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IBE] 노석준의 메타버스 세상…AI와 결합한 메타버스의 미래 작성일 08-18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oZewibYHo"> <p contents-hash="3d264676e16f31cfdaede4f7613c676b33289da8588fc46f3c683f933d7eee14" dmcf-pid="4g5drnKGHL" dmcf-ptype="general">[※ 편집자 주 =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지난해 발표에 따르면 세계 한류 팬은 약 2억2천500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해 지구 반대편과 동시에 소통하는 '디지털 실크로드' 시대도 열리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한류 4.0'의 시대입니다. 연합뉴스 동포·다문화부 K컬처팀은 독자 여러분께 새로운 시선으로 한국 문화를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고자 전문가 칼럼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시리즈는 주간으로 게재하며 K컬처팀 영문 한류 뉴스 사이트 K바이브에서도 영문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b5ad41fe91cd4e37edece02475c67e0568d357b86dae33c4a7a8d2da889136c" dmcf-pid="8a1JmL9HY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노석준 RPA 건축연구소장 [본인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8/yonhap/20250818092324841vkym.jpg" data-org-width="500" dmcf-mid="VMtiso2X5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8/yonhap/20250818092324841vky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노석준 RPA 건축연구소장 [본인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db74aef34f46ffc2ec6b775721e4716e3b60c2320d3f8738c7948d92f6f0be6" dmcf-pid="6Ntiso2X5i" dmcf-ptype="general">3년 전 오픈 AI의 챗GPT와 이후 GPT-4(지금은 GPT-5가 나왔다)의 등장으로 어떻게 미래가 바뀌고, 산업이 재편되며, 누가 차세대 인공지능 시대에 승자가 될지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갖는다. </p> <p contents-hash="8d5b0661f2dbb853869494d44305ff31712a8dfc53ff67709c46f0981223e902" dmcf-pid="PjFnOgVZZJ" dmcf-ptype="general">하지만 여기서는 새로운 기술의 등장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고 근본적 인식과 삶의 영역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특히 메타버스와 어떤 식으로 연관돼 발전해나갈지를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p> <p contents-hash="9e31e471676ad99b9d01d551efba27858c86f860470fdf1b17822f3d699efb21" dmcf-pid="QA3LIaf5Yd" dmcf-ptype="general">챗GPT와 GPT-4는 정확한 정보와 문장력으로 인간의 모든 질문에 대응하는 놀라운 능력을 보여준다. 앞으로 GPT와 같은 지능형 챗봇은 상호 대화형 인공지능(AI)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활용 범위와 능력은 상상 이상으로 발전할 것이다. </p> <p contents-hash="6ab781dbe1e6ec2a60b5c77b9b5f368c4ad8499fcdecc31157e6ad1e2a731238" dmcf-pid="xc0oCN41te" dmcf-ptype="general">심지어 지난 2023년 초에 챗GPT와 GPT-4가 가장 전문적 분야로 여겨지는 미국 유수의 로스쿨과 경영대학원(MBA) 시험은 물론이고 미국 의사 시험도 쉽게 통과해 놀라움을 안겨줬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딩을 짜주기도 하며 과거 인공지능의 기능과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p> <p contents-hash="41faf3aeadf0244c9cdffe87d5210c9a1417265f4199d4e18586fe1c3220491a" dmcf-pid="yuNtf0hL5R" dmcf-ptype="general">한 예로 챗GPT는 미국 의사 면허 시험에서 단 5초 만에 305개의 문제를 풀었고 정답률이 60퍼센트 이상이 나왔다. 이는 면허 시험 합격에 해당한다. 또한 환자의 간단한 정보를 통해 병을 진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균적으로 전문 의사의 진단보다 훨씬 나은 수준이라고 한다. </p> <p contents-hash="eaae7f92a1c02c845a281a3d23e7226fb8ba546e2beed1ad3ae3e74ac642866a" dmcf-pid="W7jF4plo1M" dmcf-ptype="general">법률 분야에서도 수많은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매우 훌륭한 수준의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다. 챗GPT는 이메일 응대 서비스나 SNS를 통한 홍보 메일부터 챗봇을 통한 상담사, 여행 사무, 은행 사무, 일반 공무 사무 등 단순한 화이트칼라 사무 노동자의 일을 대부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p> <p contents-hash="34e0350727410dbe1305866461b692152bc7d790ba2a1dd9800aac61736de552" dmcf-pid="YzA38USgHx" dmcf-ptype="general">이처럼 놀라운 능력을 지닌 챗GPT와 GPT-4는 메타버스와 연계해 디지털 가상공간에서 유용하고 활발하게 활용될 것이다. 