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성AI’ 국가 R&D 핵심기술 개발 주도 작성일 08-13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과기정통부 ‘생성AI선도인재양성사업’ 3개 과제 모두 참여 <br>-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4개 컨소시엄 기술 개발 주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1QthbSgG5">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f8b519b26d479b242f887c777c582d77900bb4501388ad1d87523a9cabe7dbe" dmcf-pid="30epTVWA1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ST 학생들이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084241165epyj.jpg" data-org-width="1200" dmcf-mid="57CdKc2XX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084241165epy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ST 학생들이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4f1b81ae9e7fa586f6e12dc20a31fd7f0ab3e935da6c00d63bb05870d7df0aa" dmcf-pid="0pdUyfYctX"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KAIST가 고급 AI 인재 양성, 연구성과의 산업 현장 실증을 통해 AI 기술의 산업 적용(AX, AI Transformation)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f7cea09ab6c72008d5ec40597027162c30fc7eb142a9d4ae2f4738af73838313" dmcf-pid="pUJuW4GkHH" dmcf-ptype="general">KA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생성AI 국가R&D 사업에서 AI 핵심기술 개발에 나서며, 국내 AI 기술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고 있다고 13일 밝혔다.</p> <p contents-hash="d2e28260fac3129ee7a489f549fd114653ee4b8e3ba9fb11c9cbf2eb9d0faf9f" dmcf-pid="Uui7Y8HEHG" dmcf-ptype="general">KAIST는 ‘생성AI 선도인재양성 사업’에서 산업체 주관 2개 과제와 기관 주관 1개 과제 등 총 3개 과제 모두의 공동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p> <p contents-hash="172f64d885c1d231c57aec3cf13224331aae2a3a2a4ad31daaf40d70b3c7bfe6" dmcf-pid="u7nzG6XDZY" dmcf-ptype="general">‘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사업에서는 총 5개 컨소시엄 중 4개에 KAIST 교수진이 핵심 연구진으로 참여했다.</p> <p contents-hash="daf2bc7c38ef94701ee11660ce11a24e1d3d0635bc025245a935cd8a7f2ac228" dmcf-pid="7zLqHPZwYW" dmcf-ptype="general">2028년 말까지 진행되는 ‘생성AI 선도인재양성사업’의 일환으로, KAIST는 LG AI연구원과 협력하여 전산학부 박노성 교수가 KAIST 책임연구자로 참여해 피지컬 AI 분야 연구를 수행한다. .</p> <p contents-hash="63351625a216768dd81d00a34898cef5a7705d39f7ae162af8d2f220b5b799b4" dmcf-pid="zqoBXQ5rZy" dmcf-ptype="general">NC AI와의 협력 사업에서는 전산학부 김태균 교수가 책임연구자로 참여해 멀티모달 AI 에이전트 기술을 개발한다. 3D 모델링, PBR 텍스처, 애니메이션, 아바타 표정 생성, 캐릭터 AI 등 에이전트 미디어, 게임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연구한다.</p> <p contents-hash="ecdab923d40f1142a22c996c18215f57af7713dda0f87344ba3f76bafa71a037" dmcf-pid="qBgbZx1mHT" dmcf-ptype="general">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주관 사업에는 김재철AI대학원 김승룡 교수가 참여해 생성AI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에 기여한다. 김승룡 교수팀은 최근 어도비 리서치, 구글 딥마인드 등과 함께 비디오 데이터에서 강인한 점추적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비디오를 명확히 이해하고 생성하는 핵심 기술을 제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81b400eb3d0c41ebe37a460ef4dca5a4b9b91901195edae844393ffa48e9b70" dmcf-pid="BcZkRldzt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ST 정문.[헤럴드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084241394sfaz.jpg" data-org-width="1000" dmcf-mid="1fP1CBlo1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084241394sfa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ST 정문.[헤럴드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d1a4ca988e6ba5fcb17fcb765bbe82ad72f8e3909a878a23a4c07948d1a50fa" dmcf-pid="bk5EeSJqYS"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서는 총 5개 컨소시엄이 선정된 가운데 KAIST가 4개 컨소시엄에 참여해 독보적인 존재감을 보였다.</p> <p contents-hash="1479611626100de29b951b3f4db9007f321a4bb5cb68f0ca4a0ac3fd8c2d16e2" dmcf-pid="KE1DdviBHl" dmcf-ptype="general">NC AI 컨소시엄에서는 전산학부 김태균, 윤성의, 박노성, 황지영, 성민혁 교수가 참여해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LMM) 및 로봇 기반 모델 개발에 집중한다.</p> <p contents-hash="581d9334d5a2bde5d08bc25cbff8f0cc25c435e45ea70e9d11b2070273a817f7" dmcf-pid="9DtwJTnbYh"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 컨소시엄에는 데이터 AI, NLP 각분야 석학인 전산학부 이재길, 오혜연 교수와 문화기술대학원 임경태 교수가 참여해 금융, 법률, 제조 등 산업별 버티컬 모델 개발을 담당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2a37a6266ace1f29de54ecee6b108613e7427f19ace540d992ad5825c01a945" dmcf-pid="2wFriyLKG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광형 KAIST 총장.[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084241608vqua.jpg" data-org-width="1200" dmcf-mid="tqqSA1kPt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084241608vqu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광형 KAIST 총장.[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f06e99261776a2d3f5a4e62c1ab89924d621ca176821189c5ab707fbcd9f5dc" dmcf-pid="Vr3mnWo95I" dmcf-ptype="general">네이버 컨소시엄에는 멀티모달 학습, 조합적 언어시각 모델에 핵심기술을 가진 전산학부 오태현 교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비디오 추론, 생성 방법론을 제시한 김현우 교수와, 김재철AI대학원 및 전자과 교수진이 공동 참여한다.</p> <p contents-hash="ee36c605235be82143a483fa8a931afcba070aa871e9281b17517dfb958b168a" dmcf-pid="fm0sLYg2YO" dmcf-ptype="general">SKT 컨소시엄에는 텍스트-이미지 생성, 인간 선호도 모델링, 시각적 로봇 조작 기술 개발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이는 김재철AI대학원 이기민 교수가 참여한다.</p> <p contents-hash="46d91b575c0eaadc80d815db860fe133451ca81caba03ebb4c943348e2ed5868" dmcf-pid="4spOoGaVHs" dmcf-ptype="general">이광형 총장은 “AI 기술이 학문적 성과를 넘어 산업과 연결되고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 지원과 산학협력 중심의 연구·교육이 핵심”이라며 “KAIST는 앞으로도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AI 생태계 경쟁력을 높이는 실질적 기여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진숙 방통위원장 "방송3법 핵심인 편성위…경영진 무력화 우려" 08-13 다음 ‘엔허투 SC' 임상 다음달 개시…알테오젠, 글로벌 ADC 개발 판도 바꾸나 08-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