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피지컬 AI는 초가집 수준…한국형 AI모델 반드시 해야" 작성일 08-13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13일 열린 '국가 공공분야 소버린 AI 토론회' 패널 토론 들어보니…"남 것 튜닝해 쓰자는 여론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VcOBA9HAr"> <p contents-hash="1f06d45ad1de283d996b1be205303a7c82ce9c4a60ed87ddc0378202430ccfaf" dmcf-pid="2fkIbc2XAw"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메타나 엔비디아 등 세계 빅테크 피지컬 AI 수준을 냉난방 잘되는 벽돌집에 비유한다면, 우리나라는 초가집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성욱 휴머노이드 연구단장.</p> <p contents-hash="f4e5bca5b1b1362e243520609a459a11a73a918ccad3ce920108e9a6f18f2bdc" dmcf-pid="V4ECKkVZjD" dmcf-ptype="general">"AI모델을 맞춤형으로 만들어줄 기술 자체가 소버린이라고 생각한다. 챗GPT 처럼 큰 모델은 필요없다. 최소한의 노력으로 나만의 플랫폼을 만드는 일을 ETRI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닌가 한다."-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유용균 인공지능연구실장.</p> <p contents-hash="ec44212242a87fc7790f9b45704722f714c89714bf0b61b2c05ce6c5153ea5a4" dmcf-pid="f8Dh9Ef5NE" dmcf-ptype="general">"개인적으로 소버린 AI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냥 있는거 튜닝해서 쓰면 되지 않나? 꼭 우리 것 굳이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이경하 초거대AI연구센터장.</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3f9ba8e08e6781a928b7cebaadb4937fd89e08fcd32688620bb47b55407902a" dmcf-pid="46wl2D41A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3일 ETRI가 주관한 소버린 AI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패널 토론을 마친 뒤 기념촬영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ZDNetKorea/20250813233526557xgil.jpg" data-org-width="638" dmcf-mid="bi7VruOJa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ZDNetKorea/20250813233526557xgi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3일 ETRI가 주관한 소버린 AI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패널 토론을 마친 뒤 기념촬영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90e923921e5ffac671e7cb48a79cc5acd87b753539cf3d51e2fe74cb1cfe83b" dmcf-pid="8PrSVw8tac" dmcf-ptype="general">13일 ETRI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주최 국가 공공분야 소버린 AI 토론회가 우여곡절 끝에 마무리됐다.</p> <p contents-hash="4bdbf37691738b54b440dcb73ce5e1e73b3aee71769da370f04287bef282c0ea" dmcf-pid="6Qmvfr6FjA" dmcf-ptype="general">행사 열기는 워크숍인지 토론회인지 분간이 안갈 만큼 뜨거웠다. 출연연구기관과 AI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관심을 갖고 들어도 좋았을만큼 모두가 진지했다. 당초 출연연구기관 AI 전문가 30~40여 명 정도 참석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80여 좌석 모두를 빼곡히 채웠다.</p> <p contents-hash="af3a0f4e55662f6d675dba8854188380f2a0ab3d1cb4b14aa7407f53dbe5acad" dmcf-pid="PxsT4mP3cj" dmcf-ptype="general">이날 출연연별 소버린 AI 특화모델 발표에는 NST 산하 23개 기관 중 15개 기관이 참여했다.</p> <p contents-hash="b76340a287c174a0e9fc2e54f2175db0aaa4a521cba59d05dcf5384ea5f7e6cf" dmcf-pid="Q2AsqjKGjN" dmcf-ptype="general">ETRI를 비롯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등 AI 관련 기관이거나 지난 2022년 챗GPT가 나오면서 AI에 관심을 갖고 차근차근 준비해온 일부 기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기획 단계이거나 도입초기였다.</p> <p contents-hash="ad963722b782ca7b7d9642a5cc745bba221f3d716866a42fbf73fe681cd5e5b3" dmcf-pid="xVcOBA9Haa" dmcf-ptype="general">패널 토론에서 좌장을 맡은 ETRI 유원필 인공지능창의연구소장은 △특화된 모델 특성에 대한 정의 △기술의 상호 응용성과 표준화 문제 등 개발의 어려움 △'다학제 Co 사이언티스트' 개발을 위한 협력 체계 등에 대해 논의할 것을 주문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6fb80695ae59652f24a85eb6fec7dc931af04fdd88e991ea3345c4abadd9709" dmcf-pid="yIu2wUsdA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소버린_AI 토론회 패널토론 모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ZDNetKorea/20250813233527778spxz.jpg" data-org-width="636" dmcf-mid="K1B8OqhLo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ZDNetKorea/20250813233527778spx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소버린_AI 토론회 패널토론 모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bacc0c339d5838382ec68f4464c443176244a3d8fd3fe9eb12eeec680eaf4f1" dmcf-pid="WC7VruOJko" dmcf-ptype="general">이들이 주로 제기한 제언이나 풀어야할 숙제을 모아보면 ▲AI가 의료지식을 오남용 할 경우에 대한 의료 안정성 확보 문제 ▲환자 진단 및 치료 제시가 법적 규제 대상이라는 점 ▲공공기관별 산재된 데이터와 복잡한 접근 절차로 인한 시간/비용 문제 ▲데이터 보안과 연구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 필요 등이다.</p> <p contents-hash="7d1631f2367be59fc73496d83dd219d3db8db810a438970d2419992c2ede450c" dmcf-pid="Yhzfm7IiAL" dmcf-ptype="general">이들은 또 ▲데이터 규약 정의와 공유 방안 논의 필요 ▲작업 도메인별 특화 모델 개발 필요 ▲기업이 주로 요구하는 독성 연구 특성상 데이터 공개의 한계 ▲출연연 AI 연구자들이 뭉칠 펀딩이나 제도, 공간 ▲출연연 AX 허브(플랫폼)구축의 필요성 ▲AX인력 정원외 채용 ▲스타급 연구자나 해외 석학 영입 지원 ▲UST 인공지능 강화, 4대 과학기술원과의 연계과정 개설 등을 주문했다.</p> <p contents-hash="14faff269c9dee71aa2ea0c18d07d8d26f49cf5e34a8cb3186142d23a4b2d78e" dmcf-pid="Glq4szCnkn" dmcf-ptype="general">한국재료연구원 이호원 재료데이터·분석연구 본부장은 "현재 오픈해 놓은 소버린 AI 모델이 어느 순간 닫히면, 국내 도메인들은 다 묶여 버릴 것"이라며 특히, 데이터와 관련해선 "연구자들을 시키면 모을 수 없다. 무조건 전자동으로 획득하게 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8a9950bab2ef1368bccbea2e6e5b3777c951f5360beb191762697aba1c95574d" dmcf-pid="HSB8OqhLji" dmcf-ptype="general">이외에 KISTI 슈퍼컴퓨터 6호기에 GPU가 8496장이 장착되지만, 대부분 계산공학용이어서 출연연구기관 공동 사용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거나 공개 데이터와 비공개 데이터 및 AI 전문인력과 도메인 특화 입장에 대한 투트랙 전략 모색, 논의의 장을 이어갈 협의체 구성 등이 논의됐다.</p> <p contents-hash="01e17dde4b08013cb0dd50ea1bd892a07eaf9ddd06cf02d089fa988114b7f0fc" dmcf-pid="Xvb6IBlooJ"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마음AI 온디바이스 LALM 데모, 'UNST 2025' 학회서 포스터 트랙 채택 08-13 다음 ‘허비 행콕 재즈 컴페티션 우승자’ 자하리 스탬플리, 16일 첫 내한공연 08-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