문자를 바탕으로 소통하는 방식인 챗봇 방식에서 발전해 음성 전환 방식으로 활용된다. 이 방식은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를 통해 다양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p> <p contents-hash="2755fe697430e173d052c78e39d42b66e060a6cc81b04888c5758c25079cea9d" dmcf-pid="GPh2L4tsXQ" dmcf-ptype="general">그리하면 매우 유용한 방식으로 인간을 돕거나 인간을 능가하는 초능력 아바타가 나타날 것이다. 물론 초지능을 가진 인공지능 아바타는 모든 면에서 인간을 능가하기 때문에 두려움을 동반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인간을 위해 확실하고 적절하게 통제한다면 지금껏 경험해보지 못한 매우 새롭고 흥미로운 세상에서 뛰어난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으며 살게 될 것이다. </p> <p contents-hash="b374f35e88701d5b7c8b35af58999f4dcaedf72028d8b51d7518b0abface20a4" dmcf-pid="HQlVo8FOtP" dmcf-ptype="general">최근 업그레이드 버전의 GTP-5가 등장해 다시 한번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하고 있다.</p> <p contents-hash="208b2fffb3fd2b4e578ce2b7599379d5334b2ddf8a754af55266993b28723f6b" dmcf-pid="XxSfg63IZ6" dmcf-ptype="general">'월스트리트저널'에서는 AI 툴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회계 감사, 번역가, 수학자, 심지어 작가의 영역까지 AI가 일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유사한 정보 처리 관련 직업, PR 전문가, 법정 리포터, 블록체인 기술자 등 직업군에서도 최소 20%가 차후 인공 지능에 영향을 받거나 대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p> <p contents-hash="184382a0eee5df3d87c20c853c16d934dea681182d796869ba8b29927096c621" dmcf-pid="ZMv4aP0C58" dmcf-ptype="general">오히려 즉석 음식 조리사, 자동차와 모터사이클 수리공, 석유와 가스 채굴 노동자 등은 인공지능의 영향을 가장 덜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시 말해, 기본적으로 임금이 높은 화이트칼라 지식 노동자가 저임금의 육체노동자에 비해 대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p> <p contents-hash="fc227015fc7ce4c873ecd6a85db58f16b7b465eb8ca2a96956e4f8f673d607fe" dmcf-pid="5RT8NQphH4" dmcf-ptype="general">GPT의 등장으로 대규모 실업이 초래되는데, 대부분 고임금 화이트칼라 지식 노동자의 실업 사태가 심각할 것이다. 초기에는 홍보 전문가, 단순 업무의 지식 노동자만 해당했지만, 계속되는 GPT 업그레이드 버전의 등장으로 변호사, 의사, 투자 은행가, 블록체인 기술자, 컴퓨터 프로그래머, 일부 학과의 교수 등 고임금 지식 노동자의 일까지 대체될 것으로 예상한다. </p> <p contents-hash="a2acfd7f4061934361239d853f02e9363635ae75eb3cf281496a80eb8e3de630" dmcf-pid="1ey6jxUlYf" dmcf-ptype="general">결국 고임금 지식 노동자의 실업 사태가 벌어지고 이들은 실직자나 저임금 노동자로 전락할 것이다.</p> <p contents-hash="bd5c476de5153656bd168ffe83eb282c5cbe4211a35fb1644ffcbdcfab9f52c5" dmcf-pid="tdWPAMuStV" dmcf-ptype="general">이는 사회 정치 시스템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인간이 만들어낸 역사상 가장 최적의 정치 시스템인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 수도 있다. 민주주의는 기본적으로 탄탄한 중산층이 바탕이 된 시민사회를 토대로 존재하고 작동한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인한 중산층 붕괴는 민주주의의 붕괴로 이어진다. </p> <p contents-hash="8361967ca37578ad95e6caf56d2553555b358cedb2edbdfca314d3eb2ae04543" dmcf-pid="FJYQcR7vt2" dmcf-ptype="general">이러한 혼란 속에서 인간은 새로운 형태의 정치 시스템을 찾게 되는데, 아마도 과거의 전체주의적 사회로 회귀할 수도 있다.</p> <p contents-hash="fc2ec2dac4b11b9f6770916a615cf442ece909e9fa7be43d43c6d7d31bd40370" dmcf-pid="3iGxkezTX9" dmcf-ptype="general">'파이낸셜 타임스'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기술이 전 세계 약 3억 개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전 세계의 총생산율을 약 7% 증가시키지만 동시에 엄청난 실업을 야기해 기존 시스템의 심각한 붕괴를 불러올 수도 있다고 진단했고, GPT 기반의 인공지능이 대량 실업을 일으키지만, 인간이 갖게 될 경제적 이득은 생각보다 미미할 것으로 봤다. </p> <p contents-hash="13e1487ccff13a6143346f233fddca0d921b745a933a62cfa94156cb99cdfc04" dmcf-pid="0nHMEdqyGK" dmcf-ptype="general">또한 많은 사람이 대량으로 실업자로 전락하고 일부 인공지능 운영자만 많은 부와 권력을 가지게 돼 부와 권력의 극단적인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p> <p contents-hash="c3c0ac558ccc48214c463dc9217fad7279bc88df1de26057b01c48e6e3ccb0fd" dmcf-pid="pRT8NQphYb" dmcf-ptype="general">미국 하버드 대학 로스쿨에서는 AI가 얼마나 많은 사람의 믿음과 감정을 잘 조정하느냐에 따라 크게 