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UP가전' 업데이트, 韓·美 이어 유럽 확장 작성일 08-11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3X9mfYcEW"> <p contents-hash="bb1627f23256422c0d02c0981fb204c068a76ba2d95021abe5ed62c45f85e405" dmcf-pid="xz36lx1mmy" dmcf-ptype="general">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가전 신기능을 무선 업데이트하는 '업(UP) 가전' 서비스의 유럽 업데이트 초읽기에 돌입했다. 한국과 북미에서 업 가전 서비스를 안착시킨 만큼 유럽 현지 사용자 수요를 반영한 새로운 업 가전 업데이트를 시작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99f50ca70b8530859fb1775ba4ce0eb91d47d9eecf4248178caf5d2515731221" dmcf-pid="yEaS8yLKrT" dmcf-ptype="general">LG전자는 한국과 북미에서 서비스하는 업 가전 경험을 토대로 조만간 유럽의 정식 업데이트 일정을 확정할 계획이다. 올해 처음 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폴란드에 업 가전을 판매했으나 아직 정식 업데이트는 하지 않았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6ae470e722949e9da18c4fbeddecf9bd48184cc9b3136a3b856fe93cf0ee5f4" dmcf-pid="WDNv6Wo9D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G전자 '씽큐 업' 북미 서비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1/etimesi/20250811161220922txpq.jpg" data-org-width="569" dmcf-mid="6pfDzmP3O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1/etimesi/20250811161220922txp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G전자 '씽큐 업' 북미 서비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08b29bc5daec3436ed8f5f6a365baa6f00ab977cd3075ce60b5212d6fde5d3f" dmcf-pid="YwjTPYg2mS" dmcf-ptype="general">LG전자는 지난 2022년 1월 처음 선보인 업 가전에 대해 소비자 인식이 긍정적으로 형성됐다고 판단하고 주요 국가로 확산하고 있다.</p> <p contents-hash="a81e5d5c0942d6f384d2d38b6014905f573283440fb4422f917d163cc825f975" dmcf-pid="GrAyQGaVsl" dmcf-ptype="general">내부 집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LG 씽큐 업 기능은 누적 2000만회 이상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씽큐 앱에 연결된 가전은 40% 증가했다.</p> <p contents-hash="aa67ae8dc8cbfbef54039ac9d5cb0d81c48a72644019177bf762bbdae1e5ab53" dmcf-pid="HmcWxHNfwh" dmcf-ptype="general">2023년 업 가전 서비스를 시작한 북미에서는 초기 냉장고, 워시타워, 월오븐을 업 가전으로 선보였다. 지난해와 올해 업 가전 카테고리를 워시콤보, 건조기, 식기세척기, 쿡탑, 창문형 에어컨, 에어로타워 등으로 대폭 확대하면서 올 상반기 기준 현지 가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0% 성장했다.</p> <p contents-hash="43242ade75171bec26c89c3bc5c9f22a9578ece8a19eabecaf003beda6db956d" dmcf-pid="XskYMXj4rC" dmcf-ptype="general">해외에서는 '씽큐 업(ThinQ UP)' 브랜드로 서비스한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7b6c3c215ece2e3bcc57b2d149702f27a6d3e02aace26228baca8c14af4fa40" dmcf-pid="ZOEGRZA8E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1/etimesi/20250811161222160ouwi.jpg" data-org-width="500" dmcf-mid="PzlpN7Iis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1/etimesi/20250811161222160ouwi.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7218b995203ae1e1107a0c2afffa29d197688a8c24af340292ba8fa7363127c8" dmcf-pid="5IDHe5c6EO" dmcf-ptype="general">LG전자는 국가별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신규 기능이 다른 것에 주목한다.</p> <p contents-hash="974ea5fa78fb9b4594639045b87bddd85eee4059156323134a41631431e77747" dmcf-pid="1CwXd1kPEs" dmcf-ptype="general">미국의 경우 오븐에 적용한 '자동 시간 동기화' 기능이 대표적이다. 서머타임제에 맞게 시계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간단한 기능이지만 현지 씽큐 업 사용자의 57% 이상 다운로드할 정도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p> <p contents-hash="95138a55d4ce4ef2483d14eced8e950f7c442af3245e5091e57efeeb44d4d24e" dmcf-pid="thrZJtEQsm" dmcf-ptype="general">세탁기와 건조기에 적용한 '세탁물케어(Keep Fresh)' 기능도 다운로드가 많은 대표 기능이다. 원격으로 추가 헹굼을 하거나 주기적으로 통을 돌려 주름을 최소화해 세탁 종료 후 세탁물을 바로 수거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비한다.</p> <p contents-hash="6aa8aed79a3cb458df0d8d59b897a17e0c95769afbcc743d1547275e5e958994" dmcf-pid="Flm5iFDxwr" dmcf-ptype="general">식기세척기에서 건조 기능만을 원하는 고객 목소리를 반영해 '단독 건조(Dry Only)' 기능도 북미 업 가전으로 추가했다.</p> <p contents-hash="e61d5edbfff90235b1be428c23d07b9e4852fbafa5ae7170a94886e6a2cb426d" dmcf-pid="3Ss1n3wMmw" dmcf-ptype="general">국내에서는 플라스틱 용기 변형 걱정없이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의 '플라스틱 코스', 집안 어디서나 날짜와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가전에 적용한 '현재 시간 표시' 등이 대표적이다.</p> <p contents-hash="6d6a67a6b7beecf79088279176eb386cefab3fbb6013020b379b5ee75a7bae45" dmcf-pid="0xfaFA9HwD" dmcf-ptype="general">LG전자 관계자는 “유럽 현지 서비스 인프라 등 다양한 환경을 고려해 씽큐 업의 첫 업데이트 일정을 고려하고 있다”며 “연내 아시아와 중남미로의 확장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e6378938422cb66627ae47e987fb1b8432de63fe2a8d56c26ade1b612622be4" dmcf-pid="pM4N3c2XmE" dmcf-ptype="general">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략자산으로 주목받는 이더리움···상승랠리 지속하나 08-11 다음 [사설] 첨단특성화大 예산, 현실 맞춰 써야 08-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