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핵무기 통제하는 건 시간 문제" 작성일 08-09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noUq5c6gr"> <p contents-hash="da8a943260941bb738bc3017ebc44a0282173b85dda039cb3cbf0cadfbd06273" dmcf-pid="BLguB1kPgw"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핵 전문가들과 노벨상 수상자들이 모여 인공지능(AI)이 핵 무기를 통제하는 것이 시간 문제라는 의견을 내놨다고 와이어드, 퓨처리즘 등 외신들이 최근 보도했다.</p> <p contents-hash="cbd30bf00ebfd3c4c5a74e22393698e1570a34e0df3b5c2077b03d93ecc3f97f" dmcf-pid="boa7btEQcD" dmcf-ptype="general">아직까지는 핵무기 발사는 인간에 달려 있으나 향후 핵 무기 발사 시스템의 일부에 AI가 포함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p> <p contents-hash="b32743fdaac4ddc35f0c7fd105712cac64e529ab29590400a3cd72707b067fb7" dmcf-pid="KgNzKFDxAE" dmcf-ptype="general">보도에 따르면, 지난 달 중순 노벨상 수상자들은 시카고 대학에 모여 핵 전문가들과 만나 AI와 세계 종말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 행사는 노벨상 수상자들에게 핵무기에 대해 알리고, 이들이 핵 전쟁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도록 하는 게 목표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5f1ee4086e23ff43f59cd1f84d36fe24a70d9f214e39ebbd85cadbf04acfcde" dmcf-pid="9ajq93wMN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문가들이 향후 핵 무기 발사 시스템의 일부에 AI가 포함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9/ZDNetKorea/20250809080925065gddd.jpg" data-org-width="640" dmcf-mid="zyUwONbYo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9/ZDNetKorea/20250809080925065gdd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문가들이 향후 핵 무기 발사 시스템의 일부에 AI가 포함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47b87a4886295c242a127e6c48ea680be234a1c70f17a8b8d5221814e0a7524" dmcf-pid="2NAB20rRac" dmcf-ptype="general">이 자리에서 AI는 모두의 관심사였다. 핵·안보 분야 전문가로 유명한 스콧 세이건 스탠퍼드 대학 교수는 회담 종료 후 "우리는 AI와 신기술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며, 동시에 핵 세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미 공군 소장 출신이자 미국 핵과학자회보 과학보안위원회 위원인 밥 라티프는 AI에 대해 “이것은 전기와 같다”며, “모든 것에 스며들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bd32328c776d892028f6760a8c7339a51dd9b2b983ec36d4bc9ec227b210115" dmcf-pid="VjcbVpmeaA" dmcf-ptype="general">이 회담에서 긍정적인 내용은 조만간 AI가 핵 코드를 획득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는 점이다. 미 과학자 연맹 글로벌 리스크 담당 이사이자 과거 오바마 대통령의 특별 보좌관이었던 핵 전문가 존 울프스탈은 핵 전문가들 사이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dce38f43114767c6ae8aa51e4a066536627997b4d07129a4da6f5746bd83cb4" dmcf-pid="fAkKfUsdcj" dmcf-ptype="general">하지만, 그는 미 권력의 중심부에서 대규모 언어모델(LLM)이 또 다른 우려스러운 용도로 사용된다는 소식을 접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7bb478f220077774fc88476ba25571deba1e2e838a0e453c0d61e41af957cc79" dmcf-pid="4cE94uOJcN" dmcf-ptype="general">핵무기 개발을 총괄하는 미군 전략사령관 앤서니 J. 코튼은 작년 한 컨퍼런스에서 AI 도입의 중요성에 대해 연설했다. 그는 핵 전력(nuclear force)를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인간 주도형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개발 중이며, 이는 지도부가 복잡하고 시간에 민감한 시나리오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f2ed2dfc3d4fab62bedcd2b71feb6b0ee733fe85283744f932eab5fdb846461" dmcf-pid="8kD287Iiaa" dmcf-ptype="general">울프스탈은 걱정되는 점은 AI가 핵전쟁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 이 시스템과 그 일부에AI를 도입해 자동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적이 악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생기거나 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데이터 등이 생성돼 잘못된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1b744c3eab98540b2cd1428632f25cdd1f7288b5a1afbbc9ae5938f00c4ff0b5" dmcf-pid="6EwV6zCnkg" dmcf-ptype="general">핵무기 발사는 한 지도자가 버튼 하나만 누르는 간단한 것이 아니다. 핵 지휘통제체계(NC2 : Nuclear command and control)는 조기 경보 레이더, 위성, 인간이 감시하는 기타 컴퓨터 시스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시스템이다.</p> <p contents-hash="e3589cc8fb036e85813ac8df1e2ef2d97886c263ad4587d24590c3a567a4702d" dmcf-pid="Pdi3uHNfNo" dmcf-ptype="general">하지만, 이 과정 중 일부를 AI가 맡게 된다면 문제가 생긴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핵 공격을 받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라며, 핵 공격으로 진짜로 간주되려면 위성과 레이더 시스템 모두에서 확인돼야 하는데 이 중 일부를 AI가 맡게 된다면 안 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p> <p contents-hash="066f42a8b30ec4055d2a1ba946890e407f3dc9bc8792f8a6613eaa75e77e8b5d" dmcf-pid="QJn07Xj4oL" dmcf-ptype="general">우리가 많은 AI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AI를 핵 의사결정 과정에 통합하는 것은 좋지 않은 생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p> <p contents-hash="e86b7ad447689ec3a20626aa6917991e243813efe58ead58ee11d9dbc4cb13e5" dmcf-pid="xiLpzZA8cn" dmcf-ptype="general">밥 라티프는 AI 시스템이 확증 편향을 강화하는 점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인간이 통제권을 유지한다고 해도, 그 통제가 얼마나 의미 있을지 걱정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e6ed1a777ba4ba58c2c4c73cbbc61767fc538db13fd5aa678b4bae45ca25fb4b" dmcf-pid="yZ1jEiUlNi" dmcf-ptype="general">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욕망의 검은 피, 석유’ 김서형, 석유 전쟁 조명 08-09 다음 한국 LCD 무너뜨린 중국, 그 전략 또 쓴다…"이러다 OLED도 위험" 08-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