520089f5" dmcf-pid="bjBsrqWA5T" dmcf-ptype="general">연구시설·장비를 도입할 때 수의계약을 통한 신속 도입이 가능해져 기존 120일 이상 걸리던 도입 기간이 약 50일로 단축되며, 과제 최종 평가 시에는 성공, 실패의 구분 없이 과정 중심 평가 체계를 적용받는다. </p> <p contents-hash="3be450219b2f6d5f6838ee827eff0d922ba49f65fbd37706ad7d485f871e464a" dmcf-pid="KAbOmBYcGv" dmcf-ptype="general">또한 우수한 성과에 대해서는 공모 절차 없이 후속 연구 추진을 허용하여 산업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과감한 도전으로 발생한 정당한 시행착오에 대해서는 제재 처분 없이 종료가 가능하다.</p> <p contents-hash="0b10c41ce6252ac06254b837e3d6e8ecb7067d2fc0a84aaa282d696d082a048f" dmcf-pid="9cKIsbGk1S" dmcf-ptype="general">향후 APRO R&D 사업군에 대해서는 총괄관리자에게 연구 관리의 전권을 부여하고 책임 있는 운영을 위해 관련 법령 개선과 함께 역량진단 모델 마련,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체계적인 육성 정책을 지속할 계획이다. </p> <p contents-hash="eab271fedefd8fb8e07350f062954f79e9f57ecae62807a3f7efac36bb8c29c7" dmcf-pid="2k9COKHE1l" dmcf-ptype="general">박인규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국가 미래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난이도 연구에 자유롭게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R&D 정책 추진을 통해 연구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도전적 R&D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83c478b267a89150e516a5cf036b657b943a2d8780384c347dbf4a8d213caf8" dmcf-pid="VE2hI9XD5h"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hsyhs@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선빈, "돈 벌고 싶다"더니…동료 제안에 코인 투자 ('달까지 가자') 08-21 다음 우주 소형 무인제조플랫폼 실증·재생의료 등 혁신도전 R&D에 추가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