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점자 스마트워치와 촉각 디스플레이까지 혁신 기술 보유"[닷 대해부②] 작성일 08-14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bKKJaBWrE"> <div contents-hash="d2dce9652d9cef18d8ac02a7357d67ca1cab94bce9abd19197f61d68324c8cd8" dmcf-pid="fK99iNbYEk" dmcf-ptype="general"> <div> 이 기사는 2025년08월10일 08시56분에 <strong>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strong>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div> </div> <p contents-hash="1ee5404341484ea1d97cf449164a675bd10585cbc357b9edf66c01dece9b049d" dmcf-pid="4922njKGrc" dmcf-ptype="general">[이데일리 김승권 기자] 세계 최초 점자 스마트워치에서 시작해 그래픽을 촉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까지 소셜벤처 닷(Dot Inc.)의 기술적 혁신이 시각장애인들의 디지털 경험을 완전히 바꿔놓고 있다. 10년간 정체된 점자 기기 시장에 혁명을 일으킨 닷의 핵심 기술력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기술적 성과를 살펴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df94402b4e0024282d3ff2d28cc7bdaaca656ccc22b5fbeddffd3fe9411441" dmcf-pid="82VVLA9Hm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외에서 시각장애인이 닷패드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닷)"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Edaily/20250814085741182bozy.jpg" data-org-width="486" dmcf-mid="9tLcTXj4s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Edaily/20250814085741182boz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외에서 시각장애인이 닷패드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닷)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ec4ed2ffc67cdadc1c1835a9da83d94017c761d6f7ecd6dccf739518c19440a" dmcf-pid="6Vffoc2XOj" dmcf-ptype="general"> <strong> 혁신의 핵심 닷셀 기술</strong> </div> <p contents-hash="62ff41f34c74ab7d05abf1f1f4d2f0e63e4d9fffaf2a21b7d82536660c94e334" dmcf-pid="Pf44gkVZrN" dmcf-ptype="general">닷의 모든 제품 혁신의 출발점로 닷셀(Dot Cell)이 꼽힌다. 닷셀은 전자석을 이용한 능동형 액추에이터 기술로, 기존 세라믹 피에조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접근법을 택했다.</p> <p contents-hash="31bc8d22d7bc54e949186c573fbf15a764b75021677f10d7e6d3004e2bcb4eae" dmcf-pid="Q488aEf5Ea" dmcf-ptype="general">김주윤 닷 대표는 “시각장애인을 돕는 기술이 10년간 정체돼 있었다”며 “소리 형태의 재활 기기가 대부분이었는데 콘텐츠가 다 비주얼화되고 있고 화학 구조 등은 소리로 설명이 안 된다”며 기술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f540ec5cdcddc9fa211c8a5be3ca7b176f1e3a263e2af40fcd59db2c7f68cd7" dmcf-pid="xu77xiUlwg" dmcf-ptype="general">닷셀의 핵심은 전자석 액추에이터를 통한 래치(Latch) 구조로 짜여있다. 솔레노이드 내부의 스틸 코어가 자석 역할을 하고, 이 자석이 척력에 의해 밀려 상단의 핀이 나오게 된다. 특히 래치가 회전한 후에도 자석과 스틸코어 사이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유지전압이 0V로 기존 기술 대비 획기적인 저전력을 실현했다.</p> <p contents-hash="9d51ae93b7394174a665ee8c39ead43a512a03d094d8749bbcb2e19ff946a641" dmcf-pid="yckkyZA8Oo" dmcf-ptype="general">이 기술로 닷은 기존 경쟁 기술 대비 크기는 20분의 1로 줄이고 비용은 4분의 1로 낮춰 혁신적인 소형화와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현재까지 닷셀 관련 국내외 특허만 130여 개를 보유하고 있다.</p> <p contents-hash="ddf6b6eb398c10702dbdb7f68fa793aa06f663b8c96b739543f95e805c74bc6a" dmcf-pid="WkEEW5c6DL" dmcf-ptype="general">닷은 세계 최초 점자 스마트워치 닷워치도 개발했다. 2018년 정식 출시된 닷워치는 세계 최초의 점자 스마트워치로 시각장애인 웨어러블 기기 시장에 혁명을 일으켰다. 