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글쓰기·번역 프리랜서…“AI가 가장 빨리 삼킨 일자리” 작성일 08-17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코펜하겐대, 3년간 구인광고 분석…단순 글쓰기 수요 절반 넘게 감소<br>하버드대 논문에선 “AI와 ‘협업’ 필요한 영역은 일자리 증가” 분석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SJFR63Iv6"> <p contents-hash="0b3c6f4f3a17498ba7e1b56fd45fd6838d7926f99fb5bd95d21914d3802ddde1" dmcf-pid="uNbCz0hLv8" dmcf-ptype="general">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 이후 ‘회사 소개’ 작성, 번역과 관련한 단기 프리랜서 일자리가 눈에 띄게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AI가 만들어낸 결과물을 바탕으로 고도의 판단이 요구되는 직종은 오히려 채용이 증가하는 추세도 확인됐다.</p> <p contents-hash="810d56f8b1d736edf0705f578a15ce3962f02bc19449a93887bc4d439c8f8376" dmcf-pid="7jKhqploh4" dmcf-ptype="general">17일 AI 업계에 따르면 AI가 향후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게 될지, 혹은 생산성을 높여 새로운 유형의 일자리를 창출하게 될지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p> <p contents-hash="a3790ace67b877462caf0740b7e4cb8a208e0542ef83bcb38ac3a8fe97255f05" dmcf-pid="zA9lBUSgCf" dmcf-ptype="general">지난달 덴마크 코펜하겐대 사회데이터과학센터가 낸 논문 ‘생성형 AI의 승자와 패자: 프리랜서 수요 변화의 초기 증거’는 ‘대체’에 무게를 둔 연구다. 연구진은 2021년부터 3년간의 덴마크 내 프리랜서 구인광고 300만개를 분석했다. 그랬더니 2022년 챗GPT 등장 이후 LLM으로 대체 가능한 일자리의 구인 공고는 7% 감소했다. 특히 부동산 기사 작성, 웹페이지의 ‘회사 소개’ 작성 등 단순한 글쓰기에 관한 프리랜서 일자리는 챗GPT 등장 후 각각 52%, 59%나 줄었다. 번역 일자리 역시 23% 감소했다. 기간별로는 1~3주짜리 단기 일자리가 주로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2aa92bce2ac9dba31865b4ba417d9590268cb631fb90a8c27cd7d114f472bed7" dmcf-pid="qc2SbuvaTV" dmcf-ptype="general">그러나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놓고 AI가 일자리를 뺏기만 한다고 단언하기 어렵다. AI와 ‘협업’하는 영역에선 일자리 수요가 늘었다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지난해 발표한 논문 ‘대체인가 보완인가? 생성형 AI가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윌버 신위앤 첸 홍콩대 교수 등)이 대표적이다.</p> <p contents-hash="3647059ce5dcf29622e44742bd39673e948447ee3575a22c27c017f2995fa9f2" dmcf-pid="BkVvK7TNT2"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오픈AI의 ‘GPT-4o’ 모델을 이용해 더욱 고차원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된 직종과 AI로 업무가 아예 대체되는 직종을 구분했다. 그리고 2019년부터 5년간의 미국 구인공고를 분석했다. 그 결과, AI를 이용하더라도 고차원적인 판단·결정이 필요한 직종은 구인공고가 22% 증가했다.</p> <p contents-hash="9c36ad8f2d6c5e204696223539bbb74b233337848e1d0470907b71f6e4b8ad7d" dmcf-pid="bEfT9zyjT9"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AI와 ‘협업’하는 등의) 특정 일자리 수요는 증가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c9fd9e9dc58be0d1a8679af3506ed35fcd0c8bc86e352fe26ef26d547ad44cf5" dmcf-pid="KD4y2qWAyK" dmcf-ptype="general">송윤경 기자 kyung@kyunghya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공효진·케빈오 뉴욕 신혼생활 포착 (feat. 정호연) [TD#] 08-17 다음 "너희들 약속 다 지키고 사냐" 유승준, 4년 만에 유튜브 컴백 08-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