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8월의 과학기술인상’ 서강대 정명화 교수 선정 작성일 08-06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 입증</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zMyXc2X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640798121351ae2be4ab834ccc2dc0ec1e077a0c51b132c835124ac12fa0a04" dmcf-pid="tqRWZkVZG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8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된 정명화 서강대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6/dailian/20250806120342052wwlm.jpg" data-org-width="354" dmcf-mid="5StLj2yjH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6/dailian/20250806120342052wwl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8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된 정명화 서강대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b7e97a1cfa5bb2d1d872d83bbed90a04891badd1d3dea6c4a3e408d82b535fc" dmcf-pid="FBeY5Ef5HR"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8월 수상자로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정명화 교수를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p> <p contents-hash="b3f7a01b38cf48087aa86a8cc5ce36279d2b0d50867de34896bf817238de9aa2" dmcf-pid="3bdG1D41tM" dmcf-ptype="general">‘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최근 3년간 독보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창출해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자를 매달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는 상이다.</p> <p contents-hash="01439e670f1109ff73ff8bf7940f55b8190f8a7ab009a9cab1736d19786fab8e" dmcf-pid="0KJHtw8t1x"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2025년 ‘세계 양자 과학기술의 해’를 기념하며 세계 최초로 ‘양자역학적 스핀(spin) 펌핑 현상’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정명화 교수를 수상자로 선정했다.</p> <p contents-hash="5e7f28b5fc86ddbdad03d1c968ae55bab143edc55b241e18b6f6d4ce78889813" dmcf-pid="p9iXFr6F1Q" dmcf-ptype="general">정명화 교수 연구는 스핀트로닉스 기술 실용 가능성을 확장하며 차세대 양자소자 및 스핀 기반 반도체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진할 핵심 성과로 평가받는다.</p> <p contents-hash="f6c6b31de12d3ce95662b928c9fa8f770baae94a01132b84368e873977d1886b" dmcf-pid="U2nZ3mP3GP" dmcf-ptype="general">스마트폰 등 일상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는 전자 이동으로 작동한다. 전자가 이동할 때 물질 내부 원자들과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해 에너지 소모량 증가와 소자 효율이 떨어진다.</p> <p contents-hash="318688c8f148e008b069c74b57973f31d77a46de243ba7e1e069a0763ac4801b" dmcf-pid="uVL50sQ056" dmcf-ptype="general">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자 이동 없이 전자 회전으로 발생하는 스핀 에너지를 자성체에서 비자성체로 전달하는 ‘스핀 전류’와 스핀 전류를 생성하는 ‘스핀 펌핑’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p> <p contents-hash="c1db201d1f01e0b6bfdb0b37b6c3cfe9cd8a9c58ae20711c6fb0ed3d9a29584f" dmcf-pid="7fo1pOxp58" dmcf-ptype="general">다만 기존 고전역학적 스핀 펌핑은 세차운동을 기반으로 전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스핀 흐름의 제어·전달·변환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는 등 에너지 효율이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참고로 세차운동은 회전하는 팽이처럼 물체 회전축이 원형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현상을 말한다.</p> <p contents-hash="8aea25aeab81f76d16b09b543a2a8d0be60a5e7d51003b74594090b8ed55f949" dmcf-pid="zahfQtEQZ4" dmcf-ptype="general">정명화 교수는 고전역학적 스핀 펌핑이 지닌 한계를 넘기 위해 스핀의 양자역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활용한 새로운 스핀 생성 방법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6eb23aef3d2bf4472427840761b7cd5cb2518310c6ce45e124b1a577c286b860" dmcf-pid="qNl4xFDx5f" dmcf-ptype="general">정 교수는 스핀 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 스핀의 ‘크기’가 변화할 때 스핀 전류가 발생하는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생성되는 스핀 전류가 세차운동 기반의 스핀 전류보다 매우 클 것으로 예측했다.</p> <p contents-hash="82f338d119c73fdc608cc083a65cf76ffb2c884d40a3f8023eb7b06fd1c3f44c" dmcf-pid="BjS8M3wMHV" dmcf-ptype="general">이를 입증하기 위해 정 교수는 ‘철(Fe)-로듐(Rh)’이라는 특별한 자성박막을 제작했다. 이를 이용해 양자역학적 방법으로 기존 방식보다 10배 이상 큰 스핀 전류를 생성하는 데 성공했다.</p> <p contents-hash="a3766f39e2b40edd806f1300353ffd7d70cb03a637e6a6082cd2e1fdeb68ba99" dmcf-pid="KcTPepmet9" dmcf-ptype="general">극저온 환경에서 관측되는 것이 일반적인 양자역학적 현상을 상온에서도 구현함으로써 상온에서도 효율 좋은 스핀 전류를 만들 수 있음을 입증했다. 해당 연구는 2025년 1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p> <p contents-hash="5a649998fd1e4e1a993dd67134b6e6d7e8d67cab329eaa4f8e9049125fb2f9cd" dmcf-pid="9kyQdUsdtK" dmcf-ptype="general">정 교수는 “이번 성과는 스핀트로닉스 기술 진보는 물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저전력 소자 개발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차세대 양자소자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기초연구는 답이 없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실패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도전하는 마음과 행동이 중요하다”고 말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저전력 AI반도체 개발 실마리 ‘상온 양자역학’ 개척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08-06 다음 이대휘·박우진 AB6IX, 10번째 EP 발매→컴백 쇼케이스 연다 08-0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