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2025년도APRO R&D 7개 사업 추가 지정 작성일 08-21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세계 최초 기술개발, 신산업 생태계 조성, AI 혁신기술 확보 등 목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SRvlf1mcz"> <p contents-hash="e81d6f0f2d14a05b29513c56d27b03511526d10ee2d5d209cffd25ebbe2e04be" dmcf-pid="tveTS4tso7"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자원순환형 초고에너지 밀도 주유형 알루미늄 공기전지' 사업 등 7개 사업이 '2025년도 혁신도전형 앞으로(APRO) 연구개발(R&D) 사업군'에 추가 지정됐다.</p> <p contents-hash="25d299aa04c4829a304ebe29444e9835b659610c20ee63409c5c0b6ecc80123e" dmcf-pid="FTdyv8FOgu" dmcf-ptype="general">APRO R&D는 A(Aim-high·도전성)-P(Problem-solving·기대효과)-R(Revolutionary·혁신성)-O(Over&over·파급효과) 등을 갖춘 세계 최고, 또는 최초 수준의 연구 성과를 지향해 실패 가능성은 높으나 성공할 경우 혁신적 파급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R&D 사업을 선별·지정해 차별화된 체계로 지원하는 사업이다.</p> <div contents-hash="687a26e78b57c721ce0ebf2eed8f89433a1b1e41fbed374b59a9015863e26a96" dmcf-pid="3yJWT63IoU" dmcf-ptype="general"> <p>과기정통부는 21일 2025년도 추가 지정 7개 사업을 포함한 39개 APRO R&D 사업군의 목록을 과기정통부 누리집에 공고했다.</p>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319215b338e130718f39110cf76d86a75c337acba1e57676f4b188ba99dc8a9" dmcf-pid="0WiYyP0Cg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akn/20250821120206015pwit.jpg" data-org-width="745" dmcf-mid="5BOBzcP3A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akn/20250821120206015pwit.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efedf3fc773ae57cb5aee06f64d3032514cd4a8a315a14fe01800cd55928994" dmcf-pid="pYnGWQphc0" dmcf-ptype="general">추가 지정된 7개 사업 중 4개는 혁신도전형 과제의 기획·선정·평가 등 연구관리 권한과 책임을 총괄 관리자에게 부여해 밀착 관리되는 '밀착관리형' 사업이며, 나머지 3개는 목표에 대한 다수 과제 선정·경쟁 등 경쟁형 방식을 통해 과제 수행 과정·성과·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공개경쟁형' 사업이다.</p> <p contents-hash="5098fa4d10f67fcbc0f0aa4efd882020cac0a78b26ea86e9679c1a4df0f9e2f9" dmcf-pid="UGLHYxUlj3" dmcf-ptype="general">밀착관리형 사업에는 ▲자원순환형 초고에너지밀도 주유형 알루미늄 공기전지, ▲지역거점 AX 혁신기술개발, ▲우주 소형 무인 제조 플랫폼 실증사업, ▲초고속 하이퍼튜브 아진공 핵심기술 개발 등 4개 사업, 공개경쟁형 사업에는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 ▲항노화 및 역노화 재생의료 중개임상연구, ▲AI 챔피언 프로젝트 지원 등 3개 사업이 추가로 지정됐다.</p> <p contents-hash="ed7e9c013b8be08748bb92fe8a7c85bec3544e6870f02776d6d67862b52929c6" dmcf-pid="uHoXGMuSAF" dmcf-ptype="general">내년부터 신규 과제로 공모될 추가 지정 사업들은 기존 사업들과 마찬가지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위험·도전형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맞춤형 제도적 지원을 받게 된다.</p> <p contents-hash="ceaeec56732b40f2d296ff8008f5894961b35a74c8ff8899bc0a7a4c902cdedf" dmcf-pid="7XgZHR7vNt" dmcf-ptype="general">연구시설·장비를 도입할 때 수의계약을 통한 신속 도입이 가능해져 기존 120일 이상 걸리던 도입 기간이 약 50일로 단축되며, 과제 최종 평가 때는 성공, 실패의 구분 없이 과정 중심 평가 체계를 적용받는다. 또 우수한 성과에 대해서는 공모 절차 없이 후속 연구 추진을 허용해 산업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과감한 도전으로 발생한 정당한 시행착오에 대해서는 제재 처분 없이 종료가 가능하다.</p> <p contents-hash="4acdf73b2d9bd3fd9690f1d0ae90b2dcbe3b150d1b4419921a499520ce37c90b" dmcf-pid="zZa5XezTg1" dmcf-ptype="general">향후 APRO R&D 사업군에 대해서는 총괄 관리자에게 연구 관리의 전권을 부여하고, 책임 있는 운영을 위해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개정해 역량진단 모델 마련,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체계적인 육성 정책을 지속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d6927658542be16088eb300bbd7702ebe360c82ec80f13c72ce990bf6e96fa7b" dmcf-pid="qfT4VsJqc5" dmcf-ptype="general">박인규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국가 미래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난이도 연구에 자유롭게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면서 "APRO R&D 정책 추진을 통해 연구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도전적 R&D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34dfc46aa8284b2ddb97fd1081dbe0b04f46f44f9eddd9085bf8911c3ed0a2d7" dmcf-pid="B4y8fOiBNZ" dmcf-ptype="general">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초고속 하이퍼튜브·알루미늄 공기전지” 세계 최초…과기부, 혁신도전 ‘R&D’ 본격 추진 08-21 다음 멀리 떨어진 센서가 하나처럼 작동…정밀도·해상도↑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