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10명 중 7명 "눈높이 낮춰 지원”...포기힘든 조건 ‘위치’ 작성일 08-21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목표 연봉 4천534만원→3천807만원..."하반기에도 눈높이 낮출 것”</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gSv2wRuag"> <p contents-hash="080e27637e7a863184420aab05e5a6fed36e91bd9c9d493582dc8a07bc566fcb" dmcf-pid="z9ogHxUlAo"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백봉삼 기자)커리어 플랫폼 사람인(대표 황현순)이 구직자 919명을 대상으로 '취업 눈높이'를 조사한 결과, 10명 중 7명(70.5%)이 올해 상반기 눈높이를 낮춰 지원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0eae35338ad38ebe389104064cfd6809ef6c5384ac8a88f70cf489a072c46d47" dmcf-pid="q2gaXMuSAL" dmcf-ptype="general">눈높이를 낮춘 조건은 '연봉 수준'(64%,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계약직 등 고용형태'(40.7%), '근무지 위치'(39.8%), '대기업 등 기업 형태'(38.4%), '복리후생'(23%), '워라밸'(22.8%), '기업 인지도'(21%), '기업 안정성'(19.3%) 등의 순이었다.</p> <p contents-hash="9127dd2294acc7e4d7e5c7afa75fcfceb44006a6c52c4e5c487294b1daed2942" dmcf-pid="BVaNZR7van" dmcf-ptype="general">이 때 '연봉을 낮췄다'고 응답한 이들(415명)이 애초에 목표로 한 연봉은 평균 4천534만원이었으며, 눈높이를 낮춘 연봉은 3천807만원으로 집계됐다. 취업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희망 연봉을 평균 727만원 깎은 셈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339551900743a43350892509f334ddce280052ad230a11f74da7a57fdd7948" dmcf-pid="bfNj5ezTg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취업준비 자료 사진(제공=클립아트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0317602ptph.jpg" data-org-width="639" dmcf-mid="0xgaXMuSN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0317602ptp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취업준비 자료 사진(제공=클립아트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cfefa83342b763fd19e376ae0a5a25d38b9da50b85e700ef055a0570def0c1b" dmcf-pid="K4jA1dqycJ" dmcf-ptype="general">그렇다면, 구직자들은 올해 하반기에도 눈높이를 낮출 계획일까.</p> <p contents-hash="1d4980f68686b13e4dc1c736d6ff203211d2af53d18222cc51e91b6c9d16a657" dmcf-pid="98ActJBWNd" dmcf-ptype="general">전체 응답자의 무려 82.2%가 '하반기에 눈높이를 낮출 것'이라고 밝혀, 올해 상반기에 눈높이를 낮춘 비율보다 11.7%p 높았다.</p> <p contents-hash="d33a027b0145de648463acdcc4e2f4bbd7bf2ecb89f6bc19551d43b6896de931" dmcf-pid="26ckFibYae" dmcf-ptype="general">하반기에도 눈높이를 낮추려는 이유는 '경기 둔화로 하반기에도 채용이 많지 않을 것 같아서'가 49.4%(복수응답)로 1위였다. 근소한 차이로 '빨리 돈을 벌어야 해서'(45.7%)와 '오랜 구직활동에 지쳐서'(44.6%)가 2, 3위에 올랐다. 이밖에 '일단 취업하면 이직 등의 기회가 생겨서'(20.7%), '남들보다 역량 등에서 강점이 부족해서'(16.4%), '전공, 경험과 다른 직무에 지원할 것이어서'(15.6%) 등의 순이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e5fea6c5e29c81d7fe2d8616cd475b4556d574be98c051449f6d788042cd13f" dmcf-pid="VPkE3nKGj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구직자, 올 상반기 눈높이 낮춰 지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0318840nfdy.jpg" data-org-width="639" dmcf-mid="uEUuoXwMA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ZDNetKorea/20250821090318840nfd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구직자, 올 상반기 눈높이 낮춰 지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af59e613d199dfbb775bfc2ee85578a79a273baa16948bdfccb52b4745b4d46" dmcf-pid="fQED0L9HcM" dmcf-ptype="general">이들 중 절반 이상(56.6%)은 합격 후에 이직을 시도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을 시도하는 시기는 입사 후 평균 2년 1개월로 집계됐다.</p> <p contents-hash="ad34ce610ec7ebd3184f180a4691d46ebcad22b4772ac91d6c0b83900002ed29" dmcf-pid="4xDwpo2Xax" dmcf-ptype="general">반면, 하반기에 눈높이를 낮추지 않는다는 응답자들(164명)은 그 이유로 '맘에 드는 곳에 오래 다니고 싶어서'(54.9%, 복수응답), '역량면에서 확고한 강점이 있어서'(24.4%), '구직활동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되어서'(22.6%), '사정상 포기할 수 없는 조건이 있어서'(20.7%) 등을 꼽았다.</p> <p contents-hash="e5126c5dd6d7fe8243a6b3848045c853736d1ab1c6c74dc6c31356272e3436d0" dmcf-pid="8MwrUgVZcQ" dmcf-ptype="general">전체 응답자들은 지원 시 가장 포기할 수 없는 조건으로 '근무지 위치'(24.8%)를 가장 많이 꼽았다. 계속해서 '연봉 수준'(22.1%), '워라밸'(16.9%), '계약직 등 고용형태'(15.2%), '기업 안정성'(8.5%)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p> <p contents-hash="66385efa44c35d185eaaf60da193946ed56125775721a8f81460cb64d8a905c8" dmcf-pid="6olS9DMUjP" dmcf-ptype="general">백봉삼 기자(paikshow@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사람과 기술, 그가 LG의 정체성…탄생 100주년에 재조명 된 ‘구자경 리더십’ 08-21 다음 핸드볼 점수가 69-5…女대표팀, 아시아주니어선수권서 키르기스스탄 대파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