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클라우드 예산도 반토막…홀대받는 AI 핵심 인프라 작성일 08-10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qhihldzE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e5435a855e719a9b08e44ca4337e981f9694cff572efc971fc9870d3daeba6a" dmcf-pid="tSJ7JiUlw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timesi/20250810144617340dxsx.jpg" data-org-width="500" dmcf-mid="Pfc4ckVZI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timesi/20250810144617340dxs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072196fd9bbe779c9bbeec7beeca75d4690f2605ac804ca0f1a04ca604ee7d5" dmcf-pid="FvizinuSmk" dmcf-ptype="general">내년 클라우드 산업 지원 예산이 올해 절반 수준으로 삭감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8831320297c0638fef0531cf0e08da6d40fdb2a979e831f8b26983f8ffe08eb3" dmcf-pid="3TnqnL7vEc" dmcf-ptype="general">모든 정책의 중심이 인공지능(AI)으로 쏠리면서 정부 예산 역시 AI 위주로 편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AI 인프라 핵심은 클라우드인데도 이에 대한 지원이 소홀해지고 있다는 우려 목소리가 커진다.</p> <p contents-hash="f99114a2008853e576ae6d32956aef1957e41a0147c06bdfabbf3adb5382884e" dmcf-pid="0yLBLozTOA" dmcf-ptype="general">10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 작업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기획재정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클라우드 예산으로 150억원 가량을 책정했다.</p> <p contents-hash="75d08c1592d33d0b26e7b20ddb704df0f05f1b58cce8f194c712eddff75d4085" dmcf-pid="pWobogqymj" dmcf-ptype="general">올해 과기정통부 클라우드 예산이 300억원 가량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다.</p> <p contents-hash="db2f0af0833b784ac4a25c37363a6c3dbff5802444dcaf35c14af6e29e2ac6c7" dmcf-pid="UYgKgaBWrN"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아직 기재부로부터 최종 예산안을 받지 않은 상황이라 변수가 있다”며 “최종 예산안을 받은 후 추가 예산 등이 필요할 경우 국회 등과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0127d7d01672c88ea7855f90cebc05b18d2153b82617ebaf5acca104a85af1c" dmcf-pid="uGa9aNbYOa" dmcf-ptype="general">업계는 기재부가 과기정통부에 최종 예산안을 통보하면 이 금액에서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p> <p contents-hash="7ff0e653543d3e8f9b346c6784d00028f638e99ec3b69d5ca4f0ba7e14b69361" dmcf-pid="7HN2NjKGwg" dmcf-ptype="general">클라우드 예산 삭감 기조는 이미 지난해부터 있어왔다. 클라우드 분야 대표 공공기관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올해 클라우드 관련 사업 예산은 전년 대비 각각 약 38%, 27% 삭감됐다.</p> <p contents-hash="8b6c59231a0a3fde63cabeda2136f5d11795eb15446ccdd74f06c6ade8e123fc" dmcf-pid="zXjVjA9Hro" dmcf-ptype="general">특히 클라우드 분야 대표 사업으로 꼽히는 NIA의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 예산은 지난해 160억원에서 올해 60억원으로 100억원 가량 줄었다.</p> <p contents-hash="ef448e394376daa5c653f5eaf18dfd06ecf3a4b4c97b95b7704c99f3f5b25994" dmcf-pid="qZAfAc2XmL" dmcf-ptype="general">클라우드 분야 예산이 계속 줄어드는 것은 AI로 예산이 집중되는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여기에 최근 정보통신진흥기금 총액이 줄어들면서 클라우드 사업 예산 역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p> <p contents-hash="73b452d9fc7e1119ebf19e8ba3225f8c3c8d48b481bcddb4af66e1733a8cb1d6" dmcf-pid="B5c4ckVZIn" dmcf-ptype="general">삭감된 예산이 최종 확정될 경우 내년도 클라우드 사업 상당수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p> <p contents-hash="2b2a3b9d2199c10aeb693083946e4b160ef04751d992982a19a029d4f4fd5b2f" dmcf-pid="b1k8kEf5Di"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올해도 클라우드 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이 줄어들거나 사라져 직간접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62a91639d1f2d8aa7512c90d590731711ea66cd6c6a1f9a654dfafaeb0dbddc" dmcf-pid="Kd0O0pmemJ" dmcf-ptype="general">업계는 AI 강국으로 가기 위해서는 핵심 인프라인 클라우드에 대한 지원 역시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한다.</p> <p contents-hash="465c3dda80bdcdbde947e8e144220fc880d4dd2a37c795dcfe3d894bcae2e3fe" dmcf-pid="9JpIpUsdwd" dmcf-ptype="general">최지웅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은 “서비스형 인프라(IaaS)뿐 아니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서비스형 플랫폼(PaaS) 등 클라우드 주요 분야 모두 AI 생태계 조성 측면에 중요한 부분”이라며 “정부 예산이 증액되기는 커녕 감소됐다는 점은 클라우드 산업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정부와 국회 등 예산당국의 재고가 필요하다”며 예산증액을 촉구했다.</p> <p contents-hash="05aeaa1fe09bd7404f9317907c155aaf94a933146c2c96bff40889c2364ae807" dmcf-pid="2iUCUuOJIe" dmcf-ptype="general">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꼬꼬무' 윤산하, 니코틴 살인사건에 故문빈 떠올렸다 "남은 동료들 아픔 공감"[순간포착] 08-10 다음 '현실판 관식이' 제이쓴, 준범이 생일에도 홍현희 생각뿐♥ 08-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