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익은 얼굴” 동네 아저씬 줄 알았는데…‘1400억 잭팟’ 또 대박 작성일 08-05 4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zviXm3I5N">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cbc8ac38941bf5ca033ccde331fc7cf9e844069ea3b5a396d8a38412998eb6e" dmcf-pid="3qTnZs0CZ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업스테이지 유튜브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204150355rxtx.png" data-org-width="727" dmcf-mid="5jkVOLvaZ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204150355rxtx.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업스테이지 유튜브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4716a361c162d974a4184c251c63d1a4552c055e09e8f5ea7f9548b1872e3d8" dmcf-pid="0ByL5OphGg"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권제인 기자] “스타트업 신화, 또 나왔다.”</p> <p contents-hash="adcf76d45788776b8e712bb829c40de2bdff77e11618ca77e11c08cc50bfb773" dmcf-pid="pbWo1IUlGo"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가 스타트업 중 유일하게 ‘국가대표 AI 정예팀’에 선발됐다. 정부가 5개 팀을 선발해 해외 AI 모델과 견줄만한 성과를 목표로 그래픽처리장치(GPU), 데이터, 인재까지 지원해주는 대규모 국가 사업이다.</p> <p contents-hash="afb6ba7465c0319dddaa0e7a77c43b39d338a0b69865405278ab893157bb31b6" dmcf-pid="UKYgtCuSHL" dmcf-ptype="general">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세계 최초의 한글 로봇 검색엔진을 개발한 뒤 홍콩과학기술대학교 교수직, 네이버 등을 거친 국내 AI 전문가다. 김성훈 대표가 이끄는 업스테이지는 AI 소프트웨어 기업 중 가장 많은 투자액을 유치한 데 이어 ‘국가 대표 AI’ 수식어까지 획득하게 됐다.</p> <p contents-hash="730a818b6f6033534717e9068a8efd998c318feb3990cc88b1434b4243ed43c5" dmcf-pid="u9GaFh7vYn" dmcf-ptype="general">5일 과기정통부와 업스테이지에 따르면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은 과기정통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유일하게 포함됐다. 업스테이지를 제외하면 네이버클라우드, SK텔레콤, 엔씨AI, LG경영개발원 AI 연구원 등 모두 대기업이 주축이 된 컨소시엄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c0d5eac06c12a2f20dddd69c572cd2984a3749cc01a62b8ccb180a18b2edc25" dmcf-pid="77SJHrFOt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 선정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204150634hrgd.jpg" data-org-width="1280" dmcf-mid="1dozkMsdZ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204150634hrg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 선정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6f405c14bccdb019d0776bc74b1d31c2ef3773ad96e0c7ca2df6f2cb941539b" dmcf-pid="zzviXm3IHJ"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는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3년간 1000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대국민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법률, 제조, 국방 분야의 기업등과 협력해 기업 간 거래(B2B) 서비스를 확산하고, 기업·정부 간 거래(B2G)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업스테이지는 글로벌 선도 기업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솔라 WBL’을 개발한다.</p> <p contents-hash="b853ca6e8cc762cf5045cf498b94c222b00cd7869397205d7f29d06d79a986a0" dmcf-pid="qqTnZs0C1d" dmcf-ptype="general">컨소시엄에 참여한 기업들 역시 스타트업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각 산업에서 AI 기술을 도입하고 있는 로앤컴퍼니(법률), 뷰노(의료), 데이원컴퍼니(교육) 등과 AI 기술력을 갖춘 노타, 레블업, 플리토 등이 컨소시엄에 참여했다.</p> <p contents-hash="d336c07a8ed4cae12fbb7094b2058dbc7f2eb3bdef0e030b2499974dbcb6fcb0" dmcf-pid="BByL5OphYe"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는 국내 AI 소프트웨어 기업 중 가장 많은 투자금액을 유치하며 스타트업 신화를 써온 기업이다. 지난해 4월 시리즈B에서 약 1000억원을 확보하며 누적 투자액이 1400억원에 달한다. 업스테이지는 거대언어모델 ‘솔라’를 개발해 메타, 오픈AI 등 빅테크를 제치고 허깅페이스 오픈 LLM 리더보드에서 세계 1위를 기록하며 주목을 받은 바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3a35be8951d754db2bdd9e6a469b007f11a4a5d0acdea970fc5a6fc5cb548f1" dmcf-pid="bbWo1IUlZ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가 지난 4월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미디어데이를 개최하고 AI를 통해 글로벌 AI 업무 표준을 주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권제인 기자/eyre@]"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204150954kjso.jpg" data-org-width="1280" dmcf-mid="tsSJHrFOt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5/ned/20250805204150954kjs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가 지난 4월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미디어데이를 개최하고 AI를 통해 글로벌 AI 업무 표준을 주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권제인 기자/eyre@]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09197407d593a71d0049ea4665786a7e804102d43c2c9e7359f8b33b5fdc67b" dmcf-pid="KKYgtCuSHM" dmcf-ptype="general">업계에서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데이터 지원뿐만 아니라 인재 유치 지원도 스타트업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스테이지는 5개팀 중 유일하게 인재 지원을 요청해 2027년까지 연간 20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인재 유치 지원은 추후 업스테이지가 정예팀에서 탈락하더라도 유지돼 연속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p> <p contents-hash="699e09f5027f7d5cdc6ce3900dad36c534a80da07ac2a632460555b3de0746e3" dmcf-pid="99GaFh7v1x" dmcf-ptype="general">이상민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 정책과장은 “인재 지원을 요청할 때 QS 랭킹 기준 컴퓨터과학(CS) 분야에서 10년 이상 R&D 경력을 갖췄거나, 시가총액 2000억 달러 이상의 빅테크 기업에서 7년 이상 프로젝트를 추진한 인재로 두 가지 기준을 내걸었다”며 “다른 기업들은 짧은 기간 내 전문 인력과 어떻게 협업할 것인지를 제시하는데 촉박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c2102c496d237ae266e0109573d3a3f5642c953303c38efaf052d25fe777bff3" dmcf-pid="22HN3lzTXQ" dmcf-ptype="general">IT 업계 관계자는 “스타트업은 대기업 대비 개별 인재가 미치는 영향이 크고 좋은 처우를 제시하기도 어려워 회사에 딱 맞는 인재를 채용하기가 쉽지않다”며 “과기정통부가 높은 조건을 제시한 만큼 전문성 있는 인재를 유지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애니, 가수 꿈꾸자 신세계家 반응?…"바람들었다고, 그 말 싫어" 08-05 다음 인천비즈니스고, 제22회 태백산기 핸드볼 여자 고등부 우승 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