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예방접종, 초고령사회 핵심 전략”…헬시에이징 코리아 포럼 열려 작성일 08-12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한국GKS·영국대사관 등 공동 개최<br>“장기적 사회경제적 효과 창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RuNGXj4T9">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857f6587c098002f9738712ccd9d644db2b444ecc958431541fdab64613dc7c" dmcf-pid="fe7jHZA8C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2일 주한영국대사관과 주한영국상공회의소, 한국GSK가 ‘2025 헬시에이징 코리아’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왼쪽부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이한길 교수, 주한영국상공회의소 숀 블레이클리 회장, 주한영국대사관 콜린 크룩스 대사, 한국GSK 구나 리디거 대표이사,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송재찬 사무총장, 질병관리청 의료안전예방국 예방접종정책과 이형민 과장. 사진=한국GSK"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2/mk/20250812183607411ykaz.jpg" data-org-width="700" dmcf-mid="2o5dhSJql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2/mk/20250812183607411yka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2일 주한영국대사관과 주한영국상공회의소, 한국GSK가 ‘2025 헬시에이징 코리아’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왼쪽부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이한길 교수, 주한영국상공회의소 숀 블레이클리 회장, 주한영국대사관 콜린 크룩스 대사, 한국GSK 구나 리디거 대표이사, 사단법인 대한노인회 송재찬 사무총장, 질병관리청 의료안전예방국 예방접종정책과 이형민 과장. 사진=한국GSK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eea8cf15dc00c703684c2b6da0e6caa4b577358fca169141ff708378d5a9a136" dmcf-pid="4dzAX5c6yb" dmcf-ptype="general"> 주한영국대사관, 주한영국상공회의소, 한국GSK가 12일 서울 중구 주한영국대사관에서 ‘2025 헬시에이징 코리아(Healthy Ageing Korea)’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div> <p contents-hash="cb1c0b7ba47765d4e866ff990a626d63f04d4ef711ac7838fbdb6c9e3449daae" dmcf-pid="8JqcZ1kPTB" dmcf-ptype="general">올해로 2회째를 맞은 이번 포럼은 ‘성인 예방접종, 건강한 초고령 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을 주제로 학계·정부·공공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였다.</p> <p contents-hash="27d1c6c9bef27e02b98d1ce2c080b734c4d4e7ae5d33c80428c6915258c2d527" dmcf-pid="6iBk5tEQTq" dmcf-ptype="general">첫 번째 세션에서 김광일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교수는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성인 예방접종’을 주제로 고령화 사회의 감염병 예방 필요성을 강조했다.</p> <p contents-hash="2d32e00cc98c76ae29933dbc529b26b3f2c42def1510484ec32944d585d28e14" dmcf-pid="PnbE1FDxyz" dmcf-ptype="general">그는 “국내 고령 인구에서 의료자원 소모와 사회적 부담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지만, 감염성 질환에 취약한 만성질환자가 많은 성인에게 국가필수예방접종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백신은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7d0d7f697b43376b059f156f8265560ef9f03a89513b153a6755218f0724c43c" dmcf-pid="QLKDt3wMy7" dmcf-ptype="general">이어 “노인 예방접종은 질병 합병증을 예방해 의료 부담과 사망률을 낮추고, 건강한 노화에 기여할 수 있다”며 생애 전주기 예방접종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p> <p contents-hash="ab959f7cf52ca431ccce73d1db44fa67c2a3c89cfd7f2fecb10325dccdf48ff8" dmcf-pid="xo9wF0rRSu" dmcf-ptype="general">두 번째 발표를 맡은 이한길 이화여대 약학대학 교수는 ‘초고령 사회 대응을 위한 성인 예방접종의 가치’를 주제로, 예방접종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분석했다.</p> <p contents-hash="27feb03938d872e1dc615a76cb47bc64bc461bf79a004e332d37bdc444e07d46" dmcf-pid="yf5dhSJqSU" dmcf-ptype="general">그는 “고령층 예방접종 효과가 입증되면서 영국·일본 등 주요국은 국가예방접종사업(NIP)에 성인 예방접종을 포함해 공공재정으로 지원하고 있다”면서도 “국내에서는 국내 성인 예방접종은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예산을 활용한 소규모 예방접종 지원 사업을 통해 운영되고 있어, 초고령화사회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공공재로서의 성격이나 사회적 편익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d704be3bb373fc2a758643ec8507480b03398be7abb641033d99b52cf124c93" dmcf-pid="W41JlviBlp" dmcf-ptype="general">이 교수는 이번 포럼에서 국내 성인 예방접종의 비용-편익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에 따르면 50세 이상 대상 대상포진 백신의 사회경제적 편익비율(ROI)은 1.52, 60세 이상 대상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백신은 1.65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5b44dd57912918cfc0aa9019b82dfca9f5420ea308dceb551f7aca1735400154" dmcf-pid="Y8tiSTnbl0" dmcf-ptype="general">그는 “ROI가 1을 넘으면 투입 비용보다 큰 사회적 편익이 발생한다는 의미”라며 “성인 예방접종이 질병 예방을 넘어 장기적 사회경제적 효과를 창출하는 공공투자임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f971613e5ab97607453c0ec82193fcbfa0ac510ebe0d159b8d70d79e0c595e5" dmcf-pid="G6FnvyLKS3" dmcf-ptype="general">발표 후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김 교수와 이 교수를 비롯해 송재찬 대한노인회 사무총장, 이형민 질병관리청 의료안전예방국 예방접종정책과 과장이 참여했다.</p> <p contents-hash="ef7a2a4c7a69b28dce50f1b7a54e2e108aca5debfcdf9edd190eb70620dc01c7" dmcf-pid="HP3LTWo9vF" dmcf-ptype="general">송 사무총장은 “노년층은 감염병에 취약하고 회복도 느려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많은 어르신이 정보 부족이나 비용 부담으로 접종을 망설이고 있다”며 “고령층 예방접종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의료비 절감과 건강 형평성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공공 투자”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aaa539a9e41bd991dc2f9651cfd43169fd2f6e0cec7add6b8c71e23ffecaaad3" dmcf-pid="XQ0oyYg2Ct" dmcf-ptype="general">이 과장은 “정부도 고령화에 대응해 성인 예방접종 확대를 검토 중이며, 대상 백신의 안전성·효과성과 함께 재정 여건을 고려해 제도 설계를 추진하고 있다”며 “현장의 수요와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형평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p> <p contents-hash="57b0e327f8dc661c0e961eb2be263d7f4fedb7a3b1e101c3139cf02dfc5eb57b" dmcf-pid="ZxpgWGaVS1" dmcf-ptype="general">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는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국가 중 하나”라며 “이번 포럼이 학계, 정부, 노인계가 함께 고령층의 건강권 보호와 예방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됐다”고 말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것은 영상인가 게임인가” 구글 지니3가 보여준 파격 행보 08-12 다음 [팩플] '카셰어링' 본업 집중해 흑자냈지만…고민 깊어진 쏘카 08-1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