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개 출연연 "강소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서둘러야" 작성일 08-12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13일 ETRI서 '초혁신 경제' 실현 위한 국가공공분야 소버린 AI 토론회</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bxloOxpok"> <p contents-hash="c0b4fb77191728bc30af7b0b8778f82e04b9e0e65077f41063ce7c1e1d3e9ecf" dmcf-pid="3KMSgIMUkc"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초혁신 경제' 실현을 위해 바이오, 에너지, 로봇 등 정부출연연구원 공공 연구분야와 관련한 소버린 AI 특화모델 및 협업체계 구축에 나섰다.</p> <p contents-hash="8303c45fff9dde52c212c21b4d1dd2424754c1bbff8dd00851d0f76b4d1340a6" dmcf-pid="0y3nbe3IoA" dmcf-ptype="general">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ETRI 주관으로 오는 13일 대전 본원 7동 국제회의실에서 '국가공공분야 소버린 AI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p> <p contents-hash="740ac6ce9f69dbe4993cf8a1d075bf9a3eac0cf3b5ac99896edbef9a0903e16a" dmcf-pid="pW0LKd0Coj" dmcf-ptype="general">토론회는 NST 산하 2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공공분야 중심 소버린 AI 특화모델 개발 방향을 공유하고, 협업 기반의 실질적 R&D 추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dbf6e606e0d091fdf55a1477b78547c98b72c608846b3354ea879fa7d59c43" dmcf-pid="UYpo9Jphg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출연연구기관이 13일 소버린 AI 토론회를 개최한다. (사진=챗GPT 제작)"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2/ZDNetKorea/20250812104531510zmxk.png" data-org-width="500" dmcf-mid="6FEphtEQg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2/ZDNetKorea/20250812104531510zmxk.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출연연구기관이 13일 소버린 AI 토론회를 개최한다. (사진=챗GPT 제작)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9ccd1dc1b61fa7b53a6f27dd438aef0b8c2fe061143b64442321511c9ad2e89" dmcf-pid="uGUg2iUlka" dmcf-ptype="general"><span>ETRI 측은 ▲공공분야 소버린 AI 개발 방향 ▲출연(연) 도메인별 특화 AI 개발 전략 ▲AI 자립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구체 전략 등을 논의하고 공유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span></p> <p contents-hash="50230ab5cd76745c9676a74fdcf92306125b7a10f6e2d62057eab0553a50fc54" dmcf-pid="7HuaVnuScg" dmcf-ptype="general">행사는 ETRI 권오욱 지능정보연구본부장의 AI R&D 추진전략 발제를 시작으로, 각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개발 중인 소버린 AI 특화모델에 대한 전문가 발표 세션과 전문가 패널 토론으로 진행된다. 토론 좌장은 ETRI 유원필 인공지능창의연구소장이 맡았다.</p> <p contents-hash="6385c63134d403aaf43f95e04bd6e9154c5918901902362383d79a6b6fe2387c" dmcf-pid="zX7NfL7vco" dmcf-ptype="general">이날 권오욱 본부장은 '초혁신 경제' 실현을 위해 AI를 국가 과학기술 연구혁신의 촉진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e18d403dfd5bc5e62f8b4cc0e88de5ecd1097304169bb045e71079514e224c12" dmcf-pid="qZzj4ozTaL" dmcf-ptype="general">대한민국 연구 환경에 특화된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바이오, 에너지, 로봇 등 분야별 AI 기술을 발전시켜 산학연 과학기술 생태계에 기여하는 방안을 발제할 것으로 파악됐다.