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했는데"…카카오, '분사' 티스토리 휴면 블로그 폐쇄 시동 작성일 08-21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021년 계정연동 후 처음으로 '블로그 폐쇄' 정책 신설<br>카카오 "이용자 보호 위해…서비스 축소 수순 아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mCinGEQYK">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9c016eaef7bc48f8be882fdad36e67b9b0ad524ad0c2f5c3cdc92f23cbf20ee" dmcf-pid="5shnLHDx1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티스토리 휴면정책 변경 공지(티스토리 갈무리)/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080113629nrsv.jpg" data-org-width="1280" dmcf-mid="GxLkEplo1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080113629nrs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티스토리 휴면정책 변경 공지(티스토리 갈무리)/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7ed42379cb51f5cdbce9619f988d7562983663e84b024cd05c80f0fda041529" dmcf-pid="1OlLoXwM5B"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카카오(035720)가 블로그 서비스 '티스토리'의 데이터 파기 기한을 단축하기로 했다. 이용자들은 20년 가까이 축적된 티스토리 블로그의 정보가 '로스트 미디어'가 될 가능성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p> <p contents-hash="131f7e0108074b773fd094fbff0c10a1aa48c5efdf38242df7d82b4d4695a200" dmcf-pid="tISogZrRtq" dmcf-ptype="general">21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 티스토리팀은 사용자들에게 '티스토리 휴면 정책을 오는 9월 22일부터 변경한다"고 통보했다.</p> <p contents-hash="f9c08ef7df34602bbfb5e9b605e10f06399fea847348019cf9d2d10fba6dd34a" dmcf-pid="FCvga5metz" dmcf-ptype="general">바뀌는 정책에 따르면 티스토리는 회원이 3년간 로그인하지 않으면, 개인정보 파기 및 계정 탈퇴와 함께, 해당 계정의 블로그 데이터도 파기하기로 했다.</p> <p contents-hash="8543cdf999bb924ae5dfa02e2781bdb3cba9dcf2c74c5773686dbdec86eae31b" dmcf-pid="3hTaN1sd57" dmcf-ptype="general">기존 티스토리 블로그 휴면정책은 지난 2021년 카카오 계정 연동 이후 카카오 운영 정책에 따랐다. </p> <p contents-hash="f0fcd217a0beaf50d014a1e0578d250ea28dae225e4755775b74fb66b3fb5574" dmcf-pid="0lyNjtOJYu" dmcf-ptype="general">1년간 1번이라도 티스토리에 연결된 카카오 계정이 로그인할 경우 계정이 유지됐다. 이를 어겨 계정이 휴면 전환되더라도, 4년간 분리보관하기로 한 규정에 따라 지금까지 블로그 데이터가 삭제되는 일은 없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23adb6a66ddebc5b0845be4004458407d3c44f06094c78e29874ca785701c8" dmcf-pid="pSWjAFIiG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News1 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080115070ucdt.jpg" data-org-width="560" dmcf-mid="H6mReTj41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080115070ucd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News1 DB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ad351cf8636345449483b0bd687e1d5441e15249e7c652acab97d527737ed673" dmcf-pid="UvYAc3Cn5p" dmcf-ptype="h3">19년차 서비스 티스토리…카카오, 미로그인 블로그 삭제 기한 5년에서 3년으로 </h3> <p contents-hash="da3901793676467edf764a14a465ee885bc723ba972b8cf419f4d2a0817c57f2" dmcf-pid="uTGck0hLZ0" dmcf-ptype="general">이처럼 카카오가 티스토리 블로그 데이터 삭제를 예고하자 이용자들은 티스토리에 축적된 양질의 정보가 소실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p> <p contents-hash="4bbc555ddaa37d4e4160bba22a0060eccf5bf8eb88a3e7ad7b1da06cb1e65cd2" dmcf-pid="73ulSV5rX3" dmcf-ptype="general">티스토리는 지난 2006년 처음 문을 연 서비스형 블로그다. 현재 운영 중인 국내 블로그 서비스 중 네이버 블로그 다음으로 오래됐다. </p> <p contents-hash="1d5d91305df9a52642f60eea3dd574a3c7208bb1c23a1a78021f8d62d5276509" dmcf-pid="z07Svf1mYF" dmcf-ptype="general">과거 블로그 문화가 유행했던 때부터 서비스된 만큼, 티스토리에는 IT·게임·서브컬쳐를 비롯해 다양한 주제에서 전문가들이 양질 정보를 업로드한 블로그가 여럿 개설돼 있는 상태다.