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표 1만5천원, 이건 너무 비싸!” 넷플릭스에 밀리더니…6천원 깎아주자 ‘우르르’ 작성일 08-19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dO1AezTZ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35aaaeb92855d1f31141aef823baa78229a4e9aca590640389ef6c7df619ece" dmcf-pid="XJItcdqyG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달 27일 서울의 한 영화관에서 시민들이 영화를 예약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214120940lwgj.jpg" data-org-width="1280" dmcf-mid="WzPAbtOJ1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214120940lwg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달 27일 서울의 한 영화관에서 시민들이 영화를 예약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a4639461f7c7f0b216ed5f086fe7a987ecf76e2131c5af95adaa0f60663d52e" dmcf-pid="ZgvUro2XZN"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영화 관람권 1만원도 비싸다!”</p> <p contents-hash="de948b705c877dadabba97269f713ae9cc8255881c250b1e7a14986be864cbf9" dmcf-pid="5aTumgVZXa" dmcf-ptype="general">국내 주요 영화관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수가 모처럼 증가했다. 영화 예매 시 6000원을 할인 받을 수 있는 정부의 영화 할인 쿠폰 정책이 주효했다. 다만 일시적인 상승세인 만큼 다시 꺾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 가격 정책을 되짚어볼 시점이다.</p> <p contents-hash="fd046014d80546c2441ca2a799db3cb6310893fa462c61d731d47f0a8a31e063" dmcf-pid="1Ny7saf5tg" dmcf-ptype="general">19일 와이즈앱·리테일이 국내 주요 영화관 앱의 MAU(월간 활성 사용자 수)를 조사한 결과, 올해 7월 영화관 앱 합산 MAU가 797만 명으로 집계됐다.</p> <p contents-hash="31fe1ea2653a4cbe58e07ada764359764d3c47ba007a271e7b141065a60aaa4b" dmcf-pid="tjWzON411o" dmcf-ptype="general">‘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앱의 중복 사용자는 제외한 결과로, 전월(506만 명) 대비 58%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같은 달(641만명)과 비교하면 24% 가량 증가했다.</p> <p contents-hash="592bc426b78a4d1113bcd1effb45d360cde3ecc2439654e3b4bc887ad6923361" dmcf-pid="FAYqIj8tZL" dmcf-ptype="general">지난 달 영화관을 찾은 관람객 수도 올해 들어 월별 최고 수준이다.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7월 관객 수는 1173만7195명이다. 올 들어 처음으로 1000만명을 돌파했다. 기존 최고 기록은 890만5791명이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7b343fbbb4bf386a54e3997bbc2c21c0129a35f18093ccf406cb97065b00895" dmcf-pid="3cGBCA6FG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엑스(X)에 올라온 텅텅 빈 영화관 영상 [소셜미디어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214121202mlwm.jpg" data-org-width="775" dmcf-mid="YMmZNMuSZ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214121202mlw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엑스(X)에 올라온 텅텅 빈 영화관 영상 [소셜미디어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5d2a0116946dd2df6935d59a7d656e6e2dcce0679e0849ef93002cf91a02df0" dmcf-pid="0kHbhcP3Xi" dmcf-ptype="general">영화관이 모처럼 활기를 되찾은 배경엔 최근 정부가 발행한 영화 할인 쿠폰이 자리 잡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25일부터 영화 관람 활성화를 위해 6000원 할인권 450만 장을 배포했다. 이에 주말 관람 시 1만5000원을 내야 하던 영화를 9000원에 볼 수 있게 됐다. 멀티플렉스 3사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배포된 할인권은 사흘 만인 지난달 28일 모두 소진됐다.</p> <p contents-hash="ce3a9f142d794ce28554769819fad41f9e0dfc657daa83e7c4d506fc7f196709" dmcf-pid="pEXKlkQ01J" dmcf-ptype="general">소비자들은 갈수록 늘어나는 영화 관람권 가격이 영화관 문턱을 높이는 주범이라 입을 모은다. 실제로 영화 입장권 가격과 관람객 수는 반비례 하는 양상이다. 주말 기준 2018년 1만2000원이던 영화 관람권 가격은 ▷2020년 1만3000원 ▷2021년 1만4000원 ▷2022년 1만5000원으로 올랐다. 올해도 1만5000원 선을 유지하고 있다.</p> <p contents-hash="cc76482066c65f1d42f194e20b0c2acdce93985bbfa1e76bfdd0454e4efd5824" dmcf-pid="UDZ9SExpXd" dmcf-ptype="general">반면 2019년 7월 2191만6465명이던 관람객 수는 ▷2022년 7월 1629만12434명 ▷2023년 7월 1428만580명 ▷2024년 7월 1203만3807명 ▷2025년 7월 1173만7195명 등 감소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0680f075c6d43ccd3790d89de5ede793bfdbb8aa1c413301b5bb815293398dd" dmcf-pid="ukHbhcP3Y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영화관 전경.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헤럴드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214121420cvyr.jpg" data-org-width="600" dmcf-mid="Gg8Nq5me1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9/ned/20250819214121420cvy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영화관 전경.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헤럴드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0d8da1ba97522650b8e9073294a93202a36e47dc3a58a290ccdb3a995abaa0c" dmcf-pid="7EXKlkQ0tR" dmcf-ptype="general">넷플릭스, 티빙, 디즈니플러스와 같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약진도 관람객들의 발길을 붙잡고 있다. 4인 가족이 주말에 영화관을 찾을 경우 최소 6만원을 지출해야 하지만, OTT는 2만원도 채 되지 않는 비용으로 영화, 드라마 등의 콘텐츠를 무제한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7ebe83f99ff9365011187355eee530b75c9bae7f4c0c6f1d333ffb8f318fcc82" dmcf-pid="zDZ9SExptM" dmcf-ptype="general">영화진흥위원회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2023년 영화소비자 행태조사’ 결과도 이와 무관치 않다. 극장관람 빈도 감소 이유에 대해 가장 많은 소비자들이 ‘볼만한 영화가 없어서’(24.8%)를 꼽았지만, ‘영화나 극장 품질 대비 티켓 가격이 올라서’(24.2%), ‘경제적인 여유가 줄어들어서’(15.2%) 등 비용 문제를 꼽는 응답률이 39.4%에 달했다. ‘극장 개봉 후 조금만 기다리면 다른 관람 방법으로 시청이 가능해져서’(16.6%)처럼 OTT 시청을 이유로 꼽은 응답자도 있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남규리 "씨야 재결합 무산…녹음했는데 곡 넘어가" 08-19 다음 이수근, 절친 김병만 결혼식 사회 맡는다 08-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