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등장 후 일상 대화에 'AI 단어 사용' ↑…"지며들었다" 작성일 08-10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rlHICRuG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b8d7d26a9a5f71c59bbe12e6211935515dfa4dd92bbba577a1209bf2be50bc1" dmcf-pid="UmSXChe7Y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래픽=뉴시스] 재판매 및 DB금지. hokma@newsi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newsis/20250810125814158qbej.jpg" data-org-width="703" dmcf-mid="0TG3yWo9t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newsis/20250810125814158qbe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래픽=뉴시스] 재판매 및 DB금지. hokma@newsis.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9ad4324d1792443ba892318cf2b7e895ffa2eb55143300d3083910a1171ac16" dmcf-pid="uZpKF3wMZa"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이소원 인턴 기자 =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의 등장 이후 AI가 선호하는 특정 단어들이 사람 간 일상 대화에서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e093fe4bcf3c669d7df9d4c0a36c09a112888a828286d4d936223a57e2f9cb8b" dmcf-pid="75U930rRHg" dmcf-ptype="general">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연구진은 1일(현지시각) 발표한 '대본 없는 대화에서 나타나는 AI흔적' 논문에서 챗GPT 출시 전후로 대화체 단어 사용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총 1326개의 팟캐스트 에피소드를 대상으로 챗GPT 출시 전후 각각 1100만 단어씩 동일 비율로 데이터를 수집해 비교했다.</p> <p contents-hash="4df69a1838842738dacb28edf8da3106b6f5e28026c1d33fdaefefc6430e7801" dmcf-pid="z1u20pmeGo"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AI가 주로 대화체에서 사용하는 'surpass(능가하다)'와 'boast(자랑하다)' 단어 사용 빈도는 140% 이상 증가했으며, 'strategically(전략적으로)' 87.9%, 'align(맞추다)' 36.6%, 'significant(중요한)' 17.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p> <p contents-hash="bbbc35eaa6ab0127c272a6128fee4d60673561b839169055a36fb2cd62c1c431" dmcf-pid="qt7VpUsd5L" dmcf-ptype="general">반면 AI가 문어체로 주로 사용하는 'delve(탐구하다)'는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고, 'realm(영역)'과 'crucial(중요한)'은 오히려 사용 빈도가 감소하는 등 AI의 언어 영향력이 글쓰기와 말하기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p> <p contents-hash="63ef4c9d2b4e21613937411158da276ee7393ae87536a81948e7f5d01dfb0b49" dmcf-pid="BFzfUuOJYn"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이번 결과를 토대로 인간의 어휘 선택이 점차 AI 언어 패턴과 수렴하고 있으며, AI가 생성한 언어가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인간의 언어 습관에 내재화되는 '스며들기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p> <p contents-hash="1f3a3030aa85ded9000c3fb6f61d7db0bdb5150380c562dfe611ebf23e2173f8" dmcf-pid="b3q4u7Ii5i" dmcf-ptype="general">해당 연구를 이끈 전산언어학자 톰 유젝 교수는 "오늘날의 언어는 내일의 AI 훈련 데이터가 되고, 그 다음 날 AI의 출력물이 되며 결국 인간이 접하는 언어의 일부가 된다"며 "이 같은 순환 구조는 AI와 인간 언어가 상호작용하며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신호"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f73c4ca503740c5dc0514e51eb9d4e80f0b110f8934fba5a9eda4ec8fe79704" dmcf-pid="K0B87zCntJ"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cometrue@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나영, 록 사운드 입은 발라드 장인…'아이 원트 유' 밴드 버전 10일 발표 08-10 다음 안재현, 참돔 요리도 예능으로 승화! (가는정 오는정 이민정) 08-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