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문영 전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 국가AI위원회 상근 부위원장 내정 작성일 08-10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부위원장 최대 3명 확대..추가 선임할 듯<br>참여 부처 늘려 범정부 AI 정책 조율 강화<br>과기정통부 부총리급 승격 시 ‘인공지능정책실’ 신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lXeWYg2sk"> <p contents-hash="77e539b691f1a6a028394a359d7df8fc9859f06c79b9bbd4253855ce37c4a564" dmcf-pid="y8JGMRFODc"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우리나라 인공지능(AI) 정책의 범정부 컨트롤타워인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2기 출범을 앞두고 부위원장 인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AI미래기획수석 후보와 차기 KT이사 대표 후보로도 거론됐던 임문영 전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이 상근 부위원장으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p> <figure class="s_img 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77a12f08929906d4b627a741f95ee54e317a97eddca28e4bd2f727e8d4f80ac" dmcf-pid="W6iHRe3Ir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임문영 전 겨기도 미래성장정책관. 사진=본인 페이스북"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133239775hnbd.jpg" data-org-width="225" dmcf-mid="Qpuj30rRI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133239775hnbd.jpg" width="225"></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임문영 전 겨기도 미래성장정책관. 사진=본인 페이스북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c58e2a8bb59667fad947cb1fdd162b64982b4f821a79ce2128937d888ce7636c" dmcf-pid="Yxo5JiUlOj" dmcf-ptype="general"> 10일 이데일리 취재에 따르면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 입법 예고가 마무리되며 인선 작업이 본격화됐다. 임문영 전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이 상근 부위원장 유력 후보로, 추가 부위원장 인선도 병행될 전망이다. </div> <p contents-hash="bf8ca98e278b6e53166825864b3ff9c3d0fd59f73be25025878f9de11743d4d7" dmcf-pid="GMg1inuSmN" dmcf-ptype="general">광주 출신인 임 전 정책관은 연세대 정치외교학과와 언론홍보대학원, 호서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을 졸업했다. 나우콤과 IMBC 센터장, 미디어전략 컨설턴트를 거쳐 국회 Editor-in-Chief를 맡았으며, 경기도청 정보화정책관·미래성장정책관으로서 AI·빅데이터·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정책을 총괄했다.</p> <p contents-hash="3bcc5afb4067d7cba797e5ff55d987289cd520a26cdd12d5c6e1c40983f0dd6b" dmcf-pid="HRatnL7vOa" dmcf-ptype="general">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디지털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와 비공개 회동을 통해 100조 원 규모 ‘AI 국부펀드’와 AI 인프라 전략을 제시했고, 오픈AI는 서울 지사 설립과 데이터센터 구축 등 협력안을 밝혔다. 여권은 임 전 정책관을 국내외 AI 전략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두루 갖춘, 국가AI위원회 위상 강화와 민간 협력 확대에 적합한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p> <p contents-hash="358347d27ef6dfeb09aec540dae91bf03cd725a8b73d7ee85d0280dce64e61c8" dmcf-pid="XeNFLozTmg" dmcf-ptype="general">최근 입법예고를 마친 개정안에 따르면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은 기존 비상근 1명에서 상근 최대 3명으로 확대되고, 정책 조율 권한과 참여 부처 범위도 대폭 넓어진다. 국방부·복지부·환경부·고용부·중기부가 새로 포함되며, 각 부처 차관과 시·도 부단체장을 ‘인공지능책임관’으로 지정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이 신설된다.</p> <p contents-hash="a444a121f195de3e77a1ee1e5097b901d508c5213a660d28e516235dca75a22c" dmcf-pid="Zdj3ogqyIo" dmcf-ptype="general">개편안은 국가 AI 비전·중장기 전략, 부처 간 정책·사업 조율, AI 데이터 구축·활용, 정책 이행 점검 등 심의·의결 범위를 확대하며, 방송통신위원회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조율 대상에서 제외됐다.</p> <p contents-hash="1ccfb6888bea578da2dd778974c7987bf3afccc22215cd15238c788ec8e45728" dmcf-pid="5JA0gaBWOL" dmcf-ptype="general">정부는 이달 중 국무회의 의결을 목표로 위원회를 민간 전문가 중심으로 재편해, AI 모델·서비스 개발·반도체 등 산업 현장 경험이 풍부한 인사의 참여를 늘릴 계획이다. </p> <p contents-hash="55c11a98f757dbe3215ff191a9ab1ebc20b4d2b242ddeadd6d199f42011b80b4" dmcf-pid="1icpaNbYsn" dmcf-ptype="general">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기반정책국을 ‘실’로 승격하고 데이터진흥과를 ‘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 AI 정책 집행력과 국가AI위원회 지원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국정기획위원회가 오는 13일쯤 활동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서 과기정통부가 부총리급으로 승격될 경우 인공지능정책실이 신설될 가능성이 크다.</p> <p contents-hash="39eb6415abdef29a2d533b6a8fff9e185b6d1b8fd23fc14a3e21f520e54db8c2" dmcf-pid="tnkUNjKGsi"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AI·빅데이터 입은 '차세대 공시시스템' 뜬다…한국거래소, 154억원 투입 08-10 다음 이창욱, 슈퍼레이스 5라운드에서 시즌 3승째 거둬 08-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