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스스로 물체 집고 걷는 '실시간 프로그래밍 로봇 시트' 개발 작성일 08-06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0NNORFOIC"> <p contents-hash="55c2114173d10bc529ba441df6ed56ee42a028a06f6893bb0b2d5e20dce377a0" dmcf-pid="yEzz65c6OI" dmcf-ptype="general">로봇 설계에서 직관적이면서 효율적인 형상 변형 메커니즘으로 활용되는 접힘 구조는 우주·항공 로봇, 유연 로봇, 접이식 그리퍼(손) 등에 응용되는데, 접는 위치나 방향이 사전에 고정돼 환경·작업이 바뀔 때마다 새로 구조를 설계·제작해야 했다.</p> <p contents-hash="901abb51bc1d60feaa3f051779a04dc76abec6c0cca9ac47ffa88dba4edc9e36" dmcf-pid="WDqqP1kPmO" dmcf-ptype="general">이런 가운데 한국 연구진이 현장에 따라 실시간 프로그래밍하는 '접이식 로봇 시트 기술'을 개발, 로봇 형태 변화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로봇 공학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전망이다.</p> <p contents-hash="0904b7d34c40f186e28c5ca32e6e13c7c5ea79d0c3838d909d6dfe3f7938bb73" dmcf-pid="YwBBQtEQIs" dmcf-ptype="general">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김정·박인규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형상을 실시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로봇 시트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d00ffed7299e9a8b79d3773cab55b6f74e262c17448aa6f0271fdcb7485aa89" dmcf-pid="GrbbxFDxO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접힘 위치, 방향의 실시간 재설정을 통한 형상 프로그래밍 로봇 종이 개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6/etimesi/20250806103748601tkmv.jpg" data-org-width="700" dmcf-mid="Pq11BviBw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6/etimesi/20250806103748601tkm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접힘 위치, 방향의 실시간 재설정을 통한 형상 프로그래밍 로봇 종이 개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fccc538846294107ed6f349783d6aafb5ebb7d36f681895e63d770dee99e957" dmcf-pid="HmKKM3wMsr" dmcf-ptype="general">이번 기술은 '필드 프로그래밍'이라는 개념을 접이식 구조에 도입한 사례다. '접힘을 어디서,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크게 할지'라는 사용자 명령을 소재 형상에 실시간 반영할 수 있는 소재 기술 및 프로그래밍 방법론을 통합 제안했다.</p> <p contents-hash="f25b8673c08bb1c02c84fbb42123ada441ed5d3614102e0e4f84c3c842d204c3" dmcf-pid="Xs99R0rRmw" dmcf-ptype="general">해당 로봇 시트는 얇고 유연한 고분자 기판 내에 미세 금속 저항 네트워크가 내장된 얇고 유연한 형태의 로봇이다. 각 금속 저항이 히터이자 온도 센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별도 외부 장치 없이도 시트 접힘 상태를 실시간 감지하고 제어한다.</p> <p contents-hash="64fc8325c2373c312dbf73c5052c63fd05b0260ba42c6ad747cd0622be8519ed" dmcf-pid="ZO22epmerD" dmcf-ptype="general">또 유전 알고리즘 및 심층 신경망을 결합한 소프트웨어(SW)로 사용자가 원하는 접힘 위치와 방향, 강도를 SW적으로 입력하면, 스스로 가열·냉각을 반복하며 정확한 형상을 만들어낸다.</p> <p contents-hash="1c4f55ee344e415b8e4f2f73b2e227233c2f049c1ae9bbdc03cfee3a998fee65" dmcf-pid="5IVVdUsdwE" dmcf-ptype="general">특히 온도 분포에 대한 '폐루프 제어'를 적용해 실시간 접힘 정밀성을 향상하고, 환경 변화 영향을 보정했으며, 열 변형 기반 접힘 기술이 지닌 느린 반응 속도도 개선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f09e2784a38ecc166b62b333ae6669be75f62a2a02dab843130e5112af3746b" dmcf-pid="1CffJuOJE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단일 로봇 종이로부터 유도되는 다양한 형상 변형 및 이의 활용 예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6/etimesi/20250806103750227jlnx.jpg" data-org-width="700" dmcf-mid="QcnnD6XDE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6/etimesi/20250806103750227jln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단일 로봇 종이로부터 유도되는 다양한 형상 변형 및 이의 활용 예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1b0d21a862b14b7ed9cf87b3b0d29236b424175583ff0b94725aaae36e64ad8" dmcf-pid="th44i7Iisc" dmcf-ptype="general">이런 형상 실시간 프로그래밍은 복잡한 하드웨어(HW) 재설계 없이도 다양한 로봇 기능성을 즉석에서 구현할 수 있게 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p> <p contents-hash="8bcbf64eb387468851fe599221473da8822c01e650340a41349e5e8e6a98922b" dmcf-pid="Fl88nzCnmA" dmcf-ptype="general">실제로 연구팀은 단일 소재로 다양한 물체 형상에 맞춰 어떻게 잡을지 결정하는 파지 전략을 바꿔가며 적용할 수 있는 적응형 로봇 그리퍼를 구현했고, 동일한 로봇 시트를 바닥에 둬 보행하거나 기어가게 하는 등 생체 모방적 이동 전략을 선보였다. 환경 적응형 자율 로봇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05ed07b2f12403aced53637f0f7b3eab3fda188ebf5c8452f151c93ea8dda20f" dmcf-pid="3S66LqhLrj" dmcf-ptype="general">김정 교수는 “형상 자체가 지능이 되는 '형상 지능' 구현에 한 걸음 다가간 사례”라며 “재난 현장 대응 로봇, 맞춤형 의료 보조기기, 우주 탐사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차세대 피지컬 인공지능(AI)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3a3447698bc7fa36a531c5b41ed071a95fee57fdf3cc41b5f9d65e3d2b1ae31" dmcf-pid="0vPPoBloON" dmcf-ptype="general">박현규 KAIST 박사(현 삼성전자 삼성종합기술원)와 정용록 경북대 교수가 공동 제1 저자인 이번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출판됐다.</p> <p contents-hash="949f685cba33a2eb5e64a66415a90ef19858c4d8841115de99ad4f609ee79f61" dmcf-pid="pTQQgbSgIa" dmcf-ptype="general">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모솔연애' 정목, 지연과 결별 후 "꿈 같은 여행..내 부족함 깨달아" 08-06 다음 에이딘로보틱스, 175억 규모 ‘휴머노이드 수술보조 로봇’ 연구 선정 08-0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