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반사판으로 소행성 찾는다 [우주로 간다] 작성일 08-09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美 연구진, 헬리오스탯 활용한 행성 방어 실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zXsONbYk7"> <p contents-hash="9ba5438eb948de532e63a556b56005015a57334d68ee09dab38721550cd86eeb" dmcf-pid="0b1Chc2Xju"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과학자들이 소행성 방어를 위해 태양광을 모으는 반사거울 ‘헬리오스탯(heliostat)’를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실험 중이라고 우주과학매체 스페이스닷컴이 최근 보도했다.</p> <p contents-hash="f9ab61f247c947a1c28a3ba85ef8b969da8017b79f858e9b3ef24203d812dd01" dmcf-pid="pKthlkVZjU" dmcf-ptype="general">존 샌더스키 미국 샌디아 국립연구소 과학자는 "헬리오스탯은 한 변의 길이가 수 미터(m) 달하는 동력이 달린 거울로, 햇빛을 타워에 집중시켜 거대한 확대경과 같은 역할을 한다"며, "태양이 하늘을 가로질러 움직일 때 헬리오스탯은 방향을 바꿔 반사된 태양 빛을 고정시킨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d6e31a3ae03a9953f59195c9a60409b171938ef533580d7b0e1eb71be57f394" dmcf-pid="U9FlSEf5j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과학자 존 샌더스키가 국립 태양열 시험 시설에서 헬리오스탯을 이용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사진=크레이그 프리츠)"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9/ZDNetKorea/20250809084215658bebm.jpg" data-org-width="640" dmcf-mid="t4SAcd0CN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9/ZDNetKorea/20250809084215658beb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과학자 존 샌더스키가 국립 태양열 시험 시설에서 헬리오스탯을 이용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사진=크레이그 프리츠)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66ac95ee2d8acf0eadd9acf13d5bbf09a7dfa41e965ce519afc2b0b6b479ed5" dmcf-pid="u23SvD41A0" dmcf-ptype="general">낮에는 수많은 헬리오스탯에 모인 햇빛이 수백 메가와트급의 전기를 생산하지만, 밤에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p> <p contents-hash="018c438545d3b719babbdc65ec962f522bfdc09c52946e719ccf67f8e093c38d" dmcf-pid="7V0vTw8tk3" dmcf-ptype="general">그는 지구를 위협할 수 있는 소행성 탐지에 헬리오스탯을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헬리오스탯은 어둠 속에서도 똑같이 잘 작동한다"며, "낮에 햇빛을 모으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밤에도 별빛을 모은다. 낮에는 햇빛이 물을 끓이는 반면, 별빛은 태양광 패널의 셀과 유사한 대형 포토다이오드(photodiode)에 미미한 양의 전기를 생성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a3b661eb9f755e2e7a2a0c4ed028d3949e4c393ca1f9515189bbb54e494adbb4" dmcf-pid="zfpTyr6FcF" dmcf-ptype="general">미국에서 이미 사용 가능한 헬리오스탯의 수가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야간 소행성 탐지에 이를 활용한다는 게 그의 아이디어다. 이 거울을 밤에 방치하는 대신 최소한의 추가 비용으로 생산적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0b8862ad296287d91a36d05eb6c7776aae70d83c081b61e790e1cbf9aea64ade" dmcf-pid="q4UyWmP3kt" dmcf-ptype="general">샌더스키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것을 활용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기회"라며, "처음에는 기존 천문대 장비들을 보강하는 도구로 사용되지만, 궁극적으로는 가장 적은 비용으로 소행성 탐사까지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822064842d6bcc926eac0aaafa0876c310d37c438fd44ac67656985363c5484" dmcf-pid="B8uWYsQ0g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프랑스 태양광 발전소의 헬리오스탯의 모습 (사진=위키피디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9/ZDNetKorea/20250809084216898fgan.jpg" data-org-width="550" dmcf-mid="F5zGHIMUg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9/ZDNetKorea/20250809084216898fga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프랑스 태양광 발전소의 헬리오스탯의 모습 (사진=위키피디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d070c34bcbb34c865a3df2ea276d7efbeb6543916b664411726131954b9a290" dmcf-pid="b67YGOxpg5" dmcf-ptype="general">헬리오스탯을 이용한 소행성 추적은 기존의 망원경 영상 촬영과는 다르다. 각 센서에 빛이 닿는 위치를 매핑해 영상을 만드는 기존 관측과 달리 헬리오스탯은 영상 촬영 과정을 생략하고 물체가 하늘을 가로지르는 속도를 추적해 그 움직임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는 레이더가 속도를 감지하는 방식과 유사하다.</p> <p contents-hash="15fa3a3b62788bf4629aa7d3b49532c1d48ab3ca26c69f135b6c0d3985d4663e" dmcf-pid="KPzGHIMUjZ" dmcf-ptype="general">샌더스키는 "바람이 부는 소리를 듣는 대신 풍경 소리를 듣는 것과 같다"며, "헬리오스탯은 별들을 향해 부드럽게 움직이며 밤새도록 일정한 리듬을 유지한다. 별에서 나오는 빛의 흐름은 한 가지 음색을 낸다. 곡선을 따라 움직이는 소행성에서 나오는 빛은 약간 다른 음색을 낸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038bd5710863f5b609ac1de174b438a99df33d6d50575c3c96a5aa11529a4ec7" dmcf-pid="9QqHXCRuoX" dmcf-ptype="general">"음색 차이는 보통 매우 미미하다. 1밀리헤르츠(mHz) 미만인데, 이는 우리 귀가 구분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미세하다. 하지만 정밀 전자 장치는 이 작은 차이를 밤새도록 분석한다. 소행성이 빠를수록 음색 차이는 더 커진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6b129e87a7916142235413a554182fd8c150e2c87875a0b442651fa6728c8049" dmcf-pid="2HOogQ5raH" dmcf-ptype="general">샌더스키는 이미 앨버커키에 있는 샌디아 국립태양열 시험 시설에 있는 212개의 헬리오스탯 중 하나를 사용해 이를 시험 중이다.</p> <p contents-hash="e399aa40e218e18ffd92cdd2521463abc9cab2d3d3605211f576c2e92c4daba8" dmcf-pid="VXIgax1mgG" dmcf-ptype="general">하지만, 앞으로 해야할 일도 많다. "전 지구적 규모의 소행성 추적을 위해서는 지구의 다양한 헬리오스탯 자기장이 GPS와 같은 공통 시간 표준에 맞춰 동기화되어야 한다. 또한 광전 다이오드 등 광학 및 전자 장치를 장착해야 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d9b04c46f5ce1b078850cfe800ff3b9d101113cc28daf09f54d2491d2e4636d8" dmcf-pid="fZCaNMtscY" dmcf-ptype="general">다음 단계는 헬리오스탯을 사용해 알려진 행성을 찾는 것이다. 이 실험은 이 기술의 역량과 한계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p> <p contents-hash="0306736da8f617f122939d291675739afa248eaac653352ae9d47de887f95bf0" dmcf-pid="45hNjRFOjW" dmcf-ptype="general">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렉라자’ 효과 톡톡…유한양행, 수익구조 전환 신호탄? 08-09 다음 해외에서 더 난리…‘케데헌’ 유튜브 관심도 최고치 ‘100’ 찍었다 08-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