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개 정부출연 연구기관, 공공분야 주권 AI 만든다 작성일 08-12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ETRI서 13일 바이오·제조 등 분야 소버린 AI 특화모델 발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X6OS3wM5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f7320dad29fdb912fb5c4a7c5de3f70bda44803b9c3114b257a6adb1a0b523a" dmcf-pid="bZPIv0rR1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가 공공분야 소버린 AI 토론회 포스터 [ETR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2/yonhap/20250812114222109xtam.jpg" data-org-width="720" dmcf-mid="qAzNEyLKt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2/yonhap/20250812114222109xta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가 공공분야 소버린 AI 토론회 포스터 [ETR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187b898a0f7bece5196095f9e166a389a3e3dfdb332eb11b70b2313f04670eb" dmcf-pid="KoW8Mc2XXw" dmcf-ptype="general">(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정부출연 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이 바이오·제조 등 공공 분야에서 소버린 AI(국가 자립 인공지능) 특화모델 개발을 추진한다. </p> <p contents-hash="6f9761dceaf05337146e3cb497521195798ea035bf84a2d44816ad51103d7990" dmcf-pid="9gY6RkVZYD" dmcf-ptype="general">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3일 대전 본원에서 '국가 공공분야 소버린 AI 토론회'를 연다고 12일 밝혔다. </p> <p contents-hash="121024888e70c572b1d092d07462be63a2034512d3f8250c54e7d03dca8a237d" dmcf-pid="2aGPeEf55E" dmcf-ptype="general">이번 토론회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2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모여 공공분야 중심 소버린 AI 특화모델 개발 방향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연구개발(R&D) 협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p> <p contents-hash="544441a93e45cdfeb87dae3b1107e24210dbeac76670a83d76c830de6f5162da" dmcf-pid="VNHQdD41Hk" dmcf-ptype="general">토론회는 ETRI 권오욱 지능정보연구본부장의 AI R&D 추진전략 발제를 시작으로, 각 출연연에서 개발 중인 소버린 AI 특화모델에 대한 전문가 발표와 패널 토론 등으로 진행된다. </p> <p contents-hash="7cb22ca718c30a77d72ea95f207e70aa776e771b2f26a55008b5de4f3152824f" dmcf-pid="fjXxJw8tGc" dmcf-ptype="general">ETRI는 자체 개발한 언어·시각 생성 모델을 바탕으로 출연연의 연구성과와 데이터, 노하우를 활용해 과학자처럼 사고할 수 있는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제안할 계획이다. </p> <p contents-hash="9f0c31430399e965631e944f3b55b15bc73e65775e838aaf6569b188388a827b" dmcf-pid="4AZMir6FYA" dmcf-ptype="general">주요 발표 주제로는 ▲ 피지컬 AI 기술 전략(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첨단 바이오와 소버린 AI 활용전략(한국생명공학연구원) ▲ 과학을 위한 인공지능(AI for Science) 기술 개발을 통한 연구자 지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한의 프라이빗 생성형 AI 모델(한국한의학연구원) ▲ 제조 AI 파운데이션 모델(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국가 공공분야 소버린 AI 사이버보안(국가보안기술연구소) ▲ 철도특화 생성형 AI(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지질자원 분야 소버린 AI 확보 전략(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로봇 작업 AI 파운데이션 모델(한국기계연구원) 등이 있다. </p> <p contents-hash="9fa0ab9277015ae9fc47e113072350105448e6d271d7cbae24c2fe4f14cf5b0f" dmcf-pid="8c5RnmP35j" dmcf-ptype="general">이밖에 ▲ 에너지 인공지능(Energy AI Everywhere)(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AI 기반 전력 계통 운영 EMS 개발(한국전기연구원) ▲ 동물데이터 기반 독성 규제 분야 특화 AI(국가독성과학연구소) ▲ 원자력연구원의 AI 에이전트 활용(한국원자력연구원) ▲ 소재 발견 파운데이션 모델(한국재료연구원) ▲ 핵융합 설계·제어를 위한 AI(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등 발표가 예정돼 있다.</p> <p contents-hash="d4f2cb39e99ba0ee9e850cfcd70b7dae54b7cec0f73f4ab9dd3e771dffb729a7" dmcf-pid="6k1eLsQ05N" dmcf-ptype="general">각 출연연은 기관이 보유한 전문성과 공공데이터, AI 기술을 연계해 소버린 AI 모델을 기획하고, 협력을 통해 대형과제를 발굴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62c89a7b92a5caed4ee8947aefb4d6669047379e2377b9347e578d152ef1fedd" dmcf-pid="PEtdoOxpYa" dmcf-ptype="general">유원필 ETRI 인공지능창의연구소장은 "외산 AI와 차별화된 소버린 AI의 개발 철학과 필요성을 공감하고, 출연연이 국가 정책의 '싱크탱크'로서 수행해야 할 역할을 되새기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c6f4535b5201f853cb150af2602b0c48351acb008cc81f7ccb2e8a71f0c8a56b" dmcf-pid="Qr0nNhe7tg" dmcf-ptype="general">jyoung@yna.co.kr</p> <p contents-hash="bfbc832ab345f6a3001fe4e5de319caca0b15fa9cb02498edd9f50a63600f9ea" dmcf-pid="yKj1p8HEtL"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갑자기 사라진 조여정, 정성일이 발견했다…"발가락만 나와 있더라'('살인자 리포트') 08-12 다음 “망막검사가 저절로”…세계 최초 OLED 콘택트렌즈 개발 08-1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