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 탑재 韓 '꼬마위성' 영상 유럽 첫 수출···텔레픽스, 글로벌 공략 작성일 08-13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텔레픽스, 폴란드 기업과 독점 판매 계약<br>큐브위성에 GPU 탑재해 AI 모델 위성 내 처리<br>규모 절반 이하에도 더 우수한 영상 화질<br>조성익 대표 "소형 위성 확장, AI솔루션 고도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gfOT3wMER"> <p contents-hash="81874ead2c0a8e2196f87ccbd46291a57b694134b42766086f8f8e330f095712" dmcf-pid="Fa4Iy0rROM"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내 큐브위성 기반 위성영상이 해외 수출 길을 처음 열었습니다.”</p> <p contents-hash="fa4a0f18277608176922c37c54a9c88ab66cdc7d1d89949668759caf8a9c6622" dmcf-pid="3N8CWpmesx" dmcf-ptype="general">우주 인공지능(AI) 종합 솔루션 기업 텔레픽스의 조성익 대표는 AI 큐브위성 ‘블루본(BlueBON)’이 촬영한 영상을 폴란드 위성기업과 유럽 지역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한 의미를 이렇게 설명했다. 해당 폴란드 기업은 자국 정부와 협력해 블루본 위성영상을 유럽 전역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의 선급금만 30만 달러(약 4억원)에 달하며, 영상 판매 수익은 양사가 공유하는 구조여서 판매 실적에 따라 수출 규모는 더욱 확대될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76d02bb425df735a46c7c85ea4b25fa681e4f3fed4ff350d1bdb7b8e406c88b" dmcf-pid="0EMTZqhLO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조성익 텔레픽스 대표.(사진=텔레픽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Edaily/20250813145342419hzfx.jpg" data-org-width="670" dmcf-mid="ZexlGuOJE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Edaily/20250813145342419hzf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사진=텔레픽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e1865a2fbfb959ae68e574bc8134e89c42e7539518468c16aa4b01427fc16648" dmcf-pid="pDRy5BlorP" dmcf-ptype="general"> 큐브위성은 정육면체 형태의 초소형 인공위성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1유닛(가로 10cm*세로10cm*높이10cm)을 기준으로 하는데 여러 유닛을 연결해 1유닛, 3유닛, 6유닛 등으로 확장할 수 있다. 기존에 글로벌 기업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을 들여 중·대형 위성을 개발하는 것과 달리 큐브위성은 대학, 스타트업 등서 수억원의 저비용으로 교육, 연구, 상업 목적으로 활용성이 높다. </div> <p contents-hash="aac3e27ee11bee2a6c9a6f7d13d917ef9d5a81aa5d494f68a838ddbdc5436e69" dmcf-pid="UweW1bSgE6" dmcf-ptype="general">물론 큐브위성은 한계도 분명하다. 크기와 성능면에서 위성과의 교신도 쉽지 않고, 고품질 영상을 얻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텔레픽스는 AI솔루션을 통한 고품질 영상 제공과 AI챗봇 서비스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우선 블루본은 15kg 무게의 큐브위성(6유닛)인데 기존 국산 큐브위성과 달리 위성 자세를 안정적으로 기울이는 틸트 촬영이 가능하다. 조성익 대표는 “카메라가 우주공간에 올라가게 되면 온도 변화가 심해 카메라 초점이 틀어지게 된다”며 “블루본은 영상 품질 저하 없이 원하는 지역을 더 자주 촬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7da1328aa07af46a19b11d339a77676db7f5dae94189b28e72f0eddfc22db75" dmcf-pid="urdYtKvaI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텔레픽스의 AI 초소형 위성 ‘블루본’.(자료=텔레픽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Edaily/20250813145343736jaoy.jpg" data-org-width="670" dmcf-mid="5GPCWpmeO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Edaily/20250813145343736jao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텔레픽스의 AI 초소형 위성 ‘블루본’.