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월렛, 韓 국민 3분의 1이 쓴다 작성일 08-20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채원철 삼성 디지털월렛팀장 기고…"10년 전 비전 현실 돼"<br>국내서만 1833만명 사용…"지갑 넘은 라이프 허브로 진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gexzzyjYg"> <p contents-hash="98e8d36e49135bf8ebdc90d55a9a5771d3d6ab7622015d531e298565f965cf96" dmcf-pid="fadMqqWAto" dmcf-ptype="general"><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875b795116b3af2e83e608d33c8070a8c22f216a476720467a7738940dc9352" dmcf-pid="4NJRBBYcY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삼성전자는 통합 디지털 지갑 서비스 삼성월렛이 2015년 8월 첫 선을 보인 이후 올해로 출시 10주년을 맞이했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0/newsis/20250820090116850psfl.jpg" data-org-width="720" dmcf-mid="zCHWDDMUY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0/newsis/20250820090116850psf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삼성전자는 통합 디지털 지갑 서비스 삼성월렛이 2015년 8월 첫 선을 보인 이후 올해로 출시 10주년을 맞이했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ca48a20c449f96c5062aafc438916a6196d75127c90dfb5126a4af2c0a99c35" dmcf-pid="8jiebbGkHn"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삼성전자의 간편결제서비스 '삼성월렛(구 삼성페이)' 이용자가 우리나라 인구의 3분의 1 수준인 약 1833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삼성월렛을 인공지능(AI)과 연계해 지갑을 넘은 일상 속 모든 경험과 연계하는 서비스로 진화시켜나간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ad4206fba406f4067027249c4b9d5459244d9029c55fc96492fcf761534e354e" dmcf-pid="6AndKKHE5i" dmcf-ptype="general">채원철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월렛팀장은 20일 자사 뉴스룸 기고를 통해 "삼성월렛이 한국에 첫선을 보인 지 10년이 됐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6169f076ef7e09f7d1fd215142d413e220db764c679e69e7d20d81bf215ebcd" dmcf-pid="PcLJ99XD5J" dmcf-ptype="general">채 팀장은 "10년 전 우리는 지갑을 꺼내는 대신 스마트폰을 꺼내는 혁신을 시작했다. 그리고 '실물 지갑을 완벽히 대체하고, 고객에게 디지털 라이프를 제공한다'는 비전을 현실로 만들어 왔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8cf20854ae8ba52adedcd526c38340ce2cff32d24e420f01685d09543438cde1" dmcf-pid="Qkoi22ZwGd" dmcf-ptype="general">삼성전자는 2015년 8월 세계 최초로 비접촉 결제 방식인 NFC와 마그네틱 보안 전송 기술 MST를 동시에 지원하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삼성페이를 선보인 바 있다. </p> <p contents-hash="d3590e37bd091527b82c899c38524e6a54c909316bd193d4fe37146d04d29ee5" dmcf-pid="xkoi22ZwZe" dmcf-ptype="general">이후 삼성페이는 고객의 지갑과 관련된 전반적인 영역으로 사용 범위를 넓혀 왔다. 신용·체크카드와 교통카드·멤버십 등으로 시작해 온라인 간편 결제와 소비 내역 관리 서비스인 '페이플래너', 계좌 이체·환전까지 결제 서비스의 폭을 지속 확장해 왔다.</p> <p contents-hash="c245f92d1d40a0f5e137b3dfda721c83f6beea2e2c7d5c94fe7d13409df57bd8" dmcf-pid="y7tZOOiBXR" dmcf-ptype="general">2022년에는 삼성패스를 삼성페이와 통합해 결제와 인증을 하나의 보안 체계 아래에서 안전하게 운영되도록 하기도 했다. 이에 더해 디지털 키·디지털 자산·티켓·탑승권 등 온라인과 실생활을 아우르는 신규 서비스를 선보였다.</p> <p contents-hash="e8e69e32138938449818439dcc38a5c8460a9dd628af89ba3ffb45cf3161edd0" dmcf-pid="WzF5IInb5M" dmcf-ptype="general">지난해에는 이같은 서비스를 모두 통합해 삼성월렛으로 리브랜딩하며 운전면허증과 주민등록증, 전자 증명서 등 공공, 인증 서비스도 새롭게 담아냈다.