총 4개 셀(24개 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간은 물론 스마트폰과 연동해 문자메시지, 메모, 전화 기록 등을 점자로 확인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e40a7ecd9c734ea88e7befc5b9cac39b0ca84c13e47825344025efd602db2e6b" dmcf-pid="YEDDY1kPmn" dmcf-ptype="general"><strong> 그래픽을 촉각으로…닷패드’의 기술적 혁신</strong></p> <p contents-hash="f667f211852fabeb5a6a1a7973515fa12762dc7edfe9a5b692f55a543934e329" dmcf-pid="GDwwGtEQDi" dmcf-ptype="general">닷의 진정한 기술적 혁신은 2022년 출시된 닷패드에서 완성됐다. 닷패드는 300셀 다중점자 그래픽 디스플레이로 2400개의 점자 핀이 실시간으로 그래픽을 구현한다.</p> <p contents-hash="bd3325a4cd5a2addeec906a2ccdacb02fa950e4a1126b27fcc5d7fc2587a24cd" dmcf-pid="HwrrHFDxOJ" dmcf-ptype="general">김 대표는 “20년간 멈춰져 있던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핵심기술을 보다 혁신적으로 개발했다”고 자신했다. 기존 점자 디스플레이가 한 줄로 글을 표시하는 데 그쳤다면 닷패드는 다중배열구조로 도형·사진·웹툰·지도 같은 그래픽 요소까지 표시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c005f75da448340794af26b6e4df7014ca7d70e961e5e74f45376f0aaa900a34" dmcf-pid="XrmmX3wMId" dmcf-ptype="general">닷패드의 기술적 차별성은 실시간 그래픽 구현 능력에 있다. 기기를 노트북PC나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한 뒤 특정 그림을 띄우면 0.1초 만에 점자로 똑같이 배열된다. 사용자는 튀어나온 점을 손으로 만지며 동시에 스크린리더로 소리 설명을 들으며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cd5d6b6f74a29508fcc1e88f12edee15bc88f668371bc37cfdeb0496fff10a1" dmcf-pid="ZmssZ0rRr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애플 서비스에 들어간 닷 서비스 모습 (사진=닷)"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Edaily/20250814085742865mhok.jpg" data-org-width="488" dmcf-mid="2wkkyZA8E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Edaily/20250814085742865mho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애플 서비스에 들어간 닷 서비스 모습 (사진=닷)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038713be31ce10c35447b1352845424b9a5e0218bba5729f5be4b51959e0dee8" dmcf-pid="5YGGqVWAOR" dmcf-ptype="general"> 2023년 세계 최대 정보기술(IT)·전자 전시회 CES에서 접근성 부문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닷패드는 현재 차세대 모델(가칭 닷 X)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3세대 모듈 D3 엣지(Edge)셀이 탑재된 이 제품은 1ms의 초고속 반응 속도로 영상 재생이 가능하며 200만 회 이상의 테스트를 통과한 픽셀 단위의 정밀한 압력 제어 기술을 갖추고 있다. </div> <p contents-hash="172326cf115f9ef7e9c9f0dc1da7b52a17cac65eba79c827da0d754112bcc466" dmcf-pid="1GHHBfYcrM" dmcf-ptype="general">시각장애인 가수 스티비 원더는 “사인을 백만 번 했는데 닷 기술을 통해 처음 보게 됐다”며 감동을 표했고 테너 안드레아 보첼리도 “딸의 그림을 처음 봤다”며 감격했다.</p> <p contents-hash="091e0f8482e720b88b16606df0d7d9fbc24d05d67e6422530da4027610c98359" dmcf-pid="tHXXb4GkIx" dmcf-ptype="general">닷의 최신 기술적 성과로 인공지는(AI) 기반 이미지 변환 솔루션 닷 비스타가 꼽힌다. 옥스퍼드 대학교, 보스턴 대학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개발 중인 이 기술은 시각장애인이 경제학, 통계학 등 기본 과목을 공부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있다.</p> <p contents-hash="e28d74a18e367d6f9bdd65fe11e2af7535f098b239380702bb034980f1ef78d5" dmcf-pid="FXZZK8HEEQ" dmcf-ptype="general">김 대표는 “AI가 촉각을 변화하는 방식을 학습해서, 가장 받아들이기 좋은 형태로 점자 언어로 알려준다”고 기술 원리를 설명했다. 시각장애인 기준으로는 완전히 새로운 기술이 열린 것이다.</p> <p contents-hash="2a6d9d4f4bac7d37ec8a0377b23849ec6a31da8f126338a0d1f1ec989233fa86" dmcf-pid="3Z5596XDEP" dmcf-ptype="general">김승권 (peace@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임영웅, 청음회 신곡 MV 최초 공개 08-14 다음 '원조' 소버린 AI 네이버, 새로운 AI 생태계 구축 노린다 08-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