위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인공지능 툴이 잘못 사용되면 많은 사람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데 매우 심각한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지금도 가짜 뉴스가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AI 기술이 가짜 뉴스를 더욱 정교하게 글과 이미지와 동영상 등과 결합하면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e2041e54de4d0b421b683dd1d741beca0061f8df735a7c27f40982aac5b68925" dmcf-pid="Uey6jxUl1B" dmcf-ptype="general">AI로 가짜를 만들어내는 정교한 기술은 이미 딥페이크 등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인간은 SNS 공간과 디지털 가상공간에서 무엇이 진짜고 가짜인지 더욱 구분하기가 어려워질 것이다 </p> <p contents-hash="d50de92e822e2d761709b899decd29ee4bdf95932669e92faeead06189a30239" dmcf-pid="udWPAMuSXq" dmcf-ptype="general">그래서 많은 사람의 생각과 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특정한 방향으로 잘못된 믿음을 심어 줄 수 있다. </p> <p contents-hash="384344c0af89d3342ad8eefdd8ca73dc2ab73302e8fc6bcc601bb2939c28df20" dmcf-pid="7JYQcR7vYz" dmcf-ptype="general">이러한 엄청난 기술이 계속 등장하며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미래에 대처하고 이 기술을 인간을 위해 잘 사용할 수 있을까? </p> <p contents-hash="88eee0c84ce03e5ed101f4811f7bdbc147c6da155cebe6c8f2225286d24221c8" dmcf-pid="ziGxkezT17" dmcf-ptype="general">지난 2023년 '워싱턴포스트'에는 경영 전문가이자 칼럼니스트인 에이드리언 울드리지가 '당신의 글쓰기를 챗GPT-4로부터 구하라'는 칼럼에서 흥미롭고 통찰력 있는 제안을 했다.</p> <p contents-hash="b44555da477e711a3a71994d5b507a5506ba3f53d3d09d442aec129100932763" dmcf-pid="qnHMEdqyHu" dmcf-ptype="general">그는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라. 많은 칼럼니스트가 AI가 더 빨리 더 우수하다는 것에만 집중하고 인터넷 검색을 한다. 실제의 진짜 세계에 집중하라.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곳을 방문하라. 우리는 인간의 불완전하지 않음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유머를 만들어내는 인간의 능력은 사디즘(sadism)적 요소를 함축하고 있다. 창의성을 만들어내는 힘은 인간이 거짓말을 할 줄 아는 능력과 연관돼 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9e99ad9b2da092114497ffa0ebc6ecd5f2da7acf4abdd9fff1a2ca7bebe2825d" dmcf-pid="BLXRDJBW5U" dmcf-ptype="general">그는 인간의 불안전성이 컴퓨터가 점점 똑똑해지는 세상에서 우리가 잉여가 되지 않도록 구해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여기서 그는 빅데이터를 기본으로 하는 데이터 세상이 아닌 실제 세계에서 아날로그적 경험을 하라고 권한다. 그의 의견처럼 우리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영감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하지 못하는 창조적 행위를 지속해야 한다. </p> <p contents-hash="f65ef83cec74b78defbd8c3d7a9aa0b7a3880286edd83e40e9072053edae9562" dmcf-pid="boZewibYYp" dmcf-ptype="general">이를 위해 과거의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창의력을 높일 다른 형태의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면 인간만이 개척할 수 있는 창조적 능력, 즉 인공지능을 뛰어넘어 새로운 것을 개발해낼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p> <p contents-hash="417eddef5b73603a0d10227eb02b439df78dd88a4aa68fa0598edfd48b91ce2b" dmcf-pid="Kg5drnKGX0" dmcf-ptype="general">노석준 RPA 건축연구소 소장</p> <p contents-hash="af86531b5f5e8a8396655596e455691a86687c9f95b9c7f73cb34e3e39abb672" dmcf-pid="9a1JmL9H53" dmcf-ptype="general">▲ 메타버스 및 가상현실 전문가 ▲ 미국 컬럼비아대ㆍ오하이오주립대ㆍ뉴욕 파슨스 건축학교 초빙교수 역임 ▲ 고려대 겸임교수 역임 ▲ 현대자동차그룹 서산 모빌리티 도시개발 도시 컨설팅 및 기획</p> <p contents-hash="a3e0c4e39d12395b6b4419a68ba5af23bdc102819ee5b96a3a4c85f6c01e0606" dmcf-pid="2Ntiso2XZF" dmcf-ptype="general"><정리 : 이세영 기자> </p> <p contents-hash="30eae71236420a3c8bebef01e61a3a9fa32a6b9164e87dcf59de0b5db0e86a2c" dmcf-pid="VjFnOgVZHt" dmcf-ptype="general">seva@yna.co.kr</p> <p contents-hash="333cb234c382dbf9f342281b00d2f23f79a89f0c0e0a28102a4ed4d3e9326994" dmcf-pid="4Mv4aP0CH5"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K-스타트업 15곳 구글플레이 美 본사 연수 08-18 다음 김유진, 싱가포르에서 ITF 국제대회 첫 우승 08-1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