<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5b04c410f18e5c8313ae2b28049d195174cd41f57335279b272e363f87ffb5b" dmcf-pid="Yq31CCLKY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채원철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월렛팀장.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0/newsis/20250820090117015fgup.jpg" data-org-width="720" dmcf-mid="B8Q8pploG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0/newsis/20250820090117015fgu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채원철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월렛팀장.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636330f1bcb29ee8a4953ac385d6e2fc18d00fa17cf301346390a2a908fbf3e" dmcf-pid="GB0thho9XQ" dmcf-ptype="general">이를 두고 채 팀장은 "삼성월렛은 그동안 실물 지갑이 수행해 왔던 모든 기능을 디지털화해 갤럭시에 완벽히 구현했다"며 "사용자는 지갑 없이도 결제에서 여행·여가·인증까지 일상의 모든 순간을 안전하고 매끄럽게 이어갈 수 있게 됐다. 이는 삼성월렛이 '실물 지갑의 완전한 대체'라는 목표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했다.</p> <p contents-hash="5fadc7cfb8a98c4a42edc3d60c7a7f43e1a442c1d4a28e7fd81ee238502fe565" dmcf-pid="HbpFllg2tP" dmcf-ptype="general">채 팀장에 따르면 삼성월렛은 지난 10년 간 국내 인구의 3분의 1, 성인 인구의 43%에 달하는 1833만명이 사용해왔다. 국내 20~30대 갤럭시 사용자 10명 중 9명이 가입했다. 또 삼성월렛 사용자 집단은 미사용자 대비 갤럭시 스마트폰의 재구매율이 2배 이상 높아, 삼성월렛과 갤럭시 브랜드가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의 기반이 되고 있다.</p> <p contents-hash="263fbb71a89cca6267922874a0b78e1b2ef6c5959243fc8e403d1d48a9d133ab" dmcf-pid="XKU3SSaVG6" dmcf-ptype="general">채 팀장은 삼성월레싱 기존의 지갑 기능을 넘어 일상 속 다양한 경험을 연결하는 '라이브 허브(Life Hub)'로 진화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갤럭시 AI와의 연계를 기반으로 기능을 보다 고도화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bbab306d892130173390596f3c3dcc20984f561374f084af608f868f0a23aec0" dmcf-pid="Z9u0vvNfH8" dmcf-ptype="general">이에 대해서는 "디지털 세상의 새로운 아이템을 담고, 온라인 결제 및 신원 인증의 사용성을 지속 강화하는 것은 물론, AI 기술을 통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특히 온라인 결제 분야를 중심으로 고객 경험을 자동화·지능화하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e1df5a2e67740704a98f97dd39333f2816d1b525d823909604d70e14d5e7e600" dmcf-pid="527pTTj4t4" dmcf-ptype="general">이어 "갤럭시 AI와 연계해 고객의 일상·여행·여가 전반을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며 "가상 자산 시대의 부상에 맞춰 고객의 디지털 자산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확장 가능성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의 차세대 인터넷 환경, 이른바 웹3.0 시대에도 삼성월렛은 신뢰할 수 있는 생활의 중심 플랫폼으로 유연하게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a7e1295df43807beac15280cdb680d6a6c0babc4b4d6b12fbb25d85bbeaa3489" dmcf-pid="1VzUyyA81f"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hsyhs@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한국수력원자력·한전, 웨스팅하우스에 북미·유럽·우크라 원자력시장 내줘 08-20 다음 카카오, ‘사이좋은 디지털 세상’ 10주년 맞아 AI 맞춤형 교육으로 개편 08-2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