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임 UST 총장 "2027년부터 매년 AI 연구자 400명 집중 양성" 작성일 08-21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전출협 '출연연 및 UST 인재양성 주제' 제2차 정책간담회…출연연 연봉 40% 상향 주장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q2dIbGkN6"> <p contents-hash="3ffeb819ee5385a3c3ff9207717a658b6934af92710f71fbed0a29f8fe9ee572" dmcf-pid="1BVJCKHEA8"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오는 2027년부터 인공지능(AI) 기반 연구자를 매년 400명씩 양성할 계획이다. 국가 전략기술 관련해서도 신규 플래그십 전공을 2개 신설한다."</span></p> <p contents-hash="76900c1e996d87617fd2a071152c98173af8fe552f8bc0b6d5826ab5e4c9ef1c" dmcf-pid="tbfih9XDN4" dmcf-ptype="general">(사)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회장 김명수,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가 지난 20일 마련한 제2차 정책간담회에서 강대임 UST 총장이 '가치창출형 인재 양성, 어떻게 할 것인가?- UST를 중심으로'를 강연하며 내놓은 말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6c042fbbf230af764530f766746452587992970ebad2bcdf7ff11c932207b98" dmcf-pid="FK4nl2Zwg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20일 열린 전출협 정책간담회에서 주제발표하는 강대임 UST 총장(맨 오른쪽)."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2415083jbey.jpg" data-org-width="640" dmcf-mid="GAhybkQ0A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2415083jbe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20일 열린 전출협 정책간담회에서 주제발표하는 강대임 UST 총장(맨 오른쪽).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1b04c00bf18456d066de13af00e3f226934d4eb1116089aa981db72a191c9cf" dmcf-pid="398LSV5rcV" dmcf-ptype="general">강 총장은 'UST 가치창출형 인재양성'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그동안 추진해 온 ▲국가 전략기술 특성화 전공 확대 ▲학생 창업 활성화 ▲AI 역량 함양 ▲글로벌 역량 강화 ▲우수 외국인 국내 정주 지원 등의 계획을 공개했다.</p> <p contents-hash="bf34b408cbf9277d35528ad3931e404a6e801ec76c7ccb75f8e0d6dfcc378661" dmcf-pid="0eLrtJBWj2" dmcf-ptype="general">강 총장은 "AI 인증제를 도입한다. 오는 2027년부터 AI 의무 이수제를 전면 시행할 것"이라며 "소버린 50명, AI 융합 전문가 50명 등 AI 기반 연구자 400명을 매년 양성할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3da02366ce11b6b02c851594b3aa5424d29366ec01a362f30988d6d47249591d" dmcf-pid="pdomFibYA9" dmcf-ptype="general">또 학생 창업 활성화를 위해 재학생 정원의 5%가 창업 프로그램에 참여해 연도별 5건의 창업 실적을 만들 계획이라고 언급했다.</p> <p contents-hash="f19487d635d749e87d62c7acbdb1c99b4cff23d848da10f9e3bac7e89665f1ff" dmcf-pid="UJgs3nKGNK" dmcf-ptype="general">학생 창업과 관련한 정부출연연구기관 규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학생 창업시 연구소에서 퇴직해야 한다는 규정을 없애야 UST 학생 창업이 보다 활성화될 것이라는 판단이다.</p> <p contents-hash="3e31fde9255a68b252cb0b084050ad0e3963f84b5d327f42ca2ddeda9648a5b0" dmcf-pid="uiaO0L9Hcb" dmcf-ptype="general">강 총장은 "지난해 UST 공식 취업률이 93.5%고, 내국인 졸업생 2천8백 명 가운데 281명인 10%가 정규직으로 채용됐다"며 "이를 임기 내 20%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라고도 언급했다.</p> <p contents-hash="371f0c2d60d388021bf8a301a2ed889d6123129aa9af6bf7b2d73c251dab7225" dmcf-pid="7nNIpo2XjB" dmcf-ptype="general">이를 위해 투트랙 창업 프로그램인 가칭 UST 딥사이언스 스쿨을 운영 검토 및 추진 중이라는 입장을 내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67cd7de050a9b20be4e7f50a6d4e624deb86ffd2ee54ecff00bf1860907beba" dmcf-pid="zLjCUgVZj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명수 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장이 개회사하고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2416322frzi.jpg" data-org-width="638" dmcf-mid="HXl16InbN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2416322frz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명수 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장이 개회사하고 있다.