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형태 변화 능력 향상···'접이식 로봇 시트' 개발 작성일 08-06 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AIST 연구팀, 실시간 프로그래밍 원천기술 연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sG29pmerv"> <p contents-hash="af565fc20ec18f7e98080e6ab8bc9bea199e597ea11a820393a720d3d96620b7" dmcf-pid="KOHV2UsdsS"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이 종이처럼 접었다 펴며 모양을 실시간으로 바꿀 수 있는 로봇 소재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74cec8ca04e66e4757cf7d18eae183fce7d68d753710cfe7e2fd16623e1b2495" dmcf-pid="9IXfVuOJsl" dmcf-ptype="general">KAIST는 김정·박인규 기계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형상을 실시간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로봇 시트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e6e2406692f6538b9e7c16d3cb9bdfdccc7051f417eae9c492c42bcee60900a" dmcf-pid="2CZ4f7Iis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연구진의 단체 사진.(왼쪽부터)박인규 KAIST 교수, 정용록 경북대 교수, 박현규 KAIST 박사, 김정 KAIST 교수.(사진=KA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6/Edaily/20250806085613089wano.jpg" data-org-width="670" dmcf-mid="qxxrwgqym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6/Edaily/20250806085613089wan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연구진의 단체 사진.(왼쪽부터)박인규 KAIST 교수, 정용록 경북대 교수, 박현규 KAIST 박사, 김정 KAIST 교수.(사진=KAIST)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1419d577ab701020dfd4ea81eba2d904e31756656e75060c36c2a38c7e097d7a" dmcf-pid="Vh584zCnwC" dmcf-ptype="general"> 연구팀은 ‘필드 프로그래밍’이라는 개념을 접이식 구조에 도입했다. ‘접힘을 어디서,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크게 할지’라는 사용자 명령을 소재 형상에 실시간 반영할 수 있는 소재 기술과 프로그래밍 방법론을 제안했다. </div> <p contents-hash="b66ba3cd60bd629064269c9f4a0e0822bd69574f9c757478a31145a3e416c19a" dmcf-pid="fStP6BloDI" dmcf-ptype="general">이번에 개발한 로봇 시트는 얇고 유연한 고분자 기판 내에 미세 금속 저항 네트워크가 내장된 구조를 갖췄다. 각 금속 저항이 히터이자 온도 센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 별도 외부 장치 없이 시트의 접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제어한다.</p> <p contents-hash="4df068bd17a25fc334fa9ef5cd51849cadf2169eba3a5e978c5ac35fa30e17e2" dmcf-pid="4vFQPbSgEO" dmcf-ptype="general">또 유전 알고리즘과 심층 신경망을 결합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접힘 위치와 방향, 강도를 입력하면 스스로 가열·냉각을 반복하며 형상을 만든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dd26a3d320f33f50ded86e0a5d364607dfb89fb005cc6b184d5616c8bc85dfd" dmcf-pid="8T3xQKvam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접힘 위치, 방향의 실시간 재설정을 통한 형상 프로그래밍 로봇 종이 개요.(자료=KA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6/Edaily/20250806085614418ogbs.jpg" data-org-width="670" dmcf-mid="B9kXHhe7O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6/Edaily/20250806085614418ogb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접힘 위치, 방향의 실시간 재설정을 통한 형상 프로그래밍 로봇 종이 개요.(자료=KAIST)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ae22db066d2a872c5e6da0657cc4d052d9f5c1eea84e2b30c358aae75ff7d5f0" dmcf-pid="6y0Mx9TNIm" dmcf-ptype="general"> 온도 분포에 대한 폐루프 제어 기술도 적용해 접힘 정밀성을 높였고, 환경 변화로 인한 영향도 보정했다. </div> <p contents-hash="6a0f684a2f56aa91d17cb66f1de1da9ee90309e082074a9cf28f37eec33d28e6" dmcf-pid="PWpRM2yjsr" dmcf-ptype="general">형상의 실시간 프로그래밍은 복잡한 하드웨어 재설계 없이 다양한 로봇의 기능성을 즉석에서 구현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p> <p contents-hash="f584dd6e6b9a2784f76fa2c5af15172671e62e3852d514e1dff8fe9ff1fe16e6" dmcf-pid="QYUeRVWADw"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단일 소재로 다양한 물체 형상에 맞춰 어떻게 잡을지 결정하는 ‘파지 전략’을 바꿔가며 적용할 수 있는 적응형 로봇 손(그리퍼)를 구현했다.</p> <p contents-hash="e28658125bfc32fba56cff989fbdd3cc55516f2de044afcb37eb2f135a41ed35" dmcf-pid="xGudefYcED" dmcf-ptype="general">김정 교수는 “형상 자체가 지능이 되는 ‘형상 지능’ 구현에 다가간 사례”라며 “향후 더 높은 하중 지지와 빠른 냉각을 위한 소재·구조 개선, 배선 없는 일체형 전극에도 다양한 형태·크기로 확장해 재난 현장 대응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e36ac860d3d108f35009ea511da4b8a18e7dc709871bcd49a9b39a5600d2442" dmcf-pid="yecHGCRuIE" dmcf-ptype="general">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의 올해 8월 온라인판에 출판됐다.</p> <p contents-hash="abb7de88167f08e5aa9b261266c92a299f1eb75deb9c08fa62780b9fdb7a551e" dmcf-pid="WdkXHhe7wk"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보플 2' 소년들, 잠실벌 간다…LG 홈경기 클리닝 타임 공연 08-06 다음 '한끼합쇼' 이진욱·정채연, 우천 고군부투에도 '한 끼' 실패 08-0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