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위 보고대회]GPU 5만장 확보…모두를 위한 'AI 기본사회' 작성일 08-13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기술선도 성장·AI 3대 강국 도약 <br>GPU 5만개 확보·모두의 AI 추진 <br>AI리터러시 강화…컨트롤타워 개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5SZWpmegR"> <div contents-hash="e044399209687ffcabde435e71c93c92d60aebbb03008341116c15a7a626f921" dmcf-pid="2G7fbMtsaM" dmcf-ptype="general"> <p>이재명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5만장 이상 확충하고 국민 모두가 AI를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p>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4eb0a760de034b754b1ad0d8c852d8af6209a30476d3fec791683ec5dd55f8c" dmcf-pid="VHz4KRFOo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akn/20250813140256891zojm.jpg" data-org-width="745" dmcf-mid="KPVR6ozTc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akn/20250813140256891zoj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bfa012c4c8432afbdf15166638dccf3715205aac43f15fa8684364e3e69ed5f" dmcf-pid="fXq89e3IgQ" dmcf-ptype="general"> <p>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보고대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p> </div> <p contents-hash="36f0631800502aea559a9006350364dfc838bce04759cbe15dbb5e0e8bedc47a" dmcf-pid="4ZB62d0CNP" dmcf-ptype="general">정태호 경제1분과장은 성장동력 회복과 잠재성장률 반등을 이룰 '대한민국 진짜성장 전략'을 이루는 하나의 방편으로 '기술선도 성장'을 강조했다. 또한 경제 분야 12대 중점 전략과제 중 하나로 'AI 3대 강국 도약으로 여는 모두의 AI 시대'라는 주제를 정했다. </p> <p contents-hash="5571d8037507fbf0390d7511b3738b42d9bc179245bb34125ae46fc6ca9409b2" dmcf-pid="85bPVJphN6" dmcf-ptype="general">먼저 AI와 에너지를 미래성장의 주요 축으로 삼았다. 전쟁과 폐허를 극복하던 1970년대에 경부고속도로, 1990년대 초고속 인터넷망을 깔았던 것처럼 2030년을 향해 AI와 에너지 분야의 새로운 고속도로를 구축하자는 목표를 세웠다.</p> <p contents-hash="fe84d8d2b1da84f28c1ae9aa1bf48057108f474653b0fcdf7857fff92691322a" dmcf-pid="61KQfiUla8" dmcf-ptype="general">AI 인프라 확보를 위해 첨단 GPU 5만장 이상, 양질의 데이터를 조기에 확충하고 핵심 기술과 인재를 확보해 산업과 지역 전반에 AI 대전환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16ab10c2e1e4b4e34c0ffdd79de751a46abafc1c67d3cf81012d090c816d85d9" dmcf-pid="Pt9x4nuSa4" dmcf-ptype="general">또한 모두가 AI 기술을 향유하는 AI 기본사회 구현에 나선다. AI 활용 교육을 통해 다양한 계층에 대한 AI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AI 리터러시를 강화한다.</p> <p contents-hash="4dec08c7e7bfd423b80b48b1800f12d4c0bc083537320e4287d2d4b350f312c5" dmcf-pid="QF2M8L7vkf" dmcf-ptype="general">공공·행정 분야에 AI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시민의 안전도 지킨다. 홍수, 산불 등 재난을 예방하고 대응하는 데 AI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납세, 법무, 복지 등 공공 서비스에 AI 기술을 가미해 편의성을 높인다.</p> <p contents-hash="5a6ec9edb068f56238466eefc4631a1e67e49e3535ef9610c04e8000faab1d93" dmcf-pid="x3VR6ozTkV" dmcf-ptype="general">AI 정책을 총괄할 '국가 AI 위원회'는 AI 컨트롤 타워로서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범국가적 AI 정책과 전략을 조정하고 기능을 강화한다. 국가 AI 위원회는 현재 부처·기관별로 산재된 AI 정책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AI 산업계와 소통해 제도적 방안을 마련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f10a4959f8ae07e49c333a3ac0bff35b4ba297c573da456888ab0e353f020008" dmcf-pid="yaIYStEQk2" dmcf-ptype="general">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檢, 김성수 전 카카오엔터 대표에 징역형 구형 08-13 다음 'JYP 아티스트' 야오천, 단독 공연→현지 페스티벌 출연..다방면 활약 08-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