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가스·초미세먼지·병원체 한번에 탐지한다 작성일 08-20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한국생산기술연구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0DcryA8d4">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d67343670f6b7d057a1355c2543ac0ae13b77e60000f731b52c810f6fc3cc8e" dmcf-pid="1pwkmWc6M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HAPs-Solver를 개발한 생기원 연구원들. 생기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0/dongascience/20250820123544524mune.png" data-org-width="680" dmcf-mid="ZQVK4ibYL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0/dongascience/20250820123544524mune.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HAPs-Solver를 개발한 생기원 연구원들. 생기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ea9d0c22920648180e7c09fd996599869b30ff19ef1dc6f250ed9841d658d7f" dmcf-pid="tKlIvtOJRV" dmcf-ptype="general">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연구팀이 공기 중 각종 유해물질을 빠르게 검출하고 제거할 수 있는 ‘통합형 스마트 공기정화 시스템’을 개발했다. </p> <p contents-hash="67411213ed9a7492d655bd54253ab86ca94dbdedb1634075149ce2ba82e26436" dmcf-pid="F9SCTFIiJ2" dmcf-ptype="general">생기원은 도성준 섬유솔루션부문 수석연구원 연구팀이 유해가스와 초미세먼지를 제거하고 공기 중 병원체까지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는 ‘유해 대기오염물질 솔버(HAPs-Solver, Hazardous Air Pollutants Solution)'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p> <p contents-hash="b5002039b7d7d436573832dfbb244c8dc75d49d2f3c872a024fa26d8bbced151" dmcf-pid="32vhy3CnL9" dmcf-ptype="general">유해가스, 미세먼지, 병원체는 입자 크기와 화학적 특성 그리고 공기 중 체류 방식이 달라 제거하려면 각기 다른 기술과 장치가 필요하다. 연구팀이 개발한 HAPs-Solver는 이들 입자를 한 번에 검출하고 포집하는 시스템이다. </p> <p contents-hash="63ffd4d31ffe25c4ac09455cbb11b4e26178559ee301f7671b0e8696d9bb6aae" dmcf-pid="0VTlW0hLiK"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공기 중 병원체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해 자체 설계·제작한 ‘고성능 사이클론 기반 포집기’를 시스템 상단에 적용했다. 포집기는 자가 회전하는 원뿔형(Cone) 구조다. 강한 원심력을 만들어 공기 중 미세입자를 외벽으로 밀어내 액상 형태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p> <p contents-hash="cf316249044ad71172b4a4cc93c2714574ff12e1e9bb22d92aee02055560a6d4" dmcf-pid="pfySYploMb" dmcf-ptype="general">수집된 액상물질은 별도 전처리 없이 ‘금 나노구조체 표면증강라만분광(SERS) 면역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분석돼 유해물질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데이터로 활용된다. </p> <p contents-hash="c692db60342c0f8a44575d55bfd0a56c7237efb3427bc66d964a8d998c8c11d7" dmcf-pid="U4WvGUSgLB" dmcf-ptype="general">SERS 기술은 시료에 빛을 쏘았을 때 산란되는 빛을 분석해 분자의 고유한 진동 스펙트럼을 통해 물질의 정체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p> <p contents-hash="475be9870594dd1ebcd776c2d7f92f9fa92f2981d1f821ce707b1924f3858db2" dmcf-pid="u8YTHuvaiq" dmcf-ptype="general">도출된 데이터는 연구팀이 고안한 디지털 카운팅 기법과 데이터 분석 방법을 통해 극미량의 병원체까지 검출하는 데 쓰인다. 포집부터 분석까지 150분 이내에 마칠 수 있다.</p> <p contents-hash="d844b8fe61ff75b39cc3ccc4c81e0bbbbf29801a284aae7ebb1f4a7a736bc9e5" dmcf-pid="76GyX7TNMz" dmcf-ptype="general">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 하단에는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가 적용됐다. 개발된 유해가스 제거 필터는 금속-유기 복합체(MOF) 기반의 섬유 필터다. MOF는 금속 이온과 유기 리간드가 결합해 만들어지는 3차원 다공성 구조체다.</p> <p contents-hash="8f87b768751289535d69dce5cc20f19fef3e7f2a01eae0adba1fbeb28e5f6232" dmcf-pid="zPHWZzyje7" dmcf-ptype="general">필터를 이용해 암모니아, 포름알데하이드, 황화수소를 99.9%까지 흡착할 수 있다. 초미세먼지 포집을 위해서 자체 개발한 'ePTFE 멤브레인 복합 필터'를 시스템에 적용했다.</p> <p contents-hash="5621e0ff4007e38c2f8f39c5960f5a41a8a0cd79d629838473c89de2d32ebedb" dmcf-pid="qQXY5qWALu" dmcf-ptype="general">ePTFE 멤브레인 복합 필터는 미세 기공 구조를 가진 초미세 여과막이다. 연구팀은 ePTFE 멤브레인 복합 필터에 초미세 섬유로 만들어진 특수 부직포인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결합해 다중 구조의 복합 필터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p> <p contents-hash="39f6e0aa4e440891557a44d4e5f2f4c9b90b7c0e7b53aaa4ca661ceb7805a661" dmcf-pid="BxZG1BYcdU" dmcf-ptype="general">개발된 필터는 초미세먼지를 99.9% 이상 차단해 제거하면서도 내구성과 공기 투과성이 높아 장시간 사용에도 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생기원 대표과제로 선정된 이번 성과는 20일 개막하는 ‘프리뷰 인 서울 2025’에 소개된다. </p> <p contents-hash="42c000c72b34096dc8281cf36c3fd2cb9a0dabaafad5c0c39b556a0dd8366153" dmcf-pid="bM5HtbGkep" dmcf-ptype="general">도 연구원은 “다양한 공기 부유 유해물질을 단일 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이다”며 “향후 실증을 거쳐 요양시설, 어린이집과 같은 다중이용시설 적용을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f852e0262636bdd06d1e1a9984cd3d03ed0abd1e4b7553ff07ed4a014100da03" dmcf-pid="KR1XFKHEe0" dmcf-ptype="general">[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암세포 '분화 막는 스위치'찾아 난치성 뇌종양 치료 새 길 연다 - 암줄기세포 분화·사멸 유도하는 새로운 대사 표적 규명 - 08-20 다음 박보검 붐바스틱 댄스까지 소환‥싱가포르·가오슝 7천여 명 팬과 교감 08-2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