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산업부, 산업 AI 대전환 위해 맞손 작성일 08-17 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양 부처 장·차관 정책 협의 진행<br>공동 사업·정책 적극 발굴·추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hP86V5rl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bf8f25d45de899fe07a3f06975215da7db159d1c39ed275de987b43086f7af" dmcf-pid="7lQ6Pf1mh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문신학(왼쪽부터) 산업부 1차관,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김정관 산업부 장관,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이 산업 AI 대전환을 위한 부처 간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만나 기념촬영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7/dt/20250817134139717yasl.jpg" data-org-width="640" dmcf-mid="UgBzqUSgW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7/dt/20250817134139717yas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문신학(왼쪽부터) 산업부 1차관,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김정관 산업부 장관,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이 산업 AI 대전환을 위한 부처 간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만나 기념촬영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15136637178d2170fc308a1bff415b70ea3daae8d70ac385151035bd240ee2a" dmcf-pid="zSxPQ4tsle" dmcf-ptype="general"><br> 피지컬AI를 비롯한 제조 AI전환(AX)과 AI반도체 육성 등 우리 산업현장의 ‘AI 대전환’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힘을 모으기로 했다.<br><br> 양 부처는 과기정통부 배경훈 장관과 류제명 제2차관, 산업부 김정관 장관과 문신학 제1차관이 지난 14일 고위급 회의를 갖고 산업현장의 AI 본격 확산을 위한 정책 협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br><br> 피지컬AI 시대 도래로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원천기술과 응용기술 간 경계가 허물어지며 산업부와 과기정통부 간 협력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두 부처 장·차관들은 부처 간 협업 없이는 AI 3대강국(G3) 진입이 요원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만남을 출발점으로 삼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가기로 했다.<br><br> 먼저,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공동사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가 원천기술 개발과 SW, 산업부가 현장 중심 기술개발 및 HW에 각각 보유한 강점을 살려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속 발굴·추진한다. 첫 번째 과제로 지역 AX 선도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지역 AX 확산과 연계한 대형 프로젝트들을 연내 공동 기획할 예정이다.<br><br> 양 부처는 차관급 정책협력 협의체도 구성하기로 했다. 협의체는 공동사업과 공동정책 등을 발굴하고 각 부처 사업이나 운영 중인 민·관 얼라이언스 간 연계·협력방안 등도 모색한다.<br><br> 전문가 간 교류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각 부처 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기술, 데이터, 인력 등을 교류할 수 있는 협력의 장을 마련한다. 또한, 각 부처 전문가를 상대 부처에 추천해 전문가들이 양 부처의 다양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할 계획이다.<br><br> 양 부처는 이날 합의한 세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협력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는 세부방안을 마련해나간다는 방침이다.<br><br> 팽동현 기자 dhp@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수지 아나, 임신 8개월인데 얼굴은 소멸 직전‥♥한기주는 ‘D라인 백허그’ 08-17 다음 오상진♥김소영 7살 딸은 천재? 벌써 구구단 암기 “가르쳐준 적 없어” 08-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