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시사용어] 국가 인공지능 컴퓨팅센터 작성일 08-12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eJNMd0Cm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279c66f3dc28e0f8f06e589666733f799c4bab1e3ab3458e594f78f1893d813" dmcf-pid="qdijRJphD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2/etimesi/20250812141139973fwhd.jpg" data-org-width="700" dmcf-mid="7I5UGZA8w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2/etimesi/20250812141139973fwh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635b430645a691b8fbc9ad41f7833423599edbf01a183a4bbc3f32414eaf8ed" dmcf-pid="BJnAeiUlOM"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인공지능(AI)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관 합작으로 추진하는 고성능 컴퓨팅(HPC) 인프라다. AI 3대 강국(AI G3) 도약을 가속하기 위한 국가 AI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p> <p contents-hash="07c7400c7244d41cd86f66df1b8e4ede82824707c2f013533c9c0138546917ea" dmcf-pid="biLcdnuSsx" dmcf-ptype="general">국가 AI 컴퓨팅센터는 국가 차원의 AI 인프라 확보를 통해 기술 자립과 경쟁력 강화, 공공·민간 협력 체계, 연산 자원 접근성 확대, 국산 반도체 시장 활성화를 이끄는 것이 목적이다.</p> <p contents-hash="802d33588eb68f6b0bfc2a851347edee73fac4168a1844a77d42257ac857bc04" dmcf-pid="KnokJL7vOQ" dmcf-ptype="general">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집적한 AI 데이터센터를 짓고 이를 통해 국내 기업·기관의 AI 개발과 활용을 지원한다. 대학, 연구소, 스타트업, 중소기업은 H100·H200·B200 GPU 기반 연산 자원을 저렴한 비용으로 활용해 AI 모델 훈련·추론,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8c02688d16a3439ec77eb1c222b8d6b7c89700dac9ca8b90904da8d873571cd5" dmcf-pid="9LgEiozTIP" dmcf-ptype="general">센터에는 GPU 1만장을 도입해 1엑사플롭스(EF·1초에 100경 번의 소수점을 포함한 복잡한 연산 처리 가능) 연산 역량을 갖춘다. GPU뿐 아니라 국산 NPU(신경망처리장치)도 적용해 국산 AI 반도체 수요 창출 및 생태계 활성화를 이끈다.</p> <p contents-hash="4fa78b74f3dad5ed395fc62a754cdf4d365229211df3235a66d1296b4c442fa2" dmcf-pid="2oaDngqyE6" dmcf-ptype="general">사업 규모는 총 2조5000억원이다. 운영은 민관합동 특수목적법인(SPC)이 맡는다. 당초 올해 사업을 시작해 2027년까지 비수도권에 정식 개소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두차례 유찰되며 지연된 상태다.</p> <p contents-hash="31ceb844b4412b003d4b0eabb2f0b71131e3a275a8527e1e6e05af16b1a0e006" dmcf-pid="VgNwLaBWs8" dmcf-ptype="general">정부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민간 기업 참여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지분 구조, 정부 지분 매수 의무, 국산 AI 반도체 도입 비율 등을 대폭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선 사업을 추진하는 SPC 지분구조를 기존 공공 51%, 민간 49%에서 민간 지분을 더 늘리는 방향을 적극 검토중이다.</p> <p contents-hash="65d62d7c01c89bbfd476b52bff9419e8cf471666f83f6a68dfeb992e51e9e508" dmcf-pid="fajroNbYs4" dmcf-ptype="general">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49세' 송승헌, 여친과 이별…"친구 더 좋아한다고" [RE:뷰] 08-12 다음 한 축구선수와 교제한 여성의 결말 “3개월 만에 바람” (물어보살) 08-1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