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f1a63c1db051f45f538df122ade9973b3567725b6caaaf6e081d3f12b39f733" dmcf-pid="qoAhuaf5A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20일 UST에서 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 제2차 정책간담회가 개최됐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2417563zjjk.jpg" data-org-width="637" dmcf-mid="XjjCUgVZa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2417563zjj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20일 UST에서 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 제2차 정책간담회가 개최됐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8d0603179da46ac472c51e8db95ee4cc65d1a3cf889baf7bfaead2d935a5867" dmcf-pid="Bgcl7N41o7" dmcf-ptype="general">국가전략기술 분야 신규 플래그십 전공도 2개 신설한다. 분야는 첨단로봇제조와 국방/항공/우주분야 등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9년 연간 200명의 고급 인력을 배출한다는 복안이다.</p> <p contents-hash="1ddc8f4935d7e12017f8960deb0032d73610f65054234896b9a93c39f85c1200" dmcf-pid="bakSzj8tku" dmcf-ptype="general">UST 법적 포지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p> <p contents-hash="f7fe304623831612950fb80fe1a04c317f171659a2fb17662a3f6388fd360026" dmcf-pid="KNEvqA6FjU" dmcf-ptype="general">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과기출연기관법) 상 "대학원대학을 설립할 수 있다"는 애매한 규정을 "설립한다"로 명시화하겠다는 것.</p> <p contents-hash="af9f2a6b01ad136fa646403bf4ba63f31227250053c55ef950181c5f472c9d0d" dmcf-pid="9jDTBcP3op" dmcf-ptype="general">강 총장은 이를 위해 일부 의원과 법제화 방안을 모색 중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반드시 이 부분을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p> <p contents-hash="cf85eebbfe491fe936fb5ad9976a24a53015e821c8ab62792eb95c1b56412851" dmcf-pid="2AwybkQ0N0" dmcf-ptype="general">패널 토론은 윤석진 전 KIST 원장을 좌장으로 김태수 NST 인재개발부장, 남승훈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박희범 지디넷코리아 과학전문 기자가 참석했다.</p> <p contents-hash="b8d90b3a8602661ebff33abd2c307bdeab01ca584721c3b9aec59f258a0cb360" dmcf-pid="VcrWKExpa3" dmcf-ptype="general">또 이날 좌담회에서는 김복철 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을 비롯한 안동만 전 ADD 소장, 한문희 및 이기우 전 에너지기술연구원장, 양명승 전 한국원자력연구원장, 한선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등도 출연연 및 UST 발전 방안을 제시해 관심을 끌었다.</p> <p contents-hash="fcba7d7c5e6be5c724d98a86f67d5f1a4772fb8821c39003dba613cd50d2216e" dmcf-pid="fkmY9DMUgF" dmcf-ptype="general">이들은 ▲출연연 연봉 40%인상 ▲성과 기반 무정년제 도입 ▲UST 인재사관학교로의 전환 ▲UST만의 스쿨 조성 ▲외국인 우수논문 포상제 시행 ▲컨퍼런스홀 등을 갖춘 대규모 과학마을 단지 조성 ▲외국인 종합지원 센터 신설 ▲UST 졸업시 해당기관 채용 의무화▲연구원을 대학교수 수준 연봉 대우 등의 의견을 개진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b895154c660601685a0998c8683376617cc8ac3c8821f5f0017516e8f52ebd9" dmcf-pid="426ovf1mk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출협 제2차 정책간담회 패널토론. 토론은 윤석진 전KIST 원장(중앙)을 좌장으로 진행됐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2418810rdel.jpg" data-org-width="640" dmcf-mid="ZDl16Inbj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2418810rde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출협 제2차 정책간담회 패널토론. 토론은 윤석진 전KIST 원장(중앙)을 좌장으로 진행됐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8a7f4cba00ac3004a1ae964818ba6f154c330cfc7bdf52893565ef6f7aebb24" dmcf-pid="8VPgT4tsg1"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트럼프는 왜 가상자산 수도를 꿈꾸나…‘프로젝트 크립토’로 보는 美 전략 08-21 다음 '세계 최강' 안세영, 무릎 부상 딛고 2연패 도전...가장 큰 적은 나 자신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