(자료=텔레픽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9c20cda3ca08b9fadf6b15c0ca9ac8af83aadaf92a0835c0ade6e2e052ddaf08" dmcf-pid="7mJGF9TNr4" dmcf-ptype="general"> 블루본은 또 ‘미니 슈퍼컴퓨터’에 가깝다.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탑재된 AI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TetraPLEX)’가 실려 우주에서 100 TOPS(초당 100조번 연산) AI 추론이 가능하다. 독자 개발 위성영상 분석 AI 에이전트 솔루션인 ‘샛챗(SatCHAT)’ 기술도 적용돼 생성형 AI 기반 분석 서비스도 제공한다. </div> <p contents-hash="ec2aca56489a3e6ad5d5ef8b98eb877b2f0282d7899e5b61db40282c14151d81" dmcf-pid="zsiH32yjEf" dmcf-ptype="general">텔레픽스는 이러한 AI 솔루션 덕분에 기존 해외업체들이 판매하는 16유닛 큐브위성(25kg) 보다 무게는 가볍지만 영상 화질은 더 우수하다는 평가도 받았다.</p> <p contents-hash="ceb54ca09196ea7d897363dfb52b7ca4b6dd46a0de163c9089b2a3a99e843fbb" dmcf-pid="qOnX0VWAIV"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국내에서도 초소형 큐브위성들이 개발돼 발사됐지만 영상 품질 저하와 정밀 촬영 기능 부족, 위성 영상 송수신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상용화가 어려웠다”며 “텔레픽스는 중대형 위성에 주로 활용됐던 핵심 기술과 경험을 블루본 개발에 도입해 기존 제품 대비 영상 품질이 높이고, 정밀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했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abe0a52e79c1aca140f5accaedcaca31494813aace9c9165731f0b908ad30f86" dmcf-pid="BPpaDTnbD2" dmcf-ptype="general">최근 유럽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위성영상 수요가 급격히 늘고, 유럽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국 중심 무역체계 변화 등에 따라 공급체계를 다변화하려는 점도 수출에 도움이 됐다.</p> <p contents-hash="054ecfa2e7d30ecb9ff5f0fe2935c2ae283153b5d085aa928c34cba1bed9951f" dmcf-pid="bQUNwyLKs9" dmcf-ptype="general">텔레픽스는 2027년께 기존보다 관측범위를 2배 이상 넓힌 소형위성도 추가로 발사해 유럽시장을 중심으로 고품질 위성 영상을 수출할 계획이다. 프랑스 등 서유럽권 국가들과도 후속 수출 계약 논의도 하고 있다. 조 대표는 “초정밀 전자광학 기술과 피지컬·에이전틱 AI 기술을 고도화해 초소형뿐만 아니라 소형 위성 영상 솔루션도 제공할 계획”이라며 “AI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해 위성 50기가 올라가더라도 전담인력 1~2명이 위성 운용을 자동 관리하도록 기술을 발전시켜나가겠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a14732c72a50014464b1b45253076a8f31e9e59a19028288e1251ebea76d4ea" dmcf-pid="KxujrWo9w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블루본 위성으로 촬영한 바레인의 패스포트 섬.(자료=텔레픽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Edaily/20250813145345029ljzg.jpg" data-org-width="670" dmcf-mid="17sb8L7vr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Edaily/20250813145345029ljz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블루본 위성으로 촬영한 바레인의 패스포트 섬.(자료=텔레픽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bb7de88167f08e5aa9b261266c92a299f1eb75deb9c08fa62780b9fdb7a551e" dmcf-pid="9M7AmYg2Ib"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앳하트 "롤모델? 소녀시대..MV 티저에 수영 출연해 눈물" [스타현장] 08-13 다음 '2025 CSL 프로삼보대회' 순천향대서 성공 개최...대한삼보연맹 "프로화 가능성 입증" 08-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