</p> <p contents-hash="7235124815af7e8ae2220646c43eaf44b6b5d795e513ec3ea0686a3de0d710bd" dmcf-pid="qpzvT4tsYt" dmcf-ptype="general">한 IT업계 개발자는 "공대생 때 코딩 공부를 하며 티스토리에 현직 개발자들이 올려준 코딩 관련 자료를 보고 문제를 해결했던 일이 많았다"며 "현재는 운영되지 않는 블로그에도 좋은 글이나 자료가 많을텐데 블로그 데이터가 삭제되면 아쉬울 것 같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3bf63e578f02d37c88c2e5241649fdd231d6b03d8ee3130b8ed2441bca33e7a" dmcf-pid="BUqTy8FOZ1" dmcf-ptype="general">실제로 지난 2023년 또 다른 오래된 블로그 서비스인 '이글루스'가 서비스를 종료했을 때도 많은 데이터가 유실된 바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5c8f70f75e5d8b47b143c753115d993eabad62d3eafd3cf253e5d4623145147" dmcf-pid="buByW63IH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카카오 제주 본사 /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080115355rwzp.jpg" data-org-width="1025" dmcf-mid="Xr2HXMuSt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1/NEWS1/20250821080115355rwz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카카오 제주 본사 /뉴스1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81057a0aa507a0272d53e41973c25f630d1cf32ceb1038831d83d7f58a40d9de" dmcf-pid="K7bWYP0CtZ" dmcf-ptype="h3">카카오 "미 로그인 계정 블로그 탈취·어뷰징 때문…유지보수 개발도 노력"</h3> <p contents-hash="4dc631052186b97be63df216f38b51e01e1df6ecbecccc550afeb936d56edce9" dmcf-pid="9zKYGQphtX" dmcf-ptype="general">카카오 측은 이번 티스토리 휴면 정책 변경의 이유로 "이용자 보호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a01cd7c10219f118104e5424d97e53018ac0d71cab3a5d15001192d21c2764f4" dmcf-pid="2q9GHxUlHH" dmcf-ptype="general">카카오 관계자는 "현재 미 로그인 계정의 블로그 탈취나 어뷰징이 늘어나다보니, 이용자 보호를 위해 장기 미이용 기간을 축소하자는 이야기가 있어 정책을 변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2b0004a57a30d86becc94083ceda0b35ba08304f5f54df6410473b5ab79da7c" dmcf-pid="VB2HXMuStG" dmcf-ptype="general">또 "서비스 축소 수순도 아니다"라며 "카카오도 티스토리에 활발히 활동하는 사용자가 많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유지보수나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214e1384602c44ae06d5ded4883deb3aded64da5d58539736e04f434e1c67908" dmcf-pid="fbVXZR7vYY" dmcf-ptype="general">다만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를 두고 돈 되지 않는 서비스의 비용절감을 위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p> <p contents-hash="e7c0a13df509dbdeb160796bd72123adff7bb0ffe316bad491eb6a08db0eccbb" dmcf-pid="47bWYP0C5W" dmcf-ptype="general">카카오는 티스토리에 자체 광고를 붙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다음 및 기타 자회사 광고수익이 반영되는 '포털비즈'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4% 감소한 3320억 원에 그쳤다. 포털비즈 매출은 매년 감소 추세다.</p> <p contents-hash="3f19991bcb319e75a036009e228a41d6f8016d8c6ed8105665f055656ef1135e" dmcf-pid="8zKYGQphHy" dmcf-ptype="general">한편 카카오는 지난 5월 다음을 담당하는 콘텐츠 사내독립기업(CIC)를 분사해 100% 자회사인 '다음준비신설법인'을 설립했다. 티스토리는 다음과 함께 분사됐다.</p> <p contents-hash="fc629c027ecfadb41fefa437359ad48b2e6c88b1bafec6a3dc9f811cd3396b4f" dmcf-pid="6q9GHxUlYT" dmcf-ptype="general">Kris@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로스트 미디어<br>유실 매체. 더 이상 어떤 형식으로든 존재하지 않는 영상물이나 글 등의 미디어를 말한다. 인터넷 시대에는 기업의 서비스 종료 등으로 더 이상 데이터를 열람할 수 없는 로스트 미디어들이 많아지고 있다.<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손흥민, 토트넘 선수들과 '직장인들' 떴다 08-21 다음 '20년 꿈쩍 않는' 한국 10대 기업..."차등 규제 없애야 기업 도전 의식 생긴다" 08-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