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한 번 보면 20분 넘게...주로 유튜브로 시청 작성일 08-17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청년층에서는 인스타그램 ‘릴스’ 이용률 높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S1ZVqWAaZ"> <p contents-hash="dbd1806ced920e74061184ff0d9f22fb62b621825a0f78c828a27ed839136764" dmcf-pid="qvt5fBYcgX"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안희정 기자)‘숏폼’ 이용자들이 영상을 한 번 보기 시작하면 평균 21분 동안, 주로 유튜브로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p contents-hash="7c120642bb040db5fe0a1e49e02ef34f658100ce3ffb7c0666d208b9d081decf" dmcf-pid="BTF14bGkgH" dmcf-ptype="general">17일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회사는 매년 2회(상·하반기 각 1회, 회당 표본규모 약 3만명) 실시하는 ‘이동통신 기획조사’의 제41차(’25년 상반기) 조사에서 14세 이상 휴대폰 사용자 3천151명에게 숏폼 콘텐츠 이용 경험을 묻고 그동안의 추이를 분석했다. </p> <p contents-hash="2756cdcab2a50cb1d744ba5eaab72ef6e2b212b75f05da83a1660e7d55ccbfc5" dmcf-pid="by3t8KHEcG" dmcf-ptype="general"><span>조사에서 응답자에게 제시한 숏폼 시청 플랫폼은 ▲</span><span>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페이스북 ‘릴스’ ▲네이버 ‘클립’ ▲</span><span>다음 숏폼 ‘오늘의 숏’ ▲OTT 앱 내 짧은 영상(쿠팡플레이 클립, 숏차 등) 등이었다. </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a272e7091b92b022d421663a4cb76e7a7884af40a488dbf178c4f0d92250e74" dmcf-pid="KS1ZVqWAo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쇼츠"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7/ZDNetKorea/20250817073214345izds.jpg" data-org-width="640" dmcf-mid="u5ANTInbj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7/ZDNetKorea/20250817073214345izd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쇼츠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7f409d5ded8a4c7d06cae98a75a4787495e5da80b501510ec736a0fa03a6801" dmcf-pid="9vt5fBYccW" dmcf-ptype="general"><span>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한 영상 시청 시간은 하루 평균 97분이었다. ‘1시간~2시간 미만’ 시청이 26%로 제일 많았고, ‘2시간~3시간 미만’이 18%, ‘3시간 이상’도 17%에 달했다. 전체의 60%가 하루 1시간 이상 영상을 시청하는 셈이다. </span></p> <p contents-hash="90009f6b60350862e408e3ab9cb7632a739f0f38220e8a6566293d10bb98f2b2" dmcf-pid="2TF14bGkky" dmcf-ptype="general"><span>특히 10대·20대는 그 비율이 74%로 제일 높았고 3시간 이상 시청자도 28%에 달해 명실상부한 ‘스마트 시네마 키즈’ 세대라 할 만하다. </span></p> <p contents-hash="d0fbad8310d6ec27848d016db30e4b500f133be4f0e3082d228b31ecfe6de91e" dmcf-pid="Vy3t8KHEcT" dmcf-ptype="general"><span>영상 유형별 선호도(복수응답)에서는 ‘풀버전’(59%)이 1위, ‘숏폼’(49%)이 2위였다. ‘요약편집 영상’(45%), ‘실시간 방송’(25%)이 뒤를 이었다. 특히 10대는 62%가 숏폼을 선호해 풀버전(47%)을 앞섰고, 20대·30대는 풀버전과 숏폼 선호도가 모두 50%대로 큰 차이는 없었다. </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dfb3f20cafbe780fda003a4053aa83a00475ba505763d574473e190587d3cc" dmcf-pid="fW0F69XDc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숏폼 콘텐츠 이용 행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7/ZDNetKorea/20250817073215654lefe.png" data-org-width="638" dmcf-mid="7CWTz3Cnj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7/ZDNetKorea/20250817073215654lefe.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숏폼 콘텐츠 이용 행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fa49a0cb0a87393e96f6ac7bc116f77e23123fce25c8fef4dae9717c9aa2ea8" dmcf-pid="4Yp3P2ZwNS" dmcf-ptype="general"><span>영상 유형별 선호도(복수응답)에서는 ‘풀버전’(59%)이 1위, ‘숏폼’(49%)이 2위였다. ‘요약편집 영상’(45%), ‘실시간 방송’(25%)이 뒤를 이었다. 특히 10대는 62%가 숏폼을 선호해 풀버전(47%)을 앞섰고, 20대·30대는 풀버전과 숏폼 선호도가 모두 50%대로 큰 차이는 없었다. </span></p> <p contents-hash="3e57577994bf9ea2ab92186161f8515b751ca157f6702afdc020ece6feebd276" dmcf-pid="8GU0QV5rgl" dmcf-ptype="general"><span>숏폼의 주요 시청 채널은 단연 유튜브였다. 플랫폼별 이용률(최대 3순위, 복수응답)에서 유튜브 ‘쇼츠’가 75%로 압도적 1위였고 인스타그램 ‘릴스’(43%), ‘틱톡’(20%), ‘네이버 클립’(17%) 등의 순이었다. 다만 인스타그램 릴스는 10~30대에서 모두 과반수 이용률(71%~53%)로 선전했다. 틱톡은 10대 이용률(40%)이 평균의 2배 수준으로 유독 높았다. SNS 기반 자기표현 욕구가 강한 10대에서는 쇼츠, 릴스, 틱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고르게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span></p> <p contents-hash="27e3e5d996f2be4fff1a09ef3c123577107183352fc93e86967d97da26aaeff9" dmcf-pid="6Hupxf1mgh" dmcf-ptype="general"><span>숏폼 연속 시청 시간은 ‘10~20분 미만’(24%)이 가장 많았으나 연령이 낮을수록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10대의 경우 ‘1시간 이상’ 비율이 26%로 제일 높았던 반면 60대 이상에서 ‘5분 미만’이 27%였다. </span></p> <p contents-hash="54c2835d9e507bb77b65e100ca95d54afc98f85a05bdece46e62d69e90da8cce" dmcf-pid="PX7UM4tsNC" dmcf-ptype="general"><span>선호 주제는 ‘유머·밈·웃긴 영상’이 55%로 압도적 1위였다. 이어 ‘뉴스·시사·정보’(35%), ‘여행·브이로그’(34%) 순이었다. 성별로 남성은 ‘게임·e스포츠’를, 여성은 ‘먹방·요리’, ‘반려동물’, ‘뷰티·패션’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했다. </span></p> <p contents-hash="ed0138b88ab898b2e142b88e3d90fa2150e9a65d6ade56e19c47c4b5e25c0ba2" dmcf-pid="QZzuR8FOgI" dmcf-ptype="general"><span>한 편당 선호하는 영상 길이는 ‘30분~1시간 미만’(35%)이 모든 연령에서 가장 높았지만 10대~30대는 ‘10분~30분 미만’을, 40대~60대 이상은 ‘1시간~2시간 미만’을 상대적으로 선호했다. 숏폼의 핵심층이 10·20대라는 사실과 맞물려 세대별 영상 길이 선호 차이를 보여준다. </span></p> <p contents-hash="789c711505e0e80a1bf93e2522f34ed3eaba8ada58a0f47ab0765d5560ed4bb5" dmcf-pid="x5q7e63IjO" dmcf-ptype="general">안희정 기자(hja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잘파세대' 사로잡은 UGC에…한국 게임업계도 뛰어든다 08-17 다음 성낙호 네이버 AI총괄 “우리가 소버린AI 원조…피지컬AI까지 옴니모델로 승부” 08-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