</p> <p contents-hash="3ca7041b0b8ab44ac831fb3a3b19eb7ebf8571854ae65199bae3d69069278681" dmcf-pid="B5qA8gqygn" dmcf-ptype="general">이날 토론회에서 ETRI는 또 자체 개발한 언어 생성 및 시각 생성 모델을 바탕으로 출연연 연구성과와 데이터, 노하우를 활용해 과학자처럼 사고할 수 있는 강소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제안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aa7e52a67076e0e83fef180ecce627758d3dbcfe6c99acb4f2ec7f5952d4d95c" dmcf-pid="b1Bc6aBWai" dmcf-ptype="general">연구원별 발표주제로는 ▲피지컬 AI 기술 전략(KIST) ▲첨단 바이오와 소버린 AI 활용전략(KRIBB) ▲AI for Science 기술개발을 통한 연구자 지원과 과학적 발견 도모(KISTI) ▲한의 프라이빗(Private) 생성형 AI 모델(KIOM) ▲제조 AI 파운데이션 모델(KITECH) ▲국가공공분야 소버린 AI 사이버보안(NSR)이 발표된다.</p> <p contents-hash="c33fb5b9c7fece6dc3c138317dd62927c57a4f402ee6b830f813b52d57b0e56d" dmcf-pid="KtbkPNbYcJ" dmcf-ptype="general">또 ▲철도특화 생성형 AI(KRRI) ▲지질자원분야 소버린 AI 확보전략(KIGAM) ▲로봇 작업 AI 파운데이션 모델(KIMM) ▲에너지 AI 에브리웨어(Everywhere)(KIER) ▲AI 기반 전력계통운영 EMS 개발(KERI) ▲동물데이터 기반 독성규제분야 특화 AI(KIT) ▲원자력연구원의 AI Agent 활용(KAERI) ▲소재 발견 파운데이션 모델(KIMS) ▲핵융합 설계·제어를 위한 AI(KFE) 등이 예정돼 있다.</p> <p contents-hash="56dba6c074d1f1cfa7cf5efd628f7e93c398705368f3a282f7c4ba2e8341f483" dmcf-pid="9FKEQjKGod" dmcf-ptype="general">23개 출연연이 모여 도출하고자 하는 핵심 성과는, 각 기관이 보유한 전문성과 공공데이터, AI 기술을 연계한 도메인별 소버린 AI 모델 기획 및 협력을 통한 대형과제 발굴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a1f754785e08ee6f02c35d06651d7066fcb5501f31e88eb01bf96d575a5e89b" dmcf-pid="239DxA9Hc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2/ZDNetKorea/20250812104532737scrd.jpg" data-org-width="400" dmcf-mid="tttJqMtsc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2/ZDNetKorea/20250812104532737scrd.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4611954b5fe4a3cdab8adceae16bf595cd0d8d0c028644ebf5be9b973e183516" dmcf-pid="V02wMc2XgR" dmcf-ptype="general">ETRI 등 참여 기관들은 향후 토론회 발표 내용을 토대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출연(연) 역할과 기여 방향을 제안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4da9326d7a73ee06d5c189e0b5dbdb6b5414950402bb91d00126055830b1f893" dmcf-pid="fLwuS3wMkM" dmcf-ptype="general">유원필 인공지능창의연구소장은 “각 출연연이 준비 중인 소버린 AI 기술 전략을 공유하고, AI G3 도약을 위한 출연연 역할 재정립을 통해 국가 경쟁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이번 토론회에 대해 기대감을 나타냈다.</p> <p contents-hash="cff1c0f12186198bbccd36c6f2fa5b4f1239fcb9f5d48d5cd1daa5b588002602" dmcf-pid="4or7v0rRcx" dmcf-ptype="general">방승찬 원장도 “소버린 AI는 단순한 기술 확보를 넘어 국가 주권과 공공 신뢰 확보를 위한 전략적 AI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기관 간 시너지를 바탕으로 공공분야에 특화된 AI 기술 개발 및 활용 방안이 구체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93dbab5bb9ddc6a21f9cf2718f5a101f58f24905fea162678f2c4c6de0887824" dmcf-pid="8gmzTpmegQ"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하늘서 떨어진 불덩어리…알고보니 45억년 전 '운석' 08-12 다음 귀에 꽂으면 '실시간 번역'?…애플 에어팟에 담길 